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용성 함초 식이섬유의 섭취가 흰쥐 장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Insoluble Dietary Fiber Extracted from Salicornia herbacea L. on Large Intestinal Function in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5, 2014년, pp.648 - 654  

김수환 (중원대학교 의료보건대학 임상병리학과) ,  김숙자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의생명융합과학과) ,  이형선 (인제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에서는 함초에 포함 되어 있는 불용성 식이섬유를 추출 분리 하여 변비가 유발된 흰쥐에서의 다양한 장 기능 개선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실험은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Normal군, Control군, 5% ${\alpha}$-cellulose군, SHDF 5%, SHDF 10%군으로 나누었다. AIN-93 기본식이에 다른 식이섬유를 첨가하여 4주 동안 식이하여 혈청 중 지질 성분의 생화학적 분석, 대변량과 수분 함유량의 변화, 장 통과시간 측정, 분변 중 pH와 담즙산 측정, 대장의 병리조직학적 관찰 등을 통해 결과를 얻었다. 혈중 triglyceride 함량은 Control군에 비해 SHDF 10%군이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여 주었고 심지어, 5% ${\alpha}$-cellulose군과 비교하여 효과적인 감소를 보여주었다. HDL-cholesterol의 함량은 Control군에 비해서 모든 군에서 모두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여 주었다. 채집한 분변의 wet weight와 dry weight는 모두 Control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으며, 배출된 대변에서의 수분양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분변의 장 통과시간이 Contro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변의 pH는 Control군에 비해 함초의 식이에 의해 유의성 있는 감소를 모였으며, 담즙산은 유의성 있게 증가했다. 조직의 염색상을 통해 장샘의 길이와 전체적인 형태를 확인한 결과 Control군에 비하여 함초식이군에서 조직의 손상이 회복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함초의 불용성 식이섬유는 혈중 triglyceride의 감소와 HDL-cholesterol을 증가시키고, 대변량을 증가시키고 장 통과시간을 단축하여 손상된 장관내 환경을 개선시킴으로써, 장점막층의 빠른 회복을 통하여 변비 등과 같은 장기능 저하에 탁월한 효과를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soluble dietary fibers extracted from Salicornia herbacea L. (S. herbacea) on the improvement of intestinal function in rats. Sprague-Dawley rats were fed on diet containing 5% and 10% S. herbacea dietary fiber (SHDF) for four weeks. Rats receiving the SHDF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함초는 식이섬유 함유량이 매우 높아, 변비, 장기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현재까지 함초로부터 식이섬유를 추출 분리하여 변비, 장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보고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함초로부터 여러 단계의 식이섬유소를 분리하여 그 특성을 확인하고, 추출된 식이섬유소를 loperamide로 장 기능장애가 유발된 흰쥐에 식이하여 장 기능에 대한 개선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함초에 포함 되어 있는 불용성 식이섬유를 추출 분리 하여 변비가 유발된 흰쥐에서의 다양한 장 기능 개선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실험은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Normal군, Control군, 5% α-cellulose군, SHDF 5%, SHDF 10%군으로 나누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함초는 무엇인가? 함초(Salicornia herbacea L.)는 명아주과(Chenopodi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로 우리말로는 퉁퉁마디라고 불린다(9). 우리나라 서해안이나 남해안, 제주도, 울릉도 및 백령도 같은 섬지방의 바닷물이 닿은 해안이나 갯벌과 염전 주위에 무리지어 자라며 육상식물 보다 다량의 유익한 염분을 흡수하여 생명체에 필요한 미네랄을 저장 및 축척하고 있는 식물로 아무리 많이 먹어도 갈증이 나지 않는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10).
건조 함초에 타우린은 얼마나 함유되어 있는가? 다년간 함초의 성분 및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로는 함초의 뿌리, 잎 및 줄기마디의 성분함량, 생리 활성 기능 탐색 및 항산화 효과에 관하여 보고되었다(11,12-14). 특히 건조 함초에는 식물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타우린이 함초 100 g 당 29 mg 함유되어 있으며 이 외에도 aspartic acid (227.3 mg), glutamic acid (305.
우리나라에서 함초는 어디서 자라는가? )는 명아주과(Chenopodi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로 우리말로는 퉁퉁마디라고 불린다(9). 우리나라 서해안이나 남해안, 제주도, 울릉도 및 백령도 같은 섬지방의 바닷물이 닿은 해안이나 갯벌과 염전 주위에 무리지어 자라며 육상식물 보다 다량의 유익한 염분을 흡수하여 생명체에 필요한 미네랄을 저장 및 축척하고 있는 식물로 아무리 많이 먹어도 갈증이 나지 않는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10). 다년간 함초의 성분 및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로는 함초의 뿌리, 잎 및 줄기마디의 성분함량, 생리 활성 기능 탐색 및 항산화 효과에 관하여 보고되었다(11,12-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Yang EJ, Kim WY, Song WO. Health risks in relation to dietary changes in Korean Americans. Korean J. Dietary Culture 16: 515-524 (2001) 

  2. Lee HS. Dietary fiber intake of Kore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540-548 (1997) 

  3. Seo JS, Han IK. Influence of sources and levels of dietary fiber on lipid composition in rats. Korean J. Nutr. 21: 164-172 (1988) 

  4. Nakamura T, Hours RA, Sakai T. Enzymatic maceration of vegetables with protopectinases. J. Food Sci. 60: 468-472 (1995) 

  5. McDougall GJ, Morrison IM, Stewart D, Hillman JR. Plant cell walls as dietary fibre: Range, structure, processing and function. J. Sci. Food Agric. 70: 133-150 (1996) 

  6. Heller SN, Hackler DL, Rivers JM, Van Soest PJ, Roe DA, Lewis BA, Robertson J. Dietary fiber: the effect of particle size of wheat bran on colonic function in young adult men. Am. J. Clin. Nutr. 33: 1734-1744 (1980) 

  7. Stevens J, VanSoest PJ, Robertson JB, Levitsky D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psyllium and wheat bran on gastrointestinal transit time and stool characteristics. J. Am. Diet. Assoc. 88: 323-326 (1988) 

  8. Eastwood M, Kritchevsky D. Dietary fiber: how did we get where we are? Annu. Rev. Nutr. 25: 1-8 (2005) 

  9. Jo YC, Lee KS, Chon SM, Byun DS.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germination of Salicornia herbacea L. for the soil salinity and manure condition.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 100-108 (2002) 

  10. Ermawati N, Cha JY, Liang YS, Jung MH, Shin DJ, Lee BH, Lee KH, Son DY.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outer envelope membrane protein from Salicornia herbacea. Korean J. Plant Biotechnol. 31: 273-278 (2004) 

  11. El SN, Karakaya S. Radical scavenging and iron-chelating activities of some greens used as traditional dishes in mediterranean diet. Int. J. Food Sci. Nutr. 55: 67-74 (2004) 

  12. Min JG, Lee DS, Kim TJ, Park JH, Cho TY, Park DI. Chemical composition of Salicornia herbacea L. J. Food Sci. Nutr. 7: 105-107 (2002) 

  13. Lee JT, An BJ. Detection of physical activity of Salicornia herbacea. Korea J. Herbol. 17: 61-69 (2002) 

  14. Han SK, Kim SM. Antioxidative effect of Salicornia herbacea L. grown in closed sea bea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207-210 (2003) 

  15. Min JG, Son KT, Kim JH, Kim TJ, Park JH. Physi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Salicornia herbacea (Tungtungmadi) leaf extracts. Nutraceuticals Food 7: 261-264 (2002) 

  16. Shin KS, Boo HO, Jeon MW, Ko JY. Chemical Components of Native Plant, Salicornia herbacea L. Korean J. Plant. Res. 15: 216-220 (2002) 

  17. Prosky L, Asp N, Sweizer TF, Deveries J, Furda L. Determination of insoluble, soluble, and total dietary fiber in foods and products. Ieterla-boratory study. JAOAC. 71: 1017-1023 (1988) 

  18. Kim SH, Park HY, Park WK. Determin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 in seaweed 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7: 320-325 (1988) 

  19. Maes C, Deicour JA.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water-extractable and water-unextractable arabinoxylans in wheat bran. J. Ceral. Sci. 35: 315-326 (2002) 

  20.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Intl. 16th ed. Method 991.43.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A, USA (1995) 

  21. Park SH, Lee YK, Lee HS. The effect of dietary fiber feeding on gastrointestinal functions and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Nutr. 27: 311-322 (1994) 

  22. Miettinen TA, Ahrens EH, Grundy SM. Quantitative isolation and gas-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total dietary and fecal neutral steroids. J. Lipid Res. 6: 411-424 (1965) 

  23. Crowell MJ, Macdald IA. Enzymatic determination of 3-, 7-, and 12-hydroxyl groups of fecal bile acids. Clin. Chem. 26: 1298-1300 (1980) 

  24. Raiser S, Powell AS, Scholfield DJ, Panda P, Ellwood KC, Canary JJ. Blood lipids, lipoproteins, apoproteins and uric acid in men fed diets countining high fructose or high amylose cornstarch. Am. J. Clin. Nutr. 49: 832-839 (1989) 

  25. Folch J, Lees M, Stanley GHS.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 Chem. 223: 497-509 (1957) 

  26. Fernadez ML, Roy S, Vergara-Jimenez M. Resistant starch and cholestyamine have distinct effects on hephatic cholesterol metabolism in guinea pigs fed a hypercholesterolmic diet. Nutr. Res. 20: 837-849 (2000) 

  27. Yang JL, Suh MJ, Song YS. Effects of dietary fibers on cholesterol metabolism in cholesterol-fed rats.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16-122 (1997) 

  28. Park MH, Kwon CJ, Lim SH, Kim KH, Heo NK, Jang HK, Park IJ, Lee KJ. Effects of dietary fiber isolated from Synurus deltoids on constipation in loperamide-induc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715-1719 (2011) 

  29. Eastwood MA. The physiological effect of dietary fiber: An update. Annu. Rev. Nutr. 12: 19-35 (1992) 

  30. Anderson JW, Gilinsky NH, Deakins DA Smith SF, O'Neal DS, Dillon DW, Oeltgen PR. Lipid responses of hypercholesterolemic men to oat-bran and wheat-bran intake. Am. J. Clin. Nutr. 54: 678-683 (1991) 

  31. Lee HA, Lee SS, Shin HK. Effect of dietary fiber sources on the composition of intestinal microflora in rats. Korean J. Nutr. 27: 988-995 (1994) 

  32. Lee SH, Woo SJ, Koo YJ, Shin HK. Effect of mugwort, onion and polygalae radix on the intestinal environment of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598-604 (1995) 

  33. Lee HJ, Hwang EH. Effect of alginic acid, cellulose and pectin level on bowel function in rats. J. Nutr. Health. 30: 465-477 (1997) 

  34. Willet W, Stampfer MJ, Colitz GA, Rosner BA, Speizer FE. Relation of meat, fat and fiber intake to the risk of colon cancer in a prospective study among women. N. Engl. J. Med. 332: 1664-1672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