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 설문조사의 검증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verification of internet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5 no.1, 2014년, pp.11 - 18  

류귀열 (서경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문영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초록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설문조사에서 자료의 정확성을 데이터베이스의 자료와 설문조사 자료의 비교를 통해 검정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는 2012년 8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NDSL 원문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검증에 이용된 변수는 나이, 소속기관의 인구통계적 변수와 이용빈도, 이용기간의 행동 변수이다 1차 검정결과 불일치 비율은 나이가 7.5%, 소속기관 15%, 이용빈도 92%, 이용기간 55%로 높게 나타났다. 상세검정을 통해 나이에 대한 불일치 비율을 비관적으로 3%, 낙관적으로 1%로, 소속기관에 대한 불일치 비율을 비관적으로 4.5%, 낙관적으로 2%로 추정할 수 있었다. 불일치비율을 1/4 이하로 대폭 축소시켰다. 이용빈도와 이용기간은 측정오차와 응답자의 기억력 문제, 인터넷 이용행태 등으로 불일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전통적 설문조사에도 간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터넷 설문조사가 믿을만한 자료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으며, 보다 정확한 검증을 위해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 of study is to verify the accuracy of internet survey by comparing database data and internet survey. Internet survey was conducted on August, 2012. Respondents were subscribers of KISTI NDSL. Variables were age, organization as demographic variables, number of use, and period of use a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의 목적은 인터넷 설문조사의 질적인 연구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응답자료의 정확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이용기간, 이용횟수 등 응답자의 행동패턴을 조사하는 행동변수을 이용하여 인터넷 설문조사 응답과 실제 데이터베이스의 자료와 비교분석함으로써 정확성을 추정하였다.
  • 인구통계적 변수를 통해, 인터넷 설문조사 자료를 단순히 불일치율 방식으로 평가한다면 정확성이 낮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상세검증을 통해서 인터넷 설문조사가 전통적 설문조사에 비해 자료의 정확성이 낮지 않다는 점과 인터넷 설문조사가 믿을 만한 자료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넷 설문조사에서 자료의 검증을 위한 사례연구이다. 인터넷 설문조사의 유효성과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관련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라인 설문조사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온라인 설문조사는 이메일을 이용한 설문조사와 인터넷을 이용한 조사로 나뉠 수 있다. Ryu (2001), Park 등 (2005) 등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2000년부터 인터넷 인프라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인터넷 설문조사도 활발하게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 수행한, 인터넷 설문조사에서 자료의 정확성을 데이터베이스의 자료와 설문조사 자료의 비교를 통해 검정한 결과는 어떠한가?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설문조사에서 자료의 정확성을 데이터베이스의 자료와 설문조사 자료의 비교를 통해 검정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는 2012년 8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NDSL 원문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검증에 이용된 변수는 나이, 소속기관의 인구통계적 변수와 이용빈도, 이용기간의 행동 변수이다 1차 검정결과 불일치 비율은 나이가 7.5%, 소속기관 15%, 이용빈도 92%, 이용기간 55%로 높게 나타났다. 상세검정을 통해 나이에 대한 불일치 비율을 비관적으로 3%, 낙관적으로 1%로, 소속기관에 대한 불일치 비율을 비관적으로 4.5%, 낙관적으로 2%로 추정할 수 있었다. 불일치비율을 1/4 이하로 대폭 축소시켰다. 이용빈도와 이용기간은 측정오차와 응답자의 기억력 문제, 인터넷 이용행태 등으로 불일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전통적 설문조사에도 간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인터넷 설문에서 발생 가능한 오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그리고 멀티미디어 등 부가적인 기능을 도입해 응답자의 이해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Couper (2000), Gim과 Kim (2004) 등이 설명하듯이 인터넷 설문에는 대표성 오류, 표본 추출 오류, 무응답 오류, 측정 오류 등이 있다.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발생하는 무응답 오류나 측정 오류는 전통적 설문조사에서도 발생하는 오류로서 정도의 차이가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ouper, M. P. (2000). Web survey: A review of issues and approaches. Public Opinion Quarterly, 64, 464-494. 

  2. Couper, M. P., Traugott, M. W. and Lamias, M. J. (2001). Web surveys: Review of issues and approaches. Public Opinion Quarterly, 65, 230-253. 

  3. Gim, G. and Kim, G. (2004). Methodological issues in internet survey and development of personalized internet survey system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32, 93-108. 

  4. Heo, S. and Chang, D. (2011). Effect of threats to anonymity on data reliability in internet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2, 785-794. 

  5. Jeon, J. (2006).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respondent’s reaction to internet survey.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11, 95-113. 

  6.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3). 2012 statistics for subscribers of wired or wireless telecommunications,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Kyeonggi. 

  7.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3). 2012 Korea internet white paper,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Kyeonggi. 

  8. Mehta, R. and Sivadas, E. (1995). Comparing response rates, response content and mail versus electronic mail surveys. Journal of the Marketing Research Society, 37, 429-446. 

  9. Park, H., Nam, K., Kim H. and Lee, K. (2001). Implementation of probabilistic response system for achieving sensitive information. Proceedings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Oct. 30, 79-86. 

  10. Park, H., Nam, K., Kim H. and Myung, H. (2005). Implementation of on-line survey and analysis system based on database structure.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3, 1-16. 

  11. Park, H. and Pi, S. (2013). Study on the K-scale reflection the confidence of survey respon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41-51. 

  12. Ryu, G. and Moon, Y. (2013). A study on proposing a method for grouping R, F, and M in RFM model.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245-255. 

  13. Ryu, J. (2001). Current state of implementation of on-line survey system. Proceedings of Korea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June 01, 141-156. 

  14. Tse, A. (1998). Comparing the response rate, response speed and response quality of two methods of sending questionaires: E-mail vs mail. Journal of the Marketing Research Society, 40, 353-3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