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파브리병(Fabry disease)은 alpha-galactosidase A의 결핍으로 인하여 리소좀에 globotriaosylceramide(Gb3)가 축적되어 여러 장기에 이상을 일으키는 질병이다. 본 연구에서는 파브리병의 만성 합병증 중 심장 질환을 주로 보이는 환자들, 그 중에서도 좌심실 비대증을 보이는 한국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파브리병의 빈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좌심실비대증을 진단받은 환자 25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남성이 172명(평균 56세, 범위 30-81세), 여성이 84명(평균 66세, 범위 45-85세)이었다. 파브리병 선별을 위하여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탠덤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소변 Gb3 농도를 측정하였다. 확진은 형광분석법에 의한 말초혈액의 alpha-galactosidase A 활성도와 염기서열분석법에 의한 GLA 유전자 돌연변이 유무를 검사하여 이루어졌다. 결과: 소변 Gb3 검사에서 cutoff (25 ug/mmoL creatinine)를 초과하는 환자는 4명이었지만, 최종적으로 추가 검사를 통해 진단된 파브리병 환자는 여성 환자 한 명이었다(1/257명, 0.4%). 확진된 환자는 54.3 ug/mmoL creatinine의 Gb3 농도와 15.5 nmole/hr/mg protein (참고범위, $55.2{\pm}12.7nmole/hr/mg$ protein)의 alpha-galactosidase A 활성도를 보였다. GLA 유전자에서는 c.796G>A (p.D266N) 돌연변이가 이형접합체로 관찰되었다. 추가로 시행한 가족검사에서 환자의 딸은 아직 파브리병의 증상을 보이지 않았지만, 엄마와 같은 GLA 돌연변이(c.796G>A)를 가지고 있었으며, alpha-galactosidaseA 활성도는 42.5 nmole/hr/mg protein, 소변 Gb3 농도는 25.5 ug/mmoL creatinine을 나타냈다. 결론: 한국인 좌심실 비대증을 가진 환자들에서 파브리병의 유병율은 0.4%였다. 유병율이 낮아 보임에도 불구하고, 파브리병 진단 전 환자와 가족 구성원을 발견할 수 있는 장점 덕분에 선별검사의 의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Fabry disease (FD) is a lysosomal storage disease caused by the inappropriate accumulation of globotriaosylceramide (Gb3) in tissues due to a deficiency in the enzyme ${\alpha}$-galactosidase A. Hypertrophic cardiomyopathy is one of the chronic complications of FD. We tried to...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만성신부전 등의 신장 증상, 뇌경색 등의 신경계 증상, 좌심실비대증 등의 심혈관계 증상은 매우 치명적일 수 있으며, 환자에 따라 이들 세 장기 중 한 개의 증상만을 보일 수도 있기 때문에 이들 질환에서 파브리병을 감별해내는 것은 매우 중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좌심실비대증을 보이는 한국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파브리병의 빈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선별검사 후 양성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확진검사까지 시행하였다 .
  • 본 연구에서는 파브리병의 만성 합병증 중 심장 질환을 주로 보이는 환자들, 그 중에서도 빈도가 높은 좌심실 비대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파브리병의 빈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기존 문헌과 달리 한국인 좌심실 비대증을 가진 환자들에서 파브리병의 유병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 우리나라에서는 파브리병에 대한 신생아 선별검사가 아직까지 정책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정확한 유병률도 밝혀져 있지 않다. 하지만, 파브리병의 비특이적인 증상으로 인하여 진단되지 못한 환자들이 많을 것으로 추정되며, 파브리병의 선별검사가 환자들의 조기 진단 및 치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좌심실비대증은 파브리병으로 인한 심장의 기능적/해부학적 문제 중 가장 흔한 증상으로 남성 환자들의 60%에서 발현되었다는 보고가 있다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파브리병이란 무엇인가? 파브리병(Fabry disease, OMIM 301500)은 리소좀 효소인 alpha-galactosidase A의 결핍으로 인하여 리소좀에 sphingolipidglobotriaosylceramide (Gb3)가 축적되어 여러 장기에 이상을 일으키는 질병이다. 파브리병을 유발하는 GLA 유전자는 염색체 Xq22에 위치하며, 7개의 엑손으로 구성되어 있다.
파브리병이라고 진단을 내리기 힘든 이유는 무엇인가? 성염색체 열성유전 양상을 보이지만, 여성 보인자들의 약 70%가 파브리병의 증상을 경험하는데, 일반적으로 남성 환자들보다 발병연령이 늦고 증상이 경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파브리병은 증상의 발현으로부터 진단까지의 기간이 매우 길고, 증상을 보이는 장기가 한 가지일 수도 있어 진단을 내리기가 쉽지 않다.
파브리병에서 안과적 증상으로 특징적인 것은 무엇인가? 변비와 설사를 반복하여 과민성 대장 증후군으로 오인되기도 하지만, 염증성 변화를 보이지는 않는다. 안과적 증상으로 각막 혼탁(corneal opacities)이 상당히 특징적이며 남자 환자의 90%, 여자 환자의 75%에서 경험한다. 감각신경성 청력장애가 급성으로 일어나 수 시간에서 수 일 동안 지속되다가 회복되는 증상이 환자의 5-30%에서 일어나는데, 대부분의 환자에서 진행되어 남자는 30대, 여자는 50대에 난청이 생기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larke JT. Narrative review: Fabry disease. Ann Intern Med 2007;146:425-33. 

  2. MacDermot KD, Holmes A, Miners AH. Anderson-Fabry diseas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impact of disease in a cohort of 98 hemizygous males. J Med Genet 2001;38:750-60. 

  3. Beer G, Reinecke P, Gabbert HE, Hort W, Kuhn H. Fabry disease in patien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HCM). Z Kardiol 2002;91:992-1002. 

  4. Sokolow M and Lyon TP. The ventricular complex in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as obtained by unipolar precordial and limb leads. Am Heart J 1949; 37:161-86. 

  5. Casale PN, Devereux RB, Alonso DR, Campo E, Kligfield P. Improved sex-specific criteria of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for clinical and computer interpretation of electrocardiograms: validation with autopsy findings. Circulation 1987;75:565-72. 

  6. Auray-Blais C, Cyr D, Mills K, Giguere R, Drouin R. Development of a filter paper method potentially applicable to mass and high-risk urinary screenings for Fabry disease. J Inherit Metab Dis 2007;30:106. 

  7. Senechal M and Germain DP. Fabry disease: a functional and anatomical study of cardiac manifestations in 20 hemizygous male patients. Clin Genet 2003;63:46-52. 

  8. Mehta A, Clarke JT, Giugliani R, Elliott P, Linhart A, Beck M, et al. Natural course of Fabry disease: changing pattern of causes of death in FOS - Fabry Outcome Survey. J Med Genet 2009;46:548-52. 

  9. Linthorst GE, Bouwman MG, Wijburg FA, Aerts JM, Poorthuis BJ, Hollak CE. Screening for Fabry disease in high-risk populations: a systematic review. J Med Genet 2010;47:217-22. 

  10. Nakao S, Takenaka T, Maeda M, Kodama C, Tanaka A, Tahara M, et al. An atypical variant of Fabry's disease in men with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N Engl J Med 1995;333:288-93. 

  11. Rolfs A, Bottcher T, Zschiesche M, Morris P, Winchester B, Bauer P, et al. Prevalence of Fabry disease in patients with cryptogenic stroke: a prospective study. Lancet 2005;366:1794-6. 

  12. Lv YL, Wang WM, Pan XX, Wang ZH, Chen N, Ye ZY, et al. A successful screening for Fabry disease in a Chinese dialysis patient population. Clin Genet 2009;76:219-21. 

  13. Germain DP, Weidemann F, Abiose A, Patel MR, Cizmarik M, Cole JA, et al. Analysis of left ventricular mass in untreated men and in men treated with agalsidase-beta: data from the Fabry Registry. Genet Med 2013;15:958-65. 

  14. Kruger R, Bruns K, Grunhage S, Rossmann H, Reinke J, Beck M, et al. Determination of globotriaosylceramide in plasma and urine by mass spectrometry. Clin Chem Lab Med 2010;48:189-98. 

  15. Paschke E, Fauler G, Winkler H, Schlagenhauf A, Plecko B, Erwa W, et al. Urinary total globotriaosylceramide and isoforms to identify women with Fabry disease: a diagnostic test study. Am J Kidney Dis 2011;57:673-81. 

  16. Spada M, Pagliardini S, Yasuda M, Tukel T, Thiagarajan G, Sakuraba H, et al. High incidence of later-onset fabry disease revealed by newborn screening. Am J Hum Genet 2006;79:31-40. 

  17. Wang RY, Lelis A, Mirocha J, Wilcox WR. Heterozygous Fabry women are not just carriers, but have a significant burden of disease and impaired quality of life. Genet Med 2007;9:34-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