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 도입을 위한 국민 인식도 조사
Introduce and Promote the Home-base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8 no.3, 2015년, pp.219 - 226  

최정규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연구소) ,  태윤희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최영순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 인식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2014년 8월 19일부터 30일까지 2010년도 인구센서스를 기반으로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인지하고 있는 대상자는 15.9%였고,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이용 의향이 있는 대상자는 61.3%였다.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거주지역, 종교 및 민간보험 가입여부이다. 서울, 광주/전라, 부산/울산/경남에 거주하는 대상자의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대한 인지도는 인천/경기에 거주하는 대상자에 비해 높았다. 종교를 보유한 대상자의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지도는 종교를 보유하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민간보험 가입자의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지도는 민간보험 미가입자에 비해 높았다. 결론: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호스피스에 대한 국민과 의료진의 인식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요양기관과 지역사회 보건소가 일정 요건을 갖춘 호스피스 완화의료팀을 구성하여 가정을 방문하여 돌봄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법제화하고, 이를 건강보험 수가에 적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또한, 요양기관과 보건소가 가정호스피스 제공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호스피스 전문간호사 중심의 가정 방문 호스피스 센터 설치에 대한 고민도 필요한 시점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public perception of home-based hospice and identify related factors. Methods: Between August 19, 2014 and August 30, 2014,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E-mail questionnaire that was filled by 1,500 adults who were over 20 years of age. Data were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가정호스피스ㆍ완화의료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 인식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가정호스피스ㆍ완화의료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파악하고 가정호스피스ㆍ완화의료 인식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여 관련 제도 도입을 위한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국민을 대상으로 호스피스ㆍ완화 의료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진행하여 가정호스피스ㆍ 완화의료 제도를 도입을 위한 실효성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 인식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방법: 2014년 8월 19일부터 30일까지 2010년도 인구센서스를 기반으로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인지하고 있는 대상자는 15.9%였고,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이용 의향이 있는 대상자는 61.3%였다.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거주지역, 종교 및 민간보험 가입여부이다. 서울, 광주/전라, 부산/울산/경남에 거주하는 대상자의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대한 인지도는 인천/경기에 거주하는 대상자에 비해 높았다. 종교를 보유한 대상자의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지도는 종교를 보유하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민간보험 가입자의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지도는 민간보험 미가입자에 비해 높았다. 결론: 가정호스피스 완화의료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호스피스에 대한 국민과 의료진의 인식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가정호스피스ㆍ완화의료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Table 4는 가정호스피스ㆍ완화의료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리한 것이다. 가정호스피스ㆍ완화의료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거주지역, 종교, 민간보험 가입여부이다. 서울, 광주/전라, 부산/울산/경남에 거주 하는 대상자의 가정호스피스ㆍ완화의료 대한 인지도는 인천/경기에 거주하는 대상자에 비해 각각 1.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건강보험환자의 진료비와 사망자 자료를 연계하여 사망장소를 분석할 결과 어떠한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건강보험환자의 진료비와 사망자 자료를 연계하여 사망장소를 분석한 결과, 전체 암사망자 중에서 병원 치료 중 사망자는 ‘09년 73.4%에서 2013년 75.3%로 증가하였고, 중증희귀난치성질환 사망자 중에서도 병원 치료 중 사망자가 ’09년 68.1%에서 ‘13년 70.4%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적극적인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대부분의 말기질환자가 사망 직전까지 제공되는 수술 및 처치와 각종 검사 등과 결부되어 나타나는 부작용 등의 증상으로 인해 생애 마지막을 잘 정리하고 존엄한 죽음을 맞기 어렵고, 무엇보다도 가족과 남아있는 생을 잘 정리할 시간이 부족할 것이라는 것을 쉽사리 예측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oi YS, Choi JK, Tae Yh, Kim JY, Kim JD. The ways to develop the system of hospice palliative care service. Seoul: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2014. 

  2. Lien Foundation, Economist Intelligence Unit. The quality of death: ranking end-of-life care across the world. London, England: Economist Intelligence Unit; 2010. 

  3. Yoon YH, Rhee YS, Nam SY, Chae YM, Heo DS, Lee SW, et al. Public attitudes toward dying with dignity and hospice. palliative car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4;7:17-28. 

  4. Kim BH, Park HO. Comparison in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between hospital and home hospice patien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3;24:292-301. 

  5. Park CS, Yoon S, Jung Y. The status of home-based hospice care in Korea.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3;16:98-107. 

  6. kosis.kr [Internet]. 2010 Population census. Daejeon: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c2014 [cited 2015 Aug 10]. Available from: http://kosis.kr. 

  7. Kim MD, Cho SJ. A study on hospice care awareness and user satisfaction with intensive care unit facilities -centering on capital district-.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 15:157-64. 

  8. Ko SH, Kim HK. The knowledge and needs of hospice for inpatients' family.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5;8:131-42. 

  9. Chung BY. Strategy for hospice dynamisation. 2014 Korean Academy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Conference; 2014 Nov 6-7; Yeosu, Korea. Wonju: Korean Academy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4. 

  10. hospiceuk.org [Internet]. Britannia: Hospice UK; c2015 [cited 2015 Aug 10]. Available from: http://www.hospiceuk.org. 

  11. Kim BH. Current and future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South Korea.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1;14:19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