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행에 대한 도시환경의 차이: 서울 도심을 중심으로
Effects of Urban Environments on Pedestrian Behaviors: a Case of the Seoul Central Area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2 no.6, 2014년, pp.638 - 650  

권대영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전공) ,  서동주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전공) ,  김소윤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전공) ,  김홍석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도심지역의 행정동별 지역적 요소와 계획적 요소가 목적지로의 통행수단으로서 보행을 결정하는 것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분석 결과 및 보행의 공간적 특성을 통해 지역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함에 있다. 보행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의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역적 차원의 회귀분석 모형인 최소자승모형을 사용하였고, 이와 더불어 다양한 공간통계 분석모형 중 지역별 보행특성을 기반으로 공간적 이질성을 고려하는 지리가중회귀모형의 적용을 통해 지역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전역적 차원의 회귀분석 결과 목적지로의 보행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지역적 요소 중 교통시설 지역 및 상업지역, 대학교 면적이, 계획적 요소 중에서는 교육.연구시설 및 계획시설 면적이 보행 선택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지리가중회귀모형의 분석 결과를 통해 서울 도심지역 중 교통중심지 및 취약지, 상업 업무 중심지, 대학가 중심지, 연구시설 밀집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지역 및 공간적 이질성에 대한 이해 없이 진행되었던 기존의 계획 및 정책들에 지역적 특성이라는 정보를 제공함으로 이에 대한 반영의 여지를 주어 보다 지역발전 차원의 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es of pedestrian volume path to the destination by investigating the influential levels of regional and planning features in the central area of Seoul. Regional characteristics can be classified from the result of the analysis and through the spat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방법론별 결과 값들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토지이용 및 계획시설의 현황과 보행특성을 토대로 목적지로의 보행결정에 대한 전역 및 지역적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지역적 특성과 보행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분석들을 통해 본 연구의 결과들은 계획의 우선 시행 지역의 판단을 위한 의사결정 도구로서의 활용이 기대되며, 추후 관련 계획 및 정책 수립과정에 있어 지역적 특성이라는 정보를 제공함으로 보다 지역발전 차원의 계획 및 정책 수립과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 첫 째로는 과연 해당 지역의 지역적 요소와 계획적 요소가 사람들이 걷는 것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것이며, 다음으로는 보행량이 많은 지역에는 과연 어떠한 요소들이 위치하고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더 나아가 마지막으론 목적지로의 통행수단을 보행으로 결정하게끔 하는 요인이 지역별로 상이한지에 대한 물음 하에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 본 연구는 지역적 요소와 함께 계획적 요소를 고려한 서울 도심지역의 보행량에 대한 영향요인들을 전역 및 국지적으로 분석하였고, 이와 더불어 이를 통한 지역별 특성 파악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미시적 차원의 국내·외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거시적 차원에서 해당 행정동으로의 보행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며, 지역적 특성과 보행 특성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 앞서 기술하였던 국내·외 여러 선행연구들은 주로 등분산성을 가정하는 모형을 통해 보행량의 결정 또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앞선 OLS 분석 결과를 통해 해당 변수에 대한 추가적인 공급이 보행량의 증가에 얼마만큼 영향을 주는지 전역적인 차원에서 보았다. 이와 다르게 국지적 차원의 분석 모형인 지리가중회귀모형을 통한 결과는 보행량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지역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으로 이는 다르게 말해 해당 지역의 특성에 따라 해당 변수의 추가적인 공급이 보행량의 증가가 아닌 감소를 불러올 수도 있다는 뜻이다.
  • 상위 4가지 설명변수별로 제시한 2개의 그림들은 해당 설명변수들의 국지적 계수 및 국지적 계수들의 군집화한 결과를 연구 지역에 해당하는 130개의 행정동별로 도식화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역별 차이를 보다 쉽게 해석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지역별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군집화 방법으로는 핫스팟 분석(Hot Spot Analysis)으로 불리는 Getis and Ord’s Gi를 이용하였으며, 5%의 유의수준 에서 도식화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간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그 지역적 성격을 대변할 수 있는 주거, 상업·업무, 교통시설지역 및 대학교의 면적과 더불어 그 지역에 위치하는 교육·연구시설, 계획시설 면적을 설명변수로 설정하여 각각 행정동의 지역 및 계획적 특성에 따라 각각의 행정동을 목적지로 하는 보행량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실제의 현황 또는 현상들이 가지는 이분산성을 가정한 접근법인 지리가중회귀모형을 적용하여 본 주제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목적지로의 통행수단 중 보행을 선택하는 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많은 지역을 파악하여 통행의 원활화 또는 이에 대한 유발을 목적으로 하는 요소들의 관련 계획 및 정책 수립 과정에 지역별 정보를 제공하여 의사 결정시 그에 대한 도구로써 활용되어질 것을 기대한다.
  • , 2007; Rodriguez and Joo, 2004; Zhang, 2004).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행량에 대한 분석을 보다 거시적인 차원에서 수행하고, 연구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해당 지역의 특성이 목적지로의 통행수단으로 보행을 결정하는 것에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설명변수들로 연구 지역 내의 행정동별 주거, 상업・업무, 교통시설, 대학교로 이용되는 토지의 면적을 비롯해 교육·연구시설, 계획시설 면적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 4가지 비교값들 중 본 연구에서는 보정된 R2 값과 AICc4) 값을 비교함으로 더욱더 적합한 모형을 판단하고자 하며 이는 각각 R2 값과 AIC 값의 단점을 보완한 식의 값이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공간계량모형의 핵심적인 2가지 통계적 개념인 공간적 종속성과 공간적 이질성에 대한 검증 결과의 비교를 통해 본 연구에 더욱 적합한 모형을 판단하고자 한다.
  •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최소자승모형과 지리가중회귀모형을 적용하여 보행량의 전역적, 국지적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최소자승모형을 적용하여 보행량에 대한 전역적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주거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5가지 설명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모든 변수들이 보행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정부는 대중교통체계개편(2004)과 같은 정책을 수립 및 시행하였고, 비교적 최근인 2013년 서울시는 교통장기계획인 서울교통비전2030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해당 계획은 보행, 자전거,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체계 재개편을 시사해주는 것이었다. 이 중 보행자를 위한 보행환경개선계획의 세부안으로는 보도면적의 2배 확충, 보행 동선의 재정비, 노약자를 위한 교통안전구역지정, 보행자 전용구역 지정 등이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간계량모형에는 무엇이 있는가? 공간자료를 이용한 분석이 이루어질 경우 고려해야할 핵심적인 두 가지 통계적 개념에는 공간적 종속성 (Spatial Dependence)과 공간적 이질성(Spatial Heterogeneity)이 존재한다. 공간계량모형은 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모형으로, 이에 해당하는 모형들로는 SAR, SEM, SAC, 공간확장모형, DARP, GWR 모형 등이 있다(Lee et al., 2006).
보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보행이라는 통행수단은 가로환경 뿐만 아니라 보행이 일어나는 공간 그 자체의 특성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국내에서의 기존 계획 및 정책들은 사람들의 통행 행태만을 고려할 뿐 보행 그 자체가 이루어지는 공간에 대한 이해 없이 진행되어왔다.
이동시간을 줄이고자 무단히 노력한 결과는 무엇인가? 개개인은 그들의 편의 및 효용을 위해 목적지로의 이동시간을 줄이고자 무단히 노력을 해왔다. 이러한 노력은 삶의 질이 풍요로워 질수록 더욱더 이루어져 왔고, 이러한 결과물로 고속철도와 같은 고속 교통수단들은 이제 우리 주위에서 흔히 이용되고 있는 교통수단이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runsdon C., Fortheringham S., Charlton M. (1998),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D (The Statistician), 47(3), 431-443. 

  2. Burnham K. P., Anderson D. R. (2002), Model Selection and Multimodel Inference: A Practical Information-Theoretic Approach, Springer(New York, USA). 

  3. Cervero R. (1996), Mixed Land-uses and Commuting: Evidence from the American Housing Surve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Policy and Practice, 30(5), 361-377. 

  4. Cervero R., Duncan M. (2003), Walking Bicycling, and Urban Landscapes: Evidence from the San Francisco Bay Area,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3(9), 1478-1483. 

  5. Charlton M., Fotheringham S. (2009),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White Paper, National Centre for Geocomput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Maynooth. 

  6. Fotheringham A. S., Brunsdon C., Charlton M. (2003),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the Analysis of Spatially Varying Relationship, John Wiley & Sons(San Francisco, USA). 

  7. Frank L. D., Sallis J. F., Saelens B. E., Leary L., Cain K., Conway T. L. et al. (2010), The Development of a Walkability Index: Application to the Neighborhood Quality of Life Study,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44(13), 924-933. 

  8. Greenwald M. J., Boarnet M. G. (2001), Build Environment as Determinant of Walking Behavior: Analyzing Nonwork Pedestrian Travel in Portland, Orego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780(1), 33-41. 

  9. Handy S. L. (1996), Understanding the Link between Urban Form and Nonwork Travel Behavior,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15(3), 183-198. 

  10. Kim H. J., Lee S. W. (2011), Determinants of 5 Major Crim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pplication of Mixed GWR Model, Seoul Studies, 12(4), 137-155. 

  11. Kockelman K. M. (1997), Travel Behavior as Function of Accessibility, Land Use Mixing, and Land Use Balance: Evidence from San Francisco Bay Area,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607(1), 116-125. 

  12. Lee H. Y., Sim J. H. (2011),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Bobmunsa(Paju, Korea). 

  13. Lee J. A., Koo J. H. (2013),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of Street on Pedestrian Volume: Focused on Central Business District(CBD, GBD, YBD) of Seou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8(4), 269-286. 

  14. Lee J., Wong D. W. (2001), Statistical Analysis with ArcView GIS, John Wiely & Sons. 

  15. Lee K. H., Ahn K. H. (2008), An Empirical Analysi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Affecting Residents' Walking: A Case Study of 12 Areas in Seoul,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Part, 24(6), 293-302. 

  16. Lee S. W., Yun S. D., Park J. Y., Min S. H. (2006), Practice on Spatial Econometrics Models, Parkyoungsa(Seoul, Korea). 

  17. Lee Y. S., Choo S. H., Kang J. M. (2013), Analysing Key Factors to Affect Change of Pedestrian Volume by Neighborhood Units in Seou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8(4), 269-286. 

  18. Malczewski J., Poetz A. (2005), Residential Burglaries and Neighborhood Socioeconomic Context in London, Ontario: Global and Local Regression Analysis, The Profession Geographer, 57(4), 516-529. 

  19. Mitchell A. (2005), The ESRI Guide to GIS Analysis: Spatial Measurements and Statistics, 2, ESRI Press(Redlands, USA). 

  20. Park C. G., Cho S. K. (2014),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Suwon City Bus Route using GWR Model,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2(1), 41-46. 

  21. Park J. Y., Park C. K. (2008), Estimating Interregional Trade Flows of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24(2), 27-57. 

  22. Pinjari A. R., Pendyala R. M., Bhat C. R., Waddell P. A. (2007), Modeling Residential Sorting Effect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Built Environment on Commute Mode Choice, Transportation, 34(5), 557-573. 

  23. Rodriguez D. A., Joo J.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Non-motorized Mode Choice and the Local Physical Environment,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Transport and Environment, 9(2), 151-173. 

  24. Seo J. L., Choi Y. M., Park S. H. (2011), An Empirical Study of Walking Amounts and Routes in Residential Neighborhood: Based on Seoul Bukchon Housewives' Walking Data Drawn from GP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Part, 27(9), 271-281. 

  25. Wang J. F., Liu X., Christakos G., Liao Y. L., Gu X., Zheng X. Y. (2010), Assessing Local Determinants of Neural Tube Deffects in the Heshun Region, Shanzi Province, China, BMC Public Health, 10(1), 52. 

  26. Yu D. (2007), Modeling Owner-occupied Single-family House Values in the City of Milwaukee: A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Approach, GIScience & Remote Sensing, 44(3), 267-282. 

  27. Yun N. Y., Choi C. G. (2013), Relationship between Pedestrian Volume and Pedestrian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Commercial Streets in Seou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8(4), 135-150. 

  28. Zhang M. (2004), The Role of Land Use in Travel Mode Choice: Evidence from Boston and Hong Kong,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0(3), 344-36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