$\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소가스 누출 시나리오에 따른 피해예측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nsequence Analysis about Leakage Scenarios for Hydrogen Gas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6 no.4, 2014년, pp.159 - 165  

김태훈 (호서대학교 로봇자동화공학과) ,  오영달 (호서대학교 안전공학과) ,  이만수 (호서대학교 기술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hydrogen economy system being tried starting with the 21st century, the fields that was not dealt with so far, such as the safety measure for large leakage accidents, the safety problem at infrastructures like a hydrogen station, the safety problem in terms of automobiles depending on intr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소 충전소는 크게 수소 제조를 포함하는 on-site와 포함하지 않는 off-site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소 충전소 중 on-site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 곳을 대상으로 사고피해예측을 수행하고자 한다. 평가는 충전소의 배관 및 계기도면(P&ID : Piping and Instrumentation Diagram)을 바탕으로 위험요소 및 특성을 파악하며 수소 충전소를 방문하여 지형 및 변수에 대하여 체계적인 검토를 수행한다.
  • 본 연구에서는 수소 충전소 설치 지역의 날씨 정보 및 설치된 수소 스테이션의 위치, 운전조건, 규모 등을 고려하고 수소 충전소를 수소 생산 설비와 차량 충전부로 나누어 수소가스가 누출 되었을 때 예상되는 피해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 수소 충전소에서 수소가 누출시 위험성을 검토해보기 위해 최악의 누출시나리오에 대하여 작성하여 보았다. 선행연구[15]에서 실시한 정성적 위험성 평가의 결과에서 도출된 누출위험점과 위험요소를 기반으로 시나리오를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다.

가설 설정

  • 2) ZnO 베드 : 이 단계에서 H2S가 제거된다.
  • 수소 충전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스 사고에 대하여 설비 손상의 크기에 따른 사고영향평가를 수행하기 위하여 가스 사고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최악의 시나리오와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를 가정하였으며 두 경우 모두 Purple Book[2]을 참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소의 에너지로써 장점은 무엇인가? 수소는 고갈되지 않으며 깨끗하다는(inexhaustible and clean) 장점 때문에 에너지정책입안자, 환경기구 및 산업 부문에서의 에너지전문가들은 이를 미래의 연료로 인식하고 개발 및 보급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노력하고 있다[1]. 21세기 들어 시도되고 있는 수소경제 체제는 그동안 다루지 않았던 분야 즉, 대량 누출 사고에 대한 안전대책, 수소 충전소 등 인프라에서의 안전문제, 수소 자동차 도입에 따른 자동차 측면에서의 안전문제, 연료전지 등 가정용 보급 시 안전문제 등이 심도 있게 검토 되고 있는 상황이다.
수소자동차 및 연료전지에 수소를 충전하는 장치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수소자동차 및 연료전지에 수소를 충전하는 장치이다. 차량에 충전되어지는 수소의 양을 측정하는 질량 유량계 및 안전밸브, 고압 충전시 압력 조절 및 제어를 하는 제어부, 누출사고 및 차량 급발진에 대비한 비상정지부와 박리기, 충전 후 호스에 잔존하는 수소를 제거하여 저장 탱크로 이송하는 우회부, 사용자의 가시적인 확인, 충전압력 및 충전량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연동하도록 하는 데이터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의 [Figure 3]은 디스펜서의 사진을 나타내고 있다.
수소 충전소는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수소 충전소는 크게 수소 제조를 포함하는 on-site와 포함하지 않는 off-site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소 충전소 중 on-site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 곳을 대상으로 사고피해예측을 수행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oo, K.J.(2006), "A National Vision of the Hydrogen Economy and Action Plan". The Korea Socity for Energy Engineering 15(2):83-95. 

  2. CPR 18E(2005), "Guideline for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TNO. 

  3. EN 1473(2007), "Installation and equipment for liquefied natural gas. Design of onshore installations." BS. 

  4. EN 13654(2002), "Installations and equipment for liquefied natural gas. Design of onshore installations with a storage capacity between 5 t and 200 t." BS. 

  5. NREL/TP-570-27079(1999), "Survey of the Economics of Hydrogen Technologies." 

  6. Yoon, W.R. and SEO, D.J.(2004), "Developmental Status and prospect of hydrogen reforming infrastructure." SAREK. 

  7. A. Szyszka(1998), "Int.J.Hydrogen Energy." 23(3) 849.860 

  8. A. Bahbout and D. Kluyskens and R. Wurster(1998), "in Proceedings of the 12th world hydrogen conference." Buenos Aires, Argentina. 

  9. B. Sorensen and F. Sorensen(2000), "in Proceedingd of the 13th World Hydrogen Energy Conference, Beijing." China. 

  10. T.N. Veriroglu(2000), "in Proceedingd of the 13th World Hydrogen Energy Conference, Beijing." China. 

  11. Rosen, M.A. and Scott, D.S.(1992), "Int.J.Hydrogen Energy." 17(3): 199-204 

  12. R.A. Hefner(1995), "Int.J.Hydrogen Energy." 20(2):945-948 

  13. C. Mitsugi and A. Harumi and F. Kenzo(1998), "Int.J.Hydrogen Energy." 23(3):159-165 

  14. Kim, Y.T. and Rhie, K.W. and Back, J.J. and Oh, S.K. and Han, J.M. and Kim, W.K.(2000), "가스설비의 정량적 안전성 평가", KOSOS. 

  15. Rhie, K.W. and Kim T.H. Kim, J.K. Han, S.Y.(2005), "Safety Assessment for Hydrogen Gas Production Facilities (Steam Reforming)." KIGAS. 9(4):44-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