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장 기능 및 변비개선 효과
Effects of Fermented Chicory Fiber on the Improvement of Intestinal Function and Constip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1, 2014년, pp.55 - 59  

신선 (종근당건강(주) 연구소) ,  박성선 (종근당건강(주) 연구소) ,  이환명 (호서대학교 화장품과학과) ,  허정무 (종근당건강(주)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치커리 화이바는 콜레스테롤 개선, 배변활동 원활, 식후혈당 상승억제의 기능성을 바탕으로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배변활동에 도움을 주는 치커리 화이바를 발효하여 변비개선 효능을 확인한 결과 실험기간 동안 식이 섭취량이 증가한 반면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비만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 기능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소화관 이동률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양성 대조군 FWP(차전자피복합물), 실험군 CF(치커리 화이바), 실험군 FCF(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에서 소화관 이동률이 증가하였고, 특히 실험군 FCF 1.62 mg/g (P<0.01)과 실험군 4.13 mg/g(P<0.05)의 경우 실험군 CF 동일 농도에 비해 소화관 이동률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변비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장 내 잔류하고 있는 변의 개수를 확인한 결과 변비를 유발시킨 loperamide 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해 대장 내에 변이 잔류하면서 배변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대장 내 변의 개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양성 대조군 FWP와 실험군 CF, 실험군 FCF에서 대장 내 변의 개수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고 특히 실험군 FCF 2.06 mg/g의 경우 실험군 CF 동일 농도에 비해 대장 내 변의 개수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P<0.01). 본 연구결과를 통해 치커리 화이바를 발효함으로써 배변활동 및 변비개선능이 비발효 치커리 화이바에 비하여 더욱 증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발효된 치커리 화이바가 배변 및 변비 기능성을 증진시키는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rovement effects of fermented chicory fiber (FCF) on the intestinal function and constipation. The condition of fermentation was Bifidobacterium thermophilum added into chicory fiber (CF) flour suspension with the range of a 1% before incubation at $37^{\cir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커리 화이바를 특정한 미생물에 의해 발효시킴으로써 장 기능 및 변비개선 효과를 증진시키는지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인 변비의 증상은? 변비는 대장의 연동운동 저하로 원활한 배변운동을 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1주일에 2회 이상을 배출하지 못하면서 배변 시 굳은 변을 보며 통증이나 출혈이 동반되는 경우를 변비로 진단하는데, 그 증상으로는 일반적으로 하복부의 불쾌감, 팽만감, 구역질, 구토, 복통 등이 수반된다(1). 이러한 변비증상은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3~4배 정도 높을 뿐만 아니라 변비를 동반한 대사성 질환 등의 질병을 호소하는 사람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변비란? 변비는 대장의 연동운동 저하로 원활한 배변운동을 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1주일에 2회 이상을 배출하지 못하면서 배변 시 굳은 변을 보며 통증이나 출혈이 동반되는 경우를 변비로 진단하는데, 그 증상으로는 일반적으로 하복부의 불쾌감, 팽만감, 구역질, 구토, 복통 등이 수반된다(1).
이눌린의 효능은? 치커리 뿌리에는 이눌린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눌린은 저장 탄수화물로써 치커리 건조중량의 약 65~70%를 차지한다(7). 이는 장내 미생물에 의해 발효되는 과정에서 단 쇄지방산을 생성하고 생성된 단쇄지방산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체내 콜레스테롤의 재흡수를 저해하고 변으로 배설하게 하여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작용(8-11), 소화기관 내의 포도당 흡수를 감소시켜 식후 혈당상승 억제(7), 장내 균총을 개선하여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등 체내에 유익한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13). 변비치료를 위해서는 식생활 개선 및 수분섭취 증대 등 일반적인 생활습관의 변화와 함께 심한 경우 다양한 변비치료제를 사용 하게 되는데 자극성 완화제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남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자극성인 센나(Alexandrian Senna)가 포함되어 있는 제품의 장기 복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orfield AP, Carroll D, Myerscouh N, Probert CS. 2001. Mucin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health and disease. Front Biosci 6: 1321-1357. 

  2. Shin JR, Ly SY. 2003. Dietary habits and factors related to lifestyles in constipated femal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8: 675-688. 

  3. Muller-Lissner S. 1999. Classification, pharmacology, and side effects of common laxatives. Ital J Gastroenterol Hepatol 31: 234-237. 

  4. Myung SJ, Lee TH, Huh KC, Choi SC, Sohn CI. 2010. Diagnosis of constipation: a systematic review. Korean J Gastroenterol 55: 316-324. 

  5. Hubert J, Berger M, Nepveu F, Paul F, Dayde J. 2008. Effects of fermentation on the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oy germ. Food Chem 109:709-721. 

  6. Katina K, Liukkonen KH, Kaukovirta-Norja A, Adlercreutz H, Heinonen SM, Lampi AM, Pihlava JM, Poutanen K. 2007. Fermentation-induced changes in the nutritional value of native or germinated rye. J Cereal Sci 46: 348-355. 

  7. Lee JS, Shin HK. 1997. Effects of addition of chicory extract on starch hydrolysis in vitro and glucose response in healthy subje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295-1303. 

  8. Park CK, Cha JY, Jeon BS, Kim NM, Shim KH. 2000. Effects of chicory root water extracts on serum triglyceride and microsomal triglyceride transfer protein (MTP) activity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518-524. 

  9. Causey JL, Feirtag JM, Gallaher DD, Tungland BC, Slavin JL. 2000. Effects of dietary inulin on serum lipids, blood glucose and the gastrointestinal environment in hypercholesterolemic men. Nutr Res 20: 191-201. 

  10. Brighenti F, Casiraghi MC, Canzi E, Ferrari A. 1999. Effect of consumption of a ready-to eat breakfast cereal containing inulin on the intestinal milieu and blood lipids in healthy male volunteers. Eur J Clin Nutr 53: 726-733. 

  11. Sung HY, Jeoung HJ, Choi YS, Cho SH, Yun JW. 2004. Effects of chicory inulin and oligosaccharide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305-310. 

  12. Jackson KG, Taylor GR, Clohessy AM, Williams CM. 1999. The effect of the daily intake of inulin on fasting lipid, insulin and glucose concentrations in middle-aged men and women. Br J Nutr 82: 23-30. 

  13. Hond ED, Geypens B, Ghoos Y. 2000. Effect of high perfomance chicory inulin on constipation. Nutr Res 20: 731-736. 

  14. Park UC. 2003. Diagnosis and management of functional evacuation disorders. J Korean Med Assoc 46: 581-593. 

  15. Kleessen B, Schwarz S, Boehm A, Fuhrmann H, Richter A, Henle T, Krueger M. 2007. Jerusalem artichoke and chicory inulin in bakery products affect faecal microbiota of healthy volunteers. Br J Nutr 98: 540-549. 

  16. Octavian B, Oana Emilia C. 2012. Selection of lactic acid bacteria able to ferment inulin hydrolysates. Food Technol 36: 31-40. 

  17. Jung SJ, Chae SW, Sohn HS, Kim SB, Rho JO, Baik SH, Kang MH, Kim GH, Kim MH, Kim HS, Park EJ, Heo YR, Cha YS. 2011. Actual status of constipation and life factors affecting constipation by diagnosis of rom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Korean J Nutr 44: 428-442. 

  18. Blaak EE, Saris WHM. 1995. Health aspects of various digestible carbohydrates. Nutr Res 15: 1547-1573. 

  19. Shin KO, Jeon JR, Lee JS, Kim JY, Lee CH, Kim SD, Yu YS, Nam DH. 2006. Lactic acid fermentation of Chinese yam (Dioscorea batatas decne) flour and its pharmacological effect on gastrointestinal function in rat model. Biotechnol Bioprocess Eng 11: 240-244. 

  20. Kim HJ, Kim SI, Han YS. 2008. Effects of sea tangle extract and sea tangle yogurt on constipation relief.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59-67. 

  21. Marteau P, Jacobs H, Cazaubiel M, Signoret C, Prevel JM, Housez B. 2011. Effects of chicory inulin in constipated elderly people: a double-blind controlled trial. Int J Food Sci Nurt 62: 164-1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