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박 점용영역 분석을 통한 해상교통혼잡도 고찰
A Study on the Marine Traffic Congestion by Analysis of Ship's Domain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0 no.5 = no.64, 2014년, pp.535 - 542  

박영수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수송과학부) ,  정재용 (목포해양대학교 국제해사수송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해상교통혼잡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선박점용영역크기, 선박의 속력, 항로폭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장 민감한 요소로 선박점용영역을 도출하였다. 선박점용영역에 대해 일본, 덴마크 해협, 중국 상하이항에서의 점용영역에 대한 기존 연구사례를 조사하고, 우리나라 진해만 피항시의 해상교통관측조사를 통한 선박점용영역을 도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민감도 분석결과, 선박속력 1노트 변화시 10 %, 항로폭 100미터 변화시 18 %, 점용영역 장직경 1L 변화시 34 %~43 %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현행 진단제도에서 사용하는 $8L{\times}3.2L$, $6L{\times}1.6L$은 일본의 $3.5L{\times}1.5L$, 중국 상하이항 $5.9L{\times}2.2L$, 덴마크 해협 $4L{\times}5B$ 및 진해만 피항시의 선박점용영역 $3L{\times}2L$과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concluded that the area is most sensitively affected by the maritime traffic congestion rather than other factors including the ship's speed and fairway width. We performed a literature review for the area used in Japan, Denmark, and Shanghai ports, and analyzed by comparing with th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 해역에서 선박간 점용영역이 별도로 조사 분석된 연구 사례는 없다. 이 연구에서는 선박통항이 가장 많을 것으로 추정되는 진해항 태풍 피항 이후 회항하는 시기에 대한 교통자료를 통하여 선박 점용영역을 분석하고자 한다.
  • , 2010)되고 있을 정도로 중요한 지표이며, 최근에는 신뢰성 향상을 위한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중 해상교통특성을 평균적으로 산정함으로써 왜곡될 수 있는 피크시간 혼잡도 산출의 한계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실측조사를 기반으로 하여 평가한 사례(Yoo et al., 2013)를 비롯하여, 혼잡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선박길이의 현실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국내 무역항에 입출항한 선박의 길이를 제시한 연구(Lee and An, 2013), 혼잡도 평가를 위한 진단기술기준 개선을 위한 연구(Um et al., 2012)등을 통하여 혼잡도 항목의 정밀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현재 해상교통혼잡도를 표현하는 기본교통용량 산출 항목의 기준, 예를 들어 선박 전후점용영역이 6L~8L이 적합하다는 전제로 연구가 진행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해상교통혼잡도의 기준이 되는 기본 교통용량을 산출하는 항목인 표준선박 길이, 선박점용영역 크기, 평균속력, 항로폭별로 교통용량 결과값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이 항목 중 기본교통용량 산출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항목을 식별한 후, 이 항목에 대하여 선박들이 수로를 가장 많이 통항할 것으로 사료되는 우리나라 진해만 태풍 피항 이후 회항시기의 관측 조사 사례를 통하여 해상교통혼잡도 기준 설정 시 유의하여야 할 사항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해사안전법의 해상교통안전진단 수행시 평가항목인 해상 교통혼잡도는 실용교통용량 산출값에 따라 혼잡도에 영향을 미치며, 이 실용교통용량은 선박점용영역 설정 값에 의하여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이 선박점용영역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선박점용영역에 대하여 최신 연구와 우리 연안의 해상교통분석 사례를 통하여 선박점용영역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상교통혼잡도란? 항만 및 수로의 해상교통혼잡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해상교통혼잡도라 한다(Park et al., 2013).
55년 동안의 우리나라 항만의 기항 선박 척수 및 톤수를 살펴보면 어떠한가? 1과 같다. 우리나라 입출항 선박 척수는 1962년에 100,000척이 넘었으며 1983년도에 200,000척이, 1991년도에 300,000척, 2007년도에 400,000척이 넘게 기항한 것으로 조사되어 선박의 지속적인 척수 증가를 보이고 있다. 한편, 입출항척수 증가와 함께, 입출항한 선박의 1척당 톤수는 1960년에는 657톤, 1976년도에 1,000톤을 초과하였고, 2013년도에는 9,200톤에 이르고 있어 우리나라 항만에 기항하는 선박의 대형화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1960년부터 이후 50년간 우리나라 항만에 입출항하는 선박의 변화는 어떠한가? 1960년의 우리나라 항만에는 년간 35,000여척의 선박이 입출항 하던 해상교통 상황이 경제 발전과 더불어 50년이 지난 최근에는 년간 390,000여척의 선박이 우리나라의 항만에 입출항하고 있다. 이러한 선박 척수의 증가와 함께 입출항 선박의 톤수는 50년 동안 14배가 증가할 정도로 선박크기면에서는 대폭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 I. S., I. C. Kim and Y. S. Lee(2010), "The Introductory Concept of Maritime Safety Audits as atool for identifying Potential Hazards",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34, No. 9, pp. 699-704. 

  2. Fujii, Y., T. Makishima and K. Hara(1981), "Marine Traffic Engineering", Kaibundo, pp. 122-129. 

  3. Geoerlandt, F., J. Montewka, E. S. Ravn, M. Hanninen and A. Mazaheri(2012), "Analysis of the near-collisions using AIS data for the selected locations in the Baltic Sea", Efficient, Safe and Sustainable Traffic at Sea, No. 013, pp. 4-11. 

  4. Inoue, K.(2013), "Theory and Practice of ship handling", Sanghakdang, pp. 224-225. 

  5. Jeong, J. Y, Y. S Park and J. S. Park(2006), "A Study on the Ship's Domain in the Restricted Water(I)", Proceeding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30, No. 2, pp. 5-7. 

  6. Kookje Paper(2014), "As time going by, the size of ship called Busan port increases". 

  7. Lee, Y. S. and Y. J. Ahn(2013), "A study on the Standard Ship's Length of Domestic Trade Po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9, No. 2, pp. 164-170. 

  8. MarineTraffic(2014), http://www.marinetraffic.com/. 

  9. National Typhoon Center(2014), http://www.kma.go.kr/. 

  10. Park, J. S., Y. S. Park and S. J. Na(2013), "Marine Traffic Engineering and Policy", Dongwon Publisher, p. 187. 

  11. Park, Y. S., J. Y. Jeong and J. S. Kim(2010), "A study on the Minimum Safety Distance between Navigation Vessels based on Vessel Operator's Safety Consciousn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6, No. 4, pp. 401-406. 

  12. SPIDC(2014), http://www.spidc.go.kr/. 

  13. Um, H. C., W. J. Jang, K. M. Cho and I. S. Cho(2012),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the Marine Traffic Congestion and the Improvement of a Technical Standa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8, No. 5, pp. 416-422. 

  14. Yoo, S. R., C. Y. Jeong, C. S. Kim, S. H. Park and J. Y. Jeong(2013), "A Study on Evaluation of Marine Traffic Congestion based on Research in Major Po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9, No. 5, pp. 483-4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