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및 도시 주민의 주택 만족도 영향 요인 비교 연구
A Comparison of Determinants of Housing Satisfaction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5 no.4, 2014년, pp.567 - 579  

황정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최윤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박진우 (수원대학교 통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ousing environments of individuals and families can have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ir quality of life.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influencing housing satisfaction and compares them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A total of 3,958 households collected from a nationwide survey were analyzed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농촌의 객관적 주택 조건이 도시에 비해 열악함에도 불구하고 농촌의 주택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조사 결과에 주목하여, 농촌과 도시의 주택 만족도를 영향 요인의 비교를 통해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적인 대표성을 고려하여 설계된 표본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3년 농어업인 복지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함으로써 신뢰성있는 분석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대표성있는 표본을 추출하여 실시한‘2013 농어업인 복지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농촌과 도시 간 특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상대 적으로 열악한 조건에 있는 농촌의 주거 여건 개선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농촌의 객관적 주택 조건이 도시에 비해 열악함에도 불구하고 농촌의 주택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조사 결과에 주목하여, 농촌과 도시의 주택 만족도를 영향 요인의 비교를 통해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적인 대표성을 고려하여 설계된 표본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3년 농어업인 복지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함으로써 신뢰성있는 분석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종속변수가 순서형 척도일 때 적합한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적용하였다.
  • 주택 만족도가 주택의 객관적 조건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 아님은 이미 여러 선행연구들이 역설하고 있는 바이나(Galster & Hesser 1981; Lu 1999; Choi 2004), 본 연구는 농촌과 도시 간 주택 만족도의 차이를 영향 요인의 비교 분석을 통해 조명하고자 한다.
  • 주택 만족도가 주택의 객관적 조건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 아님은 이미 여러 선행연구들이 역설하고 있는 바이나(Galster & Hesser 1981; Lu 1999; Choi 2004), 본 연구는 농촌과 도시 간 주택 만족도의 차이를 영향 요인의 비교 분석을 통해 조명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주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동시에, 농촌과 도시 간 주택 만족도에 대한 영향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구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택 만족도란? 주택 만족도(housing satisfaction)는 사용자의 관점에서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이 사용자의 필요를 얼마나 충족시키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인지적 구성물이다(Lu 1999). 주택을 포함한 주거 만족 (residential satisfaction)에 대한 연구는 오랫동안 여러 학문 분야에서 관심을 가져온 주제였다.
주거환경의 협의적, 광의적 정의는 무엇인가? 주거환경은 인간이 주거생활을 영위하는 모든 조건으로서, 협의적으로는 주택 그 자체이며, 광의적으로는 주택 내외부와 관련된 여러 조건으로 정의할 수 있다(Lee & Lee 1994; Kwon et al. 2005).
주택을 포함한 주거 만족에 대한 연구가 오랫동안 여러 학문에서 관심을 가져온 주제인 이유는? 주택을 포함한 주거 만족 (residential satisfaction)에 대한 연구는 오랫동안 여러 학문 분야에서 관심을 가져온 주제였다. 이는 첫째, 개인의 삶의 질에 있어 주거 만족이 주요한 요소가 되며, 둘째, 이주 결정 과정을 설명하는 데에 주된 변인이 되기 때문이다(Morris & Jakubczak 1988; Amerigo & Aragones 1997; Lu 1999). 또한, 주거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평가는 주거 환경에 대한 공공 정책의 근간을 형성한다(Lu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merigo M, Aragones JI(1990) Residential satisfaction in council housing. J Environ Psychol 10, 313-325 

  2. Amerigo M, Aragones JI(1997) A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 to the study of residential satisfaction. J Environ Psychol 17, 47-50 

  3. Cho YS, Choi YJ, Park DB, Yoon SD(2009) The influence of housing condition upon housing environment satisfaction in rural farms. Proceedings 2009 Fall Symposium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4. Choi OK, Choi MS(2012) A study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factors decision of remodeling apartment residents. J Korea Real Estate Anal Assoc 18(4), 73-97. 

  5. Choi YB(2004) An analysi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based on weight value. Korea Public Adm Rev 38(6), 415-440 

  6. Diaz-Serrano L(2006) Housing satisfaction, homeownership and housing mobility: a panel data analysis for twelve EU Countries. Bonn : Forschungsinstitut 

  7. Elsinga M, Hoekstra J(2005) Homeownership and housing satisfaction. J Hous Built Environ 20, 401-424 

  8. Galster GC, Hesser GW(1981) Residential satisfaction : compositional and contextual correlates. Environ Behav 13, 735-758 

  9. Hwang JI, Choi YJ(2014) 2013 report on rural wellbeing survey. Suwon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0. Ji NS, Lim BH(2013) Analysis of the comparison and the correlation of residential satisfactions by rental housing types. J Korea Plan 48(4), 33-51 

  11. Jung SI(1997). Satisfaction with residential region of detached dwelling residents in Taegu. Geogr Res 30, 103-114 

  12. Jung SY(1999). Determinan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in district for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J Soc Science Res 6(1), 499-523 

  13. Kim KS, Kim JJ, Kim JH(2006)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partment brands and consumer housing satisfaction. J Archit Inst Korea 22(11), 189-197 

  14. Kim SH(2007) A study on living satisfaction ratio of residents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at a provincial city : centering on residents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at GangWon-Do region. J Resid Environ Inst Korea 5(2), 175-190 

  15. Kim SY, Park CI(2012)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resident satisfaction in public rental housing. Soc Science Res Rev 28(2), 79-99 

  16.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08) Report on rural well-being survey 

  17. Kwon CG, Jung HW, Lee JY(2005) Determinan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 the case of Ulsan Metropolitan Area, Korea. Korean Assoc Local Gov Stud 7(2), 113-128 

  18. Lee KS(1992) Literature review on the rural housing environment : trends and tasks. Korean J Rural Living Sci 3, 1-16 

  19. Lee KS, Lee WY(1994) A study of the changes of rural housing conditions. Korean J Rural Living Sci 5(1), 31-41 

  20. Lee SG, Jung SH(2008) Determinan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in national public housing. J Korea Reg Innov 3(2), 13-36. 

  21. Lee SW, Min SH, Park JY, Yoon SD(2005) An application of logit and probit model. Seoul : Parkyongsa 

  22. Lee CH(2001) Analysi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new town in Seoul Metropolitan Area. J Korea Plan 36(6), 191-204 

  23. Lee CH(2014) Policy issues of rural housing. Issue and Discussion 855. Seoul :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24. Lawton MP(1980) Housing the elderly: residential quality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Res Aging 2, 309-328 

  25. Lu M(1999) Determinan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 ordered logit vs. regression models. Growth Chang 30, 264-287 

  26. McFadden D(1974) Conditional logit analysis of qualitative choice behavior. California : Academic Press 

  27. Mohit MA, Ibrahim M, Yong RR(2010) Assessment of residential satisfaction in newly designed public low-cost housing in Kuala Lumpu, Malaysia, Habitat Int 34, 18-27 

  28. Morris EW, Jakubczak M(1988) Tenure-structure deficit, housing satisfaction and the propensity to move : a replication of the housing-adjustment model. Hous Soc 15(1), 41-55 

  29. Morris, EW, Winter M(1978) Housing, family and society. New York : John Wiley 

  30. Nam YW, Choi MS(2007)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of national rental housing residents. J Korea Real Estate Anal Assoc 13(3), 89-103 

  31. Perez FR, Fernandez-Mayoralas G, Rivera FEP, Abuin JMR(2001) Ageing in place: predictors of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elderly. Soc Indic Res 54, 173-208 

  32. Varady DP, Preiser WFE(1998) Scattered-site public housing and housing satisfaction. J Am Plan Assoc 64(2), 189-207 

  33. Yu SE, Yang SW(2013)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index and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according to zoning in the urban life's housing. Urban des 14(4), 83-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