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산 시판 간장과 재래식 간장에서 분리한 다당의 장관면역 활성
Intestinal Immune-Modulating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Commercial and Traditional Korean Soy Sauc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1, 2014년, pp.9 - 15  

이문수 (경기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신광순 (경기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간장 중에 존재하는 새로운 생물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일본식으로 제조된 시판 간장(CSP-0)과 우리나라 전통방식으로 제조된 재래식 간장으로부터 다당(KTSP-0)을 분리하여 장관면역 활성에 대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Peyer's patch 세포를 이용한 in vitro 실험에서 간장 유래 다당인 CSP-0와 KTSP-0는 IL-6 생산 자극활성을 증가시켰지만 KTSP-0가 CSP-0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KTSP-0는 모든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IgA 생산능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나, 시판 간장 유래 다당인 CSP-0의 경우 IgA 생산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Peyer's patch를 경유한 골수세포 증식능에서 KTSP-0는 100 ${\mu}g/mL$의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높은 장관면역 활성을 나타냈으며, CSP-0는 골수세포 증식능이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장 유래 다당에 의한 in vivo 장관면역 활성을 관찰하기 위해 0.0, 0.5, 1.0 및 5.0 mg/mouse의 농도로 30일간 경구 투여하고 Peyer's patch 세포에 의한 IgA 생산능을 측정한 결과, CSP-0와 KTSP-0를 경구 투여한 mouse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우수한 IgA 생산 증진활성을 보였으며 분변 중에 존재하는 IgA 함량을 증가시켰다. Peyer's patch 세포에 의한 IL-6 생산능을 측정한 결과, CSP-0 및 KTSP-0를 투여한 mouse의 Peyer's patch 세포들은 대조군에 비해 모두 IL-6의 생산능을 증진시켰으나 동일 투여 농도에서 KTSP-0의 효과가 더 우수하였다. 또한 KTSP-0의 경구 투여는 혈청 내 IL-6를 높게 증가시키는 반면 CSP-0는 IL-6 생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를 통해 시판 간장보다 전통 재래식 간장이 높은 장관면역 활성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간장 제조 원료 및 제조과정과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차이에서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characterize novel biologically-active ingredients in traditional Korean soy sauces, polysaccharide fractions were isolated from two different soy sauces made either commercially (CSP-0) or through a traditional Korean process (KTSP-0), after which their intestinal immune-modulating activities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저자 등은 시판 양조간장과 재래식 간장으로부터 다당을 분리하여 화학적 특성이 상이함을 보고한 바도 있다(2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본식으로 만들어진 시판 간장과 우리나라 전통방식으로 만들어진 재래식 간장으로부터 얻어진 다당의 장관면역 활성을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 전통간장이 소유한 우수한 기능성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Distilled water was orally administrated for the control.
  • 1)Kdo means 2-keto-3-deoxy-D-manno-octulosonic acid.
  • 1)Media alone was treated for the control.
  • 2)Peyer's patch cells were obtained, and pooled and cultured with same condi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판되는 대부분의 시판 간장은 어떤 방식으로 제조되는가? 최근 일본 간장(Shoyu)으로부터 얻어진 다당의 철분 흡수 증진 효과(23), 알레르기 억제 효과(anti-allergic effects)(24), 장관면역 증진활성(25), macrophage 및 lymphocyte 기능 증진 효과(26)뿐만 아니라 IgA의 생산을 증가시키는 장관면역 증강 활성을 in vitro 및 in vivo 연구를 통해 밝혀지기도 하였다(25). 현재 시판되는 대부분의 시판 간장은 일본식 간장처럼 밀과 콩을 원료로 하여 곰팡이류에 의해 발효하는 koji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전통 재래식 간장의 경우 대두만을 사용 하고 주로 Bacillus subtilis 등 세균에 의해 발효되는 메주 방식으로 제조되므로 시판 간장과 전통 간장 간에는 원료, 제조과정, 발효미생물 및 숙성기간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각각에서 얻어진 간장 유래 다당의 특성도 상이할 것으로 예상된다(27). 최근 저자 등은 시판 양조간장과 재래식 간장으로부터 다당을 분리하여 화학적 특성이 상이함을 보고한 바도 있다(28).
우리나라의 전통 재래식 간장은 어떤 방식으로 제조되는가? 최근 일본 간장(Shoyu)으로부터 얻어진 다당의 철분 흡수 증진 효과(23), 알레르기 억제 효과(anti-allergic effects)(24), 장관면역 증진활성(25), macrophage 및 lymphocyte 기능 증진 효과(26)뿐만 아니라 IgA의 생산을 증가시키는 장관면역 증강 활성을 in vitro 및 in vivo 연구를 통해 밝혀지기도 하였다(25). 현재 시판되는 대부분의 시판 간장은 일본식 간장처럼 밀과 콩을 원료로 하여 곰팡이류에 의해 발효하는 koji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전통 재래식 간장의 경우 대두만을 사용 하고 주로 Bacillus subtilis 등 세균에 의해 발효되는 메주 방식으로 제조되므로 시판 간장과 전통 간장 간에는 원료, 제조과정, 발효미생물 및 숙성기간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각각에서 얻어진 간장 유래 다당의 특성도 상이할 것으로 예상된다(27). 최근 저자 등은 시판 양조간장과 재래식 간장으로부터 다당을 분리하여 화학적 특성이 상이함을 보고한 바도 있다(28).
2차 림프기관 중 점막 림프기관 중장관림프상 조직의 특징은? 2차 림프기관 중 생체 림프조직의 1/3 이상을 차지하는 점막 림프기관(mucosa-associated lymphatic tissue, MALT)은 수많은 필수 영양소들의 소화와 흡수의 중추 적인 장소인 동시에 유해한 이물질들과 병원성 미생물들에 대한 물질적인 장벽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중요한 면역학 방어기능을 담당하고 있다(9). 이러한 점막 림프기관 중장관림프상 조직(gut associated lymphoid tissue, GALT) 은 생체 내에서 가장 큰 림프상 조직으로 Peyer's patch, laminar propria, 장간막림프절(mesenteric lymph nodes, MLN)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0). 특히 Peyer's patch는 장관 내 핵심적인 림프기관일 뿐만 아니라 IgA 생산을 위한 유도부위(inductive site)로 알려져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Ruoslahti E. 1989. Proteoglycans in cell regulation. J Biol Chem 264: 13369-13372. 

  2. Paulson JC. 1989. Glycoprotein: what are the sugar chains for? Trends Biochem Sci 14: 272-276. 

  3. Zhu H, Zhang Y, Zhang J, Chen D. 2008.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i-complementary protein-bound polysaccharide from the stem barks of Eucommia ulmoides. Int Immunopharmacol 8: 1220-1230. 

  4. Bao X, Wang Z, Fang J, Li X. 2002. Structural features of an immunostimulating and antioxidant acidic polysaccharide from the seeds of Cuscuta chinensis. Planta Med 68:237-243. 

  5. Zhao L, Dong Y, Chen G, Hu Q. 2010. Extraction, pur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antitumor activity of polysaccharides from Ganoderma lucidum. Carbohyd Polym 80: 783-789. 

  6. Daba AS, Ezeronye OU. 2003. Anti-cancer effect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higher basidiomycetes mushrooms. Afr J Biotechnol 2: 672-678. 

  7. Abbas AK, Lichtman AK, Pillai S. 2007.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6th ed. Elsevier Health Sciences, Amsterdam, Netherlands. p 59-64. 

  8. Kindt TJ, Osborne BA, Goldsby RA. 2007. Kuby Immunology. 6th ed. WH Freeman and Co., New York, NY, USA. p 43-50. 

  9. Yu KW, Shin KS. 2001. Bone marrow cell proliferation activity through intestinal immune system by the components of Atractylodes lancea DC.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135-141. 

  10. Deitch EA, Xu DZ, Qi L, Specian RD, Berg RD. 1992. Protein malnutrition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endotoxin impairs systemic and gut-associated immunity. JPEN J Parenter Enteral Nutr 16: 25-31. 

  11. Sminia T, Wilders MM, Janse EM, Hoefsmit EC. 1983. Characterization of non-lymphoid cells in Peyer's patches of the rat. Immunobiology 164: 136-143. 

  12. Trier JS. 1991. Structure and function of intestinal M cells. Gastroenterol Clin North Am 20: 531-547. 

  13. Bockman DE, Cooper MD. 1973. Pinocytosis by epithelium associated with lymphoid follicles in the bursa of fabricius, appendix, and Peyer's patches. An electron microscopic study. Am J Anat 136: 455-477. 

  14. Ouadrhiri Y, Pilette C, Monteiro RC, Vaerman JP, Sibille Y. 2002. Effect of IgA on respiratory burst and cytokine release by human alveolar macrophages: role of ERK1/2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and NF- ${\kappa}B$ . Am J Respir Cell Mol Biol 26: 315-332. 

  15. Weisbart RH, Kacena A, Schuh A, Golde DW. 1988. GMCSF induces human neutrophil IgA-mediated phagocytosis by an IgA Fc receptor activation mechanism. Nature 332:647-648. 

  16. Tagliabue A, Nencioni L, Villa L, Keren DF, Lowell GH, Boraschi D. 1982. Antibody-dependent cell-mediated antibacterial activity of intestinal lymphocytes with secretory IgA. Nature 306: 184-186. 

  17. Yokotsuka T. 1986. Soy sauce biochemistry. Adv Food Res 30: 195-329. 

  18. Tsuchiya H, Sato M, Watanabe I. 1999. Antiplatelet activity of soy sauce as functional seasoning. J Agric Food Chem 47: 4167-4174. 

  19. Masuda S, Hara-Kudo Y, Kumagai S. 1998. Redu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populations in soy sauce, a fermented seasoning. J Food Prot 61: 657-661. 

  20. Benjamin H, Storkson J, Nagahara A, Pariza MW. 1991. Inhibition of benzo(a)pyrene-induced mouse forestomach neoplasia by dietary soy sauce. Cancer Res 51: 2940-2942. 

  21. Kataoka S, Liu W, Albright K, Storkson J, Pariza M. 1997. Inhibition of benzo[a]pyrene-induced mouse forestomach neoplasia and reduction of $H^2O^2$ concentration in human polymorphonuclear leucocytes by flavour components of Japanese-style fermented soy sauce. Food Chem Toxicol 35:449-457. 

  22. Kinoshita E, Yamakoshi J, Kikuchi M. 1993.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soy sauce. Biosci Biotechnol Biochem 57:1107-1110. 

  23. Kobayashi M, Nagatani Y, Magishi N, Tokuriki N, Nakata Y, Tsukiyama R, Imai H, Suzuki M, Saito M, Tsuji K. 2006. Promotive effect of Shoyu polysaccharides from soy sauce on iron absorption in animals and humans. Int J Mol Med 18: 1159-1163. 

  24. Kobayashi M, Matsushita H, Yoshida K, Tsukiyama R, Sugimura T, Yamamoto K. 2004. In vitro and in vivo anti-allergic activity of soy sauce. Int J Mol Med 14: 879-884. 

  25. Matsushita HF, Kobayashi M, Tsukiyama R, Fujimoto M, Suzuki M, Tsuji K, Yamamoto K. 2008. Stimulatory effect of Shoyu polysaccharides from soy sauce on the intestinal immune system. Int J Mol Med 22: 243-247. 

  26. Matsushita H, Kobayashi M, Tsukiyama R, Yamamoto K. 2006. In vitro and in vivo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Shoyu polysaccharides from soy sauce. Int J Mol Med 17:905-909. 

  27. Lee JG, Kwon KI, Choung MG, Kwon OJ, Choi JY, Im MH. 2009. Quality analysis on the size and the preparation method of Meju for the preparation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Kanjang). J Appl Biol Chem 52: 205-211. 

  28. Park HR, Lee MS, Jo SY, Won HJ, Lee HS, Lee H, Shin KS. 2012.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commercial soy sauce and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228-234. 

  29. Dubois M, Gilles KA, Hamilton JK, Rebers PA, Smith F.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 Chem 28: 350-356. 

  30. Blumenkrantz N, Asboe-Hansen G. 1973. New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uronic acid. Anal Biochem 54:484-489. 

  31. 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254. 

  32. Karkhanis YD, Zeltner JY, Jackson JJ, Carlo DJ. 1978. A new and improved microassay to determine 2-keto-3-deoxyoctonate in lipopolysaccharide of gram-negative bacteria. Anal Biochem 85: 595-601. 

  33. Jones TM, Albersheim P. 1972. A gas chromatography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ldose and uronic acid constituents of plant cell wall polysaccharide. Plant Physiol 49:926-936. 

  34. Hong T, Matsumoto T, Kiyohara H, Yamada H. 1998. Enhanced production of hematopoietic growth factors through T cell activation in Peyer's patches by oral administration of Kampo (Japanese herbal) medicine "Juzen-Taiho-To". Phytomedicine 5: 353-360. 

  35. James SP, Zeitz M. 1994. Human gastrointestinal mucosal T cells. In Handbook of Mucosal Immunology. Pearay LO, Jiri M, Michael EL, Warren S, Jerry RM, John B, eds. Academic Press, London, England. p 275-285. 

  36. Starr R, Willson TA, Viney EM, Murray LJ, Rayner JR, Jenkins BJ, Gonda TJ, Alexander WS, Metcalf D, Nicola NA, Hilton DJ. 1997. A family of cytokine-inducible inhibitors of signalling. Nature 387: 917-921. 

  37. Hosono A, Ozawa A, Kato R, Ohnishi Y, Nakanishi Y, Kimura T, Nakamura R. 2003. Dietary fructooligosaccharides induce immunoregulation of intestinal IgA secretion by murine Peyer's patch cells. Biosci Biotechnol Biochem 67:758-764. 

  38. Sato A, Hashiguchi M, Toda E, Iwasaki A, Hachimura S, Kaminogawa S. 2003. $CD11b^+$ Peyer's patch dendritic cells secrete IL-6 and induce IgA secretion from naive B cells. J Immunol 171: 3684-36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