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현황 조사: 실무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Home hospice palliative care service in Korea: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5 no.1, 2014년, pp.37 - 52  

고수진 (울산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  김열 (국립암센터) ,  송미옥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  최영심 (충남대학교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실) ,  최성은 (선린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 ,  조현정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본부 호스피스완화의료사업과) ,  허윤정 (신촌 세브란스병원 호스피스실) ,  박명희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  박선주 (천주의성요한병원) ,  권소희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정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도입방안 연구의 일부로 가정호스피스 기관들의 실태를 파악하여 가정 호스피스완화의료 표준지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별도의 인력을 배정하고 지속적으로 가정호스피스를 운영하고 있는 7개 기관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개방식 서면조사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에 참여한 기관들은 24시간 on call 서비스, 의사와 간호사, 사회복지사, 사목자를 포함한 호스피스팀 구성, 정기적 팀회의, 사별가족관리 등을 가정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필수사항으로 여기고 있었고, 필수 시설은 방문간호사 사무실 및 물품준비 공간, 필수 장비는 방문용 가방으로 파악되었다. 방문을 가장 많이 하는 인력은 간호사였고, 가정방문서비스를 위한 전담인력을 두어야 한다는 데에 합의하였다. 가정호스피스 활성화의 장애요인으로 가정 호스피스에 대한 보험수가보상이 없어 팀원의 방문이 제한적이고, 집에서 처방변경이 어려우며, 24시간 주 7일 입원연계가 어려운 점, 가정 내 돌봄제공자가 없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점 등이 제시되었다. 가정호스피스 제도화를 위해 가정호스피스 서비스의 표준 개발은 매우 시급하고도 중요하며,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서비스 표준안의 초안 마련에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ome hospice care status and problem in Korea, and ultimately to develop the home hospice standard.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art of a study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home hospice in Korea.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representatives of seven 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이다. 포커스 그룹을 이용한 연구방법은 설문조사와 달리 사물이나 사건에 대한 깊이 있는 정황적인 이해가 가능하고, 주제에 대한 개방형 토론을 통해 개별 참가자들의 의견들의 합보다 더 통합적인 새로운 안을 도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Morgan과 Krueger, 1998).
  • 이에 본 연구는 가정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도입방안 연구의 일부로 가정호스피스를 제공하고 있는 국내기관들에서 실제 어떤 내용의 서비스를 어떻게 제공하고 있고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파악함으로써 가정호스피스 서비스의 내용과 절차에 대한 현실성 있는 표준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호스피스 서비스가 제공된 다양한 수준의 기관의 종류는 무엇인가? 국내에서 가정호스피스는 1960년대부터 시작되어 종교기관 등의 비영리재단, 사회복지기관, 자원봉사모임에서부터 의원, 병원, 대학병원, 종합병원을 포함하는 의료기관까지 다양한 수준의 기관에서 제공되어 왔다 (Chang 등, 2000). 한편 정부에서도 암정복사업의 일환으로 말기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완화의료 보급정책을 발표하고 2005년부터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에 대한 예산지원을 시행하였고, 2015년까지 호스피스완화의료 병상 수를 2,500개로 증설하고 제공 환자수를 40,000명으로 증원 한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6).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전달체계 중 한 형태로 가장 비용 효과적이며 입원기간 단축 효과가 있는 것은?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정부 정책과 지원은 입원형 호스피스완화의료에 집중되어 있어, 가정호스피스를 말기환자를 위한 의료서비스의 기본 형태로 하고 단기간의 입원치료로의 연계를 권장한 세계보건기구의 공공의료전략이나 (Stjernsw¨ard 등, 2007), 유럽과 북미 국가들, 대만과 싱가포르를 포함한 여러 선진국들의 의료체계와 차이가 있다 (National Hospice Palliative Care Organization, 2012;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09). 가정호스피스는 완화의료병동, 완화케어 팀과 함께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전달체계 중 한 형태로 가장 비용 효과적이며 입원기간 단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im 등, 2008; Choi 등, 2012). 유럽과 북미 국가들에서는 가정호스피스 서비스가 전체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자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National Hospice Palliative Care Organization, 2012), 대만의 경우에도 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 사업 중 90% 이상이 방문호스피스 사업으로 병원입원환자가 호스피스완화의료 대상자로 승인되면 병원 입원서비스를 최소화하고 방문호스피스로 의뢰하도록 제도적 장치를 갖추고 있다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08).
가정 호스피스 서비스는 입원형을 기본으로 한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와는 차이가 있는데, 서비스의 내용적으로 보았을 때 어떤 이유 때문인가? 2002년 조사에서는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의 72.5%, 비의료기관의 80%가 가정방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서비스의 내용적으로는 봉사자 중심의 비의료적 성격의 가정호스피스에서부터 가정간호로 대체하는 형태, 호스피스완화의료 병동의 팀이 직접 가정호스피스를 제공하는 형태까지 매우 다양한 수준과 형태가 혼재하고 있었다 (Yun 등, 2002). 또한 2007년 호스피스완화의료 수가개발 당시 78개 호스피스의료기관 중 응답한 62개 기관 중 가정호스피스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응답한 기관은 32개소에 불과하였다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n, P. J., Sim, E. K. and Cho, H. (2009). A research on the overseas statu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Journal of Inje University, 24, 183-204. 

  2. Chang, H. S., Park, S. and You, S. J. (2000). Analysis of actual state for hospice programs in Korea. Korean Journal Hospice Palliative Care, 3, 4-17. 

  3. Choi, H. S. and Ha, J. (2012).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 131-142. 

  4. Choi, J. Y., Jung, K. T., Shin, D. W., Kang, J., Baek, Y. J., Mo, H. N., Nam, B. H., Seo, W. S., Park, J. H. and Kim, J. H. (2012). Variations in process and outcome in inpatient palliative care services in Korea. Support Care Cancer, 20, 539-547. 

  5. Emanuel, E. J., Ash, A., Yu, W., Gazelle, G., Levinsky, N. G., Saynina, O., McCellan. M. and Moskowitz. M. (2002). Managed care, hospice use, site of death, and medical expenditure in the last year of life.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2, 1722-1728. 

  6. Ferris, F. D. (2004). Standards and guidelines: Do they matter?.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7, 750-758. 

  7.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08). A study on the hospice payment - Development of the payment system for hospice services and of the quality control system, and designing of pilot program (Issue No. K46-2008-85),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Seoul. 

  8.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09). Standardization of management guideline and development of efficient health care delivery system on hospice palliative medicin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Seoul. 

  9. Jang, H. S., Park, S. and You, S. J. (2002). Analysis of actual state for hospice programs in Korea. Korean Journal Hospice Palliative Care, 3, 4-17. 

  10. Kim, S., Hahm, M., Choi, K., Seung, N., Shin, H. and Park, E. (2008). The economic burden of cancer in Korea in 2002. European Journal of Cancer Care, 17, 136-144. 

  1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in Korea,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vailable from http://www.nso.go.kr. 

  1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9).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in Korea,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vailable from http://www.nso.go.kr. 

  13. Kyung, M. H., Jang, Y. M., Han, K. H. and Yun, Y. H. (2010). Current status and activation plan of hospice palliative care in korea-based on hospice palliative care facilities survey. Korean Journal Hospice Palliative Care, 13, 143-152. 

  14. Lee, T. W., Lee. W. H. and Kim, M. S. (2000). Comparison of the costs of care and nursing services for terminally III patients receiving home hospice care in comparison to institutional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1045-1054. 

  15. Lee, T. W., Sung, Y. H., Choe, W. S., Hwang, N. M., Park, H. O., Hwang, M. S. and Jang, O. J. (2008). A study on estimating the nursing cost of home hospice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4, 182-195. 

  16. Lo, J. C. (2002). The impact of hospice on health care expenditures-The case of Taiwan. Social Science & Medicine, 54, 981-991. 

  17. Melvin, J. (2003). Gold standard palliative care in the community. Primary Health Care, 13, 39-41. 

  18.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6). Policy direction presentation: R&D action plan for the 2nd phase of 10-years cancer control plan,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Seoul. 

  19.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10). Standards of palliative care service,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 National Cancer Center, Seoul. 

  20. Morgan, D. L. and Krueger, R. A. (1998). The focus group kit, SAGE, Thousand Oaks, CA. 

  21. National Hospice Palliative Care Organization (2012). Facts and figures: Hospice care in America, 201 Ed., National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ganization, available from http://www.nhpco.org/files/public/statistics_research/2011_facts_figures.pdf. 

  22. Pack, C. Y. (2002). Report on the inspection of current state of hospice palliative care system in Japan and Taiwan(Following official trip),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Seoul. 

  23. Stjernsward, J., Foley, K. M. and Ferris, F. (2007). The public health strategy for palliative care.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33, 486-493. 

  24. Weissman, D. E. and Meier, D. E. (2008). Operational features for hospital palliative care programs: Consensus recommendations. Journal Palliative Medicine, 11, 189-194. 

  25.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Cancer control: Knowledge into action: WHO guide for effective programmes; module 5 palliative care, World Health Organization, available from http://www.who.int/cancer/media/FINAL-PalliativeCareModule.pdf. 

  26. Yun, Y. H., Choi, E. S., Lee, I. J., Rhee, Y. S., Lee, J. S., You, C. H., Kim, H. S. and Baek, Y. J. (2002). Survey on quality of hospice palliative care programs in Korea. Korean Journal Hospice Palliative Care, 5, 31-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