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산균 발효에 의한 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Mushroom Water Extracts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1, 2014년, pp.80 - 85  

양희선 ((재)임실치즈과학연구소) ,  최유진 ((재)임실치즈과학연구소) ,  오현희 ((재)임실치즈과학연구소) ,  문준성 ((재)임실치즈과학연구소) ,  정후길 ((재)임실치즈과학연구소) ,  김경제 ((재)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  최봉석 ((재)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  이중원 ((재)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  허창기 ((재)임실치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을 이용하여 3종의 버섯(상황, 영지, 표고)을 단계적으로 발효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항산화 활성이 밝혀진 표준 유산균 5종을 선발하여 버섯 열수 추출물의 1차 발효에, 임실 지역 김치로부터 분리한 유산균 1종을 최종 선발하여 2차 발효에 이용하였다. 버섯 추출물과 1차, 2차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를 위해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정도를 비교하였다. 버섯 추출물 및 발효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라디칼을 소거하였지만 유산균 발효를 통하여 상황과 영지의 경우 라디칼 소거 활성이 감소하였다. 이는 발효 과정 중 폴리페놀 화합물비타민 C, E 등 천연 항산화 물질들의 산화에 기인한 결과라고 사료되었다. 그러나 발효 중 생산되는 대사산물 및 유효성분은 XO 효소의 활성을 저해시키고 SOD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1차 발효보다 2차 발효에서 활성이 증가되었다. 특히 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영지 1차 발효물은 90% 이상 XO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였으며, 상황 1차 발효물은 3배 이상의 SOD 효소 활성을 증가시켰다. 이는 유산균에 의한 버섯 발효물이 효소의 활성을 저해 혹은 활성화시켜 항산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fermented mushroom water extracts with antioxidative activities. Mushroom water extracts were fermented with Bifidobacterium bifidum,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acidophilus, Leuconostoc lactis, Streptococcus thermophilus and Lactobacillus sak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아직까지 발효기술을 이용한 버섯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는 상황, 영지 및 표고의 자실체를 열수 추출하고 표준 유산균으로 1차 발효 후 임실 지역의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으로 2차 발효하여 단계적 발효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여 생리 기능성 바이오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 및 응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산균의 기능은? 최근에는 발효식품의 생리활성 작용이 알려지면서 세계적으로 건강기능성 장수식품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유산균의 건강기능성이 밝혀지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8-20). 유산균은 발효식품에 특유의 풍미와 우수한 보존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유당불내증의 완화작용, 정장작용, 병원성세균의 생육억제 작용,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항암작용 등 다양한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21-25). 또한 건강한 사람의 장내에 존재하면서 인체의 특이 및 비특이적 면역체계의 증강에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유산균 발효에 의한 천연물의 면역증진 효과에 관한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26,27).
천연 항산화제 개발을 위해 주목하고 있는 버섯은 어떤 것이며 그 특징은 무엇인가? 최근 천연 항산화제로 주목받고 있는 버섯은 고등균류로써 담자균강(Basidiomycota)과 일부의 자낭균강(Ascomycota)에 속하는 종으로, 풍미가 뛰어나고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무기질 및 비타민 등의 각종 영양소를 다양하게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생리활성 물질을 생산함으로써 예로부터 식용 혹은 약용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여 왔다(11,12). 특히 버섯의 다당체는 항암작용, 면역증강작용, 항산화 효과,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등의 다양한 약리 효과가 밝혀지면서 건강기능식품의 소재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13-16).
발효법은 어떤 기술인가? 한편 발효법은 역사상 가장 오래된 기술로써 식품, 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그중 인류 역사와 함께 해온 식품 발효는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술이다(17). 최근에는 발효식품의 생리활성 작용이 알려지면서 세계적으로 건강기능성 장수식품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유산균의 건강기능성이 밝혀지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8-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Lee YM, Kang DG, Kim MG, Choi DH, Lee HS. 2004. Isolation of antioxidants from the seeds of Xanthium strumarium. Korean J Ori Physiol Pathol 18: 792-796. 

  2. Moon YG, Choi GS, Lee LJ, Kim KY, Heo MS. 2007. Lactic acid bacterias growth,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n fish pathogenic bacteria by native plant extracts, Jeju island.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5:210-219. 

  3. Ames BN, Shigenaga MK, Hagen TM. 1993.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 of aging. P Natl Acad Sci USA 90: 7915-7922. 

  4. Rhyu DY, Kim MS, Min OJ, Kim DW. 2008. Antioxidative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extract. Korean J Plant Res 21:91-95. 

  5. Xu XM, Jun JY, Jeong IH. 2007. A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Hae-Songi mushroom (Hypsizigus marmoreus) hot water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351-1357. 

  6. Hwang JG, Yun JK, Han KH, Do EJ, Lee JS, Lee EJ, Kim JB, Kim MR. 2011. Anti-oxidation and anti-aging effect of mixed extract from Korean medicinal herbs. Kor J Herbology 26: 111-117. 

  7. Kim HH, Kwon JH, Park KH, Kim MH, Oh MH, Choe KI, Park SH, Jin HY, Kim SS, Lee MW. 2012. Screening of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in local native plants. Kor J Pharmacogn 43: 85-93. 

  8. Kang HW. 2012.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extracts from Flammulina velutipes (Curtis) sing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072-1078. 

  9. Kim JO, Jung MJ, Choi HJ, Lee JT, Lim AK, Hong JH, Kim DI. 2008. Antioxidative and biological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Phellinus linte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84-690. 

  10. Mau JL, Lin HC, Song SF.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ity mushroom. Food Res Int 35: 519-526. 

  11. Jun DH, Kim HY, Han SI, Kim YH, Kim SG, Lee JT. 2013. Studies on antioxidant effect of mushroom complex. J Life Sci 23: 377-382. 

  12. Kim HJ, Bae JT, Lee JW, Hwangbo MH. 2005.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ve effects on human leukemia cells of edible mushrooms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2: 80-85. 

  13. Ham SS, Oh SW, Kim YK, Shin KS, Chang HY, Chung GH. 2003. Antioxidant and genotoxic inhibition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the Inonotus obliqu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071-1075. 

  14. Lee SH, Park HJ, Young CS, Jin JH. 2004. Supplementary effect of Lentinus edodes on serum and hepatic lipid level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09-514. 

  15. Park HJ, Heo Y, Kim JB. 2011. Immunomodulating effect of edible mushroom in mice. J Life Sci 21: 515-520. 

  16. Park MH, Oh KY, Lee BW. 1998. Anti-cancer activity of Lentinus edoeds and Pleurotus astreat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702-708. 

  17. Park KY. 2012. Increased health functionality of fermented food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7: 1-8. 

  18. Ann YG. 2011.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 Nutr 24: 817-832. 

  19. Bang JH, Shin HJ, Choi HJ, Kim DW, Ahn CS, Jeong YK, Joo WH. 2012. Probiotic potential of lactobacillus isolates. J Life Sci 22: 251-258. 

  20. Kim GE. 2011. Chacteristics & applications of lactobacillus sp. from kimchi. KSBB J 26: 374-380. 

  21. Jeon JM, Choi SK, Kim YJ, Jang SJ, Cheon JW, Lee HS. 2011.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 of ginseng berry extract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7: 75-81. 

  22. Jung HK, Kim EY, Yae HS, Choi SJ, Jung JY, Juhn SL. 2000.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fermented milks as probiotic functional food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 29-35. 

  23. Yeo MH, Kim DM, Kim YH, Kim JH, Baek H, Chung MJ. 2008. Antitumor activity of CBT-AK5 purified from Lactobacillus casei against sarcoma-180 infected ICR mice. Korean J Dairy Sci Technol 26: 23-30. 

  24. Kim SJ. 2005.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yogurt prepared with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Culture 20: 337-340. 

  25. Lee Y, Chang HC. 2008.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kimchi lactic acid bacteria showing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6: 106-114. 

  26. Kim SY, Shin KS, Lee H. 2004. Immunopotentiating activities of cellular components of Lactobacillus brevis FSB-1.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52-1559. 

  27. Park SH, Kim YA, Lee DK, Lee SJ, Chung MJ, Kang BY, Kim KJ, Ha NJ. 2007. Antibacterial activity and macrophage activ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J Environ Toxicol 22: 287-297. 

  28. Kim KH, Yun YS, Chun SY, Yook HS. 2012.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rape pomace fermented by various microorganis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1049-1056. 

  29. Kim YS, Chio GH, Lee KH. 2011. Change of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ctivity of fermented tea during fermentation peri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073-1078. 

  30. Auh MS, Kim YS, Ahn SJ, Ahu JB, Kim KY. 2012. Comparison of property changes of black jujube and Zizyphus jujube extracts during lactic acid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346-1355. 

  31. Lee YK, Kim MK, Lee YC, Rho JH, Ma JY, Cho CW. 2011. Characteristic changes of Galgeuntang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655-658. 

  32. Yang MC, Jeong SW, Ma JY. 2011. Analysis of constituents in sipjundaebo-tang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 350-3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