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통인프라와 통행행태를 기반으로 한 통합적 형평성 분석: 경기도를 중심으로
Integrated Equity Analysis Based on Travel Behavior and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 Gyeonggi-Do Case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1 no.4, 2013년, pp.47 - 57  

빈미영 (경기개발연구원 교통연구실) ,  이원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문주백 (경기개발연구원 교통연구실) ,  조창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간 형평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교통인프라지표와 통행행태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였다. 교통인프라지표로는 도로시설, 대중교통시설, 지역특수지수를 이용하였다. 통행행태는 1일자의 버스교통카드데이터를 이용하였다. 공간군집 분석과 전역적 국지적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 분석단위를 읍 면 동으로 하였을 때 해당지역과 주변지역의 인프라수준이 높은지역(High-High)에서 모두 낮은지역(Low-Low)등 4개의 수준으로 구분되었다. HH type의 지역에서는 버스이용자, 통행, 환승 수가 높고, LL Type의 지역은 내부통행수, 통행시간, 통행거리, 통행속도, 요금항목이 높게 나타났다. 전역적 회귀분석에 의해 교통인프라 수준을 통행행태 변수로 회귀한 결과, 버스이용자수(bus users), 평균환승수(mean_trans), 평균내부통행수(mean_inside), 평균통행속도(mean_speed), 총 4개의 통행특성 변수가 유의하게 추출되었다. 이들 변수를 적용하여 국지적 회귀분석(GWR)을 수행한 결과 전역적 회귀분석에 비해 AIC와 ANOVA 결과 모두 모형의 결과를 유의하게 향상시켜, 경기도 내 통행행태 특성이 교통인프라 수준을 설명하는 데 있어 지역 간 차이가 많이 존재하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ransportation equity between geographical areas of Gyonggi Province, by taking both th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nd travel behavior into account. Indicators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clude the indices of road infrastructure, transit infrastructure and r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기도 교통형평성의 지역 간 편차에 주목하여, 지역별 교통인프라 수준과 통행행태를 근거로 경기도의 교통형평성을 통합적으로 분석⋅평가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 AIC값의 절대량은 의미가 없으며, 각 모델들을 비교할 때 어느 것이 적합한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Jung, 2009). 본 연구에서는 ANOVA분석을 통한 OLS 와 GWR의 잔차값과 AIC값을 동시에 살펴봄으로서 GWR 모델을 평가한다.
  • 앞에서의 측정 변수 표준화 값의 단계구분에서와 마찬가지로, 합산 결과인 교통인프라 수준 값의 평균을 3개 구간으로 분류하였다. 이는 평균값을 기준으로, 인프라 수준을 상 중 하로 구분함으로써, 집단구분을 통해 지역별 분포를 명확하게 살펴보고자 함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간 교통형평성을 “교통시설과 서비스 공급의 지역 간 차이에 의한 이용자의 이동에 대한 제약이, 이용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의 차이나 이용자가 속한 지역적 특성의 차이가 용인하는 범위 내에 있는 상태”로 정의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형평의 사전적 의미는? 형평은 사전적으로 ‘같음’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복잡한 현대 사회에서는 형평성을 단순히 ‘같음’의 뜻으로만 규정할 수 없다.
교통인프라는 어떤 것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교통인프라는 통행행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 거주자가 통행을 위해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할 때, 가까운 곳에 버스 정류장이 없다면, ‘버스’는 교통수단의 선택대상에서 배제된다.
교통형평성과 관련된 연구를 할 때, 인프라와 통행행태 두 가지 요소를 모두 고려하는게 바람직한 이유는? 두 번째로는 교통형평성과 관련된 연구를 할 때, 인프라와 통행행태 두 가지 요소를 모두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교통인프라와 통행행태는 공급 중심의 객관적⋅상대적 형평성 이외에, 수요 중심의 최소서비스 수준⋅주관적 형평성 양자의 개념을 복합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urchardt T., Grand J., Piachaud D. (2002), Degrees of Exclusion: Developing a Dynamic, Multidimensional Measure, Understanding Social Exclusion,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 Church A., Frost M. (1999), Transport and Social Exclusion in London: Exploring Current and Potential Indicators, Transport Policy, 7, pp.195-205. 

  3. Fotheringham A. S., Brunsdon C., Charlton M. (2002),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the Analysis of Spatially Varying Relationships, John Wiley and Sons Ltd. 

  4.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10), A Study on the Transportation Competitiveness of the Cities in Gyeonggi-Do. 

  5.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11), A Study on Analysis Travel Patterns and Applications Using Gyeonggi-do Traffic Card Data. 

  6. Hodgson F. C., Turner J. (2003), Participation not Consumption: the Need for New Participatory Practices to Address Transport and Social Exclusion, Transport Policy, 10, pp.265-272. 

  7. Jung W. H. (2009), The Analyzing of Public Transport Mode User's Stay Space Distribution Using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aster Theses, Kyung Hee University. 

  8. Kim J. H., Park I. S., Jung J. H. (2011), Trip Generation Model Based on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J. Korean Soc. Transp., Vol.29, No.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pp.101-109. 

  9.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02),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Road Development Demand Considering Social Equity in Road Service Provision. 

  10.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10), The Enhancement of Linkage Between Housing and Transportation Policy: Focusing on Estimated Location and Household Trip Patter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11.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11), The Strategies of Equity Improvement Toward Fair Society: Focusing on the Equity in Transport Policy. 

  12. Lee W. D. (2011), The Study on Measurement of Urban Spatial Structure: Analyzing Urban Compactness and Changes in Land Price in Seoul, Master theses, Kyung Hee University. 

  13. Lee W. D., Na Y. G., Park S. H., Lee B. J., Joh C. H. (2012), Transportation Equity Analysis Based on the Metropolitan Household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Vol.5, No.1, pp.1226-9492. 

  14. Litman T. (2003), Social Inclusion as a Transport Planning Issue in Canada: Contribution to the FIA Foundation G7 comparison, Victoria Transport Policy Institute. 

  15. Longly P. A., Goodchild M. F., Maguire D. J., Rhind D. W. (2005),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and Science, John Wiley and Sons. 

  16. McDonagh J. (2006), Transport Policy Instruments and Transport-related Social Exclusion in Rural Republic of Ireland,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14, No.5, pp.355-356. 

  17. Noh S. H. (2007), Impacts of Transportation on Social Exclusion,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Vol.41, No.4, pp.457-467. 

  18. Park B. H., Yang J. M., In B. C. (2009), Relationship Between Traffic Accidents of Elderly Pedestrians and Barrier-Free Facilities in the Case of Cheongju, J. Korean Soc. Transp., Vol.27, No.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pp.189-197. 

  19. Preston J., Raje F. (2007), Accessibility, Mobility and Transport-related Social Exclusion,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15, pp.151-160. 

  20. Raje F. (2003), The Impact of Transport on Social Exclusion Processes With Specific Emphasis on Road User Charging, Transport Policy, 10, pp.321-338. 

  21. Sanchez T. W. (1998), Equity Analysis Of Personal Transportation System Benefits, Journal Of Urban Affairs, Vol.20, No.1, pp.69-86. 

  22. Schonfelder S., Axhausen K. W. (2003), Activity Spaces: Measures of Social Exclusion?, Transport Policy, 10, pp.273-286. 

  23. Smith M. D., Goodchild M., Longley P. (2006), Geospatial Analysis, Troubador Publishing Ltd. 

  24. Son H. K. (2007) Dynamic Exploration of Spatial Patterns of House Price Volatility Using GIS and Spatial Statistic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25.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06), An Equity Analysis of the Long Term National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Planning. 

  26.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07), A Study on Constructing the Evaluation System of Level of Service for Urban Transportation. 

  27.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0), A Study of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ravel Patterns of the Elderly. 

  28. Tobler W. R. (1970), A Computer Movie Simulating Urban Growth in the Detroit Region, Economic Geography, Vol.46, No.2, pp.234-240. 

  29. Won J. M. (2006), Transportation Engineering, Parkyoungsa,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