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워크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수용태도와 기대효과간 인과관계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ed Effects by Acceptance Attitudes of Smart Work 원문보기

한국IT서비스학회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13 no.4, 2014년, pp.65 - 78  

박기호 (호서대학교 경영학부 디지털기술경영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 explor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cceptance attitudes and the expected effects of smart work.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mart technologies, lots of organizations try to innovate in the conventional working styles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결과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워크 개념을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의 최고경영층에게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된 동기 및 연구의문점으로는 첫째, 스마트워크에 대한 인지적 기대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둘째, 영향 요인 중 어떤 변인이 주도적 영향을 줄 것인가? 셋째,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그 원인은 무엇인가? 등의 의문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의 스마트워크 수용태도가 기대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독립변수는 스마트워크 근무방식 및 조직적 지원, 원격근무자에 대한 관리 평가, 업무용 기기사용에 관한 인식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2:스마트워크를 위한 조직적 준비가 잘 되어 있는 경우는 조직 구성원들의 삶의 질 향상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4:원격근무자들에 대한 관리 및 업적평가의 어려움은 조직 구성원들의 삶의 질 향상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5:본인기기를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는 태도는 조직 구성원들의 삶의 질 향상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긍정적인 스마트워크 수용태도는 인지적 기대효과인 삶의 질 향상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2:스마트워크를 위한 조직적 준비가 잘 되어 있는 경우는 업무효율성 증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4:원격근무자들에 대한 관리 및 업적평가의 어려움은 업무효율성 증대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5:본인기기를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는 태도는 업무효율성 증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긍정적인 스마트워크 수용태도는 인지적 기대 효과인 업무효율성 증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2:스마트워크를 위한 조직적 준비가 잘 되어 있는 경우는 조직 내 의사소통 활성화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4:원격근무자들에 대한 관리 및 업적평가의 어려움은 조직 내 의사소통 활성화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5:본인기기를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는 태도는 조직 내 의사소통 활성화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긍정적인 스마트워크 수용태도는 인지적 기대효과인 조직 내 의사소통 활성화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2:스마트워크를 위한 조직적 준비가 잘 되어 있는 경우는 업무 생산성 증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3:기기 및 사용료의 조직차원 지원은 업무 생산성 증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4:원격근무자들에 대한 관리 및 업적평가의 어려움은 업무 생산성 증대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5:본인기기를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는 태도는 업무 생산성 증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긍정적인 스마트워크 수용태도는 인지적 기대효과인 업무 생산성 증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2:스마트워크를 위한 조직적 준비가 잘 되어 있는 경우는 국가 사회비용 절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3:기기 및 사용료의 조직차원 지원은 국가 사회비용 절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4:원격근무자들에 대한 관리 및 업적평가의 어려움은 국가 사회비용 절감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5:본인기기를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는 태도는 국가 사회비용 절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긍정적인 스마트워크 수용태도는 인지적 기대효과인 국가 사회비용 절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결과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워크 개념을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의 최고경영층에게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된 동기 및 연구의문점으로는 첫째, 스마트워크에 대한 인지적 기대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둘째, 영향 요인 중 어떤 변인이 주도적 영향을 줄 것인가? 셋째,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그 원인은 무엇인가? 등의 의문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워크 개념을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의 최고경영층에게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된 동기 및 연구의문점으로는 첫째, 스마트워크에 대한 인지적 기대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둘째, 영향 요인 중 어떤 변인이 주도적 영향을 줄 것인가? 셋째,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그 원인은 무엇인가? 등의 의문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스마트워크의 도입은 근로자의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효과와 함께 업무의 부담감을 줄여 여유 있는 업무수행을 가능하게 한다(Raghuram and Wisenfeld, 2004). 원격근무는 근무 장소와 근무시간의 유연성을 증대하고, 스마트워크 추진을 위한 조직의 충분한 준비, 업무용 IT환경에 대한 전사적 지원, 원격근무자에 대한 평가체제의 합리성 등은 조직 구성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는 명제 하에 다음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워크 실현 프레임워크에는 무엇이 있는가? PwC가 제시하고 있는 스마트워크 실현 프레임워크는 장소(place), 사람(people)과 프로세스(process), 기술(technology), 그리고 시간(time) 등 4가지 차원이다. 장소는 근무 장소를 의미한다.
스마트워크에 대한 긍정적 차원뿐만 아니라 부정적 차원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또한 행정복합도시로 이전된 정부 혹은 공공기관의 업무효율성을 위해서라도 범국가적으로 스마트워크의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차원의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워크를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하는 기업들은 아직까지도 스마트워크의 효과에 대해 확신을 가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Jung, 2011). 따라서 스마트워크에 대한 긍정적 차원뿐만 아니라 부정적 차원에서도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Park and Kim, 2013).
스마트워크란 무엇인가? 스마트워크란 스마트기술 기반위에 근무 프로세스, 시간, 장소, 기술, 인적 요소를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조직성과의 향상과 구성원의 근무환경 개선 등의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는 근무방식의 혁신적 패러다임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사무실 공간을 탈피하여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업무수행이 가능토록 하는 미래지향적 업무환경으로 정의되기도 한다(Wikipedia,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rkman Center for Internet and Society at Harvard University, "Next Generation Connectivity Report", 2010. 

  2. Bush, W.R., "Telecommuting : The case of research software development",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Vol.37, 1990. 

  3. Cho, N.J., H.S. Han, K.H. Park, and S.R. Kwon, "Change of communication and future economic structures based on the convergence",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digital convergence(III) series 11-04, KISDI, 2011. 

  4. Cho, S.H., "Teleworking in 2010 and change of working and residual environment", Journal of Informatization Polic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1997. 

  5. Eaton, S.C., "If you can use them : Flexibility polici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performance", Industrial Relations, Vol.42, 2003, 145-167. 

  6. Handy, S.L. and P.L. Mokhtarian, "Planning for Telecommuting : Measurement and Policy Issue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61, No.1, 1995. 

  7. Huws, H., Telework : Towards the Elusive Office, John Wiley and Sons, 1990. 

  8. Jang, D.S., "Exploratory research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mart Work environment between cognition and performance of work for SM employe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Vol.17, No.2, 2012, 225-230. 

  9. Jung, C.H., "Issues for progressive trend and activation of smart work", JIPS, Vol.18, No.2, 2011, pp.82-89. 

  10. Kang, Y.J., "Recognition of public officers about introducing telework", 2004 Symposium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governance, 2004, 1-23. 

  11. Kim, F.V., "Direction of policies for strong global smart nation through balancing between life and work", ITA Journal, Vol.134, 2011, 14-19. 

  12.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Master Plan for Smart Mobile 2010", 2010. 

  13. Kwak, I.G., J.B. Kim, and N.Y. Lee, "Expansion of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and activation of smart work center", JIPS, Vol.18, No.2, 2011, 59-72. 

  14. Lee, J.S. and H.S. Kim,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smart work and activation issue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Vol.13, No.4, 2010, 75-96. 

  15. Marakas, G.M. and Y.Y. Mun, "The multilevel and multifaceted character of computer selfefficacy : Toward clarification of the construct and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research",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9, No.2, 1998, 126-163. 

  16. NIA, "Future of Work-Smart Work", International conference of smart work, 2012. 

  17. Oh, H.S., "Activation of entertainment in the age of smart work",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3, No.1, 2011, 1-15. 

  18. Park, J.K., "Case of smart work in Woongjin Holdings", Journal of Internet Information, Vol.12, No.2, 2011, 29-33. 

  19. Park, K.H. and Y.J. Kim, "Difference in Acceptance Level of Smart Work among Tendencies of Personal Leadership Styles", Journal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Vol.11, No.11, 2013, 197-207. 

  20. Pflaeging, N., Un-leadership : How to make Smart Work by getting rid of management, 2012. 

  21. PwC, http://www.pwc.com/kr/ko/challenges/smartwork.jhtml?querysmart&live1, 2012. 

  22. Raghuram, S. and B. Wisenfeld, "Worknonwork conflict and job stress among virtual workers",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 43, 2004. 

  23. Ramsower, R.M., Telecommuting : The Organizational and Behavioral Effects of Working at Home. UMI Research Press, 1985. 

  24. Rane, A. and T. Argawal, "The Future of Workplace", 2011. 

  25. Rothausen, T.J., "Job satisfaction and the parent workers : The role of flexibility and reward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44, 1994, 317-336. 

  26. Thomas, L.T. and D.C. Ganster, "Impact of family-supportive work variabl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strain : A control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0, 1995, 6-15. 

  27. van Dyne, L., E. Kossek, and S. Lobel, "Less need to be there : Cross-level effects of work practices that support work-life flexibility and enhance group processes and group level OCB", Human Relations, Vol.60, 2007, 1123-11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