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시잎의 항산화 효과 및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 독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Cell Viability against Cancer Cells of Adenophora remotiflora Leave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19 no.3, 2009년, pp.384 - 394  

김인숙 (원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권삼 (군산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유현희 (군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미경 (원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모시잎의 핵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메탄올 분획물, 물 추출물에 대해 항산화성 효과와 BNLcl2 cell(인체 정상 간세포)의 세포독성 실험, A549 cell(폐암세포 주)와 Hep G2 cell(간암세포주)에 대한 항암성을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시잎의 각 용매별 분획물 시료를 DPPHradical 소거능으로 항산화 효과를 검토한 결과, $SC_{50}$이 메탄올 분획물, 물 추출물, BHT가 각각 47.5 ${\mu}g$/mL, 74.6 ${\mu}g$/mL, 102.2 ${\mu}g$/mL로 나타나, 이들 모시잎 분획물은 합성항산화제인 BHT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헤모 글로빈 유도 linoleic acid의 산화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메탄올 분획물과 물 추출물에서 $IC_{50}$이 메탄올 분획물, 물 분획물 120.8 ${\mu}g$/mL, 135.6 ${\mu}g$/mL로 BHT의 150.2 ${\mu}g$/mL보다 낮아 항산화 효과가 높았다. BNLcl2 cell(인체 정상 간세포)에서 대조군에 대한 모시잎의 용매 분획별, 농도별(1, 5, 10, 25, 50, 100, 250, 500, 1,000, 2,000 ${\mu}g$/mL)로 처리한 실험군의 세포 생존율의 저하를 알아본 결과, 물 분획물은 모든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생존율의 저하는 없었으나, 핵산,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 분획물은 1,000 ${\mu}g$/mL 이상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p<0.01~p<0.001)인 생존율의 저하가 있어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암 활성은 A549 cell 폐암세포주에 대해 메탄올 분획물이 다른 분획물에 비해 폐암세포주 생존율을 억제시켜 500 ${\mu}g$/mL에서 대조군보다 생존율이 46%까지 낮아졌다. Hep G2 cell 간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 활성이 A549 cell보다 높았으며, Hep G2 cell에 대한 항암 활성은 500 ${\mu}g$/mL에서 메탄올 분획물은 28%까지 생졸이 낮았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30%, 물 추출물 36%, 핵산 분획물 52% 순이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모시잎은 산화와 변질의 원인이 되는 항산화 효과뿐만 아니라 폐암과 간암 세포의 성장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메탄올 분획물과 물 분획물에서 함량이 높아 항산화 활성과 폐암 세포의 성장 저해 물질은 폴리페놀 계통일 것으로 생각되며, 간암 세포 성장 저해는 전체 유기 용매 분획물에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폴리페놀 계통 외에 다른 생리활성 물질이 있을 것으로 보여, 이들 물질에 대한 추후 연구가 요구되며, 앞으로 식품뿐만 아니라 의약품의 원료 및 첨가물 등 다양한 제품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effects of extracts from Adenophora remotiflora leaves.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extracts were measured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hemoglobin-induced linoleic acid oxidat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모시잎은 한방에서 각혈, 토혈, 해독 및 거담제에 효과가 있다(Lee CB 1985, Kim TC 1998, Son MH 2007,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2, An et al 1999)고 한다. 또한, 우리나라 암으로 인한 사망 원인 중 폐암이 1위, 간암이 2위이며(KNSO 2009), 폐가 산화적 스트레스에 매우 민감한 기관(Pryor et al 1998)이라고 보고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체 폐암 세포주인 A549 cell과 간암 세포주인 Hep G2 cell에 대한 항암 활성을 알아보았다.
  • BNLcl2 cell(인체 정상 간세포)에서 대조군에 대한 모시잎 추출물의 용매 분획별, 농도별로 처리한 실험군의 세포 생존율의 저하를 알아본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이는 인체 적용시 세포 독성 여부와 항암 효과가 암세포주에 대해 선택적으로 작용해 나타낸 효과인지 혹은 모든 세포를 죽여 항암 효과를 나타낸 효과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그 결과를 보면 모든 분획물이 500 μg/mL 이하 농도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생존율의 저하를 보이지 않아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널리 이용하는 식재료이면서도 연구가 미미한 모시잎의 항산화 효과는 DPPH radical-소거능과 헤모글로빈 유도 리놀레산 산화 억제 효과를 탐색하고, 세포적용 시 독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정상 간세포의 세포 독성 그리고 간암 세포와 폐암 세포에서 항암 활성을 측정하여 새로운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시는 무엇인가? 모시(Adenophora remotiflora Miquel)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초롱꽃과(Campanulaceae)의 여러해살이풀로, 원산지는 동남아시아이며, 주로 열대지방과 온대 북부지방에 분포하고 있다(Institute of Drug and Plant 1998, Son MH 2007). 줄기는 옷을 만드는 재료로 이용하고, 뿌리와 잎은 음식으로 이용하거나, 약재로 이용하기도 한다.
모시와 같은 천연물 중에 존재하는 항산화 물질에는 무엇이 있는가? 지금까지 천연물 중에 존재하는 항산화 물질에 대한 연구로는 대두, 목화, 땅콩, 참깨 등 유지종자와 마늘, 생강, 고추냉이, 방아잎 등의 향신료와 감초, 산사, 영지, 표고, 칡, 목단피 등의 한약재와 해조류, 귤, 쑥, 들깻잎, 은행잎, 솔잎 등 각종 식물류와 원두커피, 녹차, 홍차 등 다류 식품 등에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들 중 일부는 유지 등에 첨가했을 때 산패의 유도기간을 현저히 연장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Choi et al 2000, Massry et al 2002, Juteau et al 2002, Lee & Moon 2003, Kim et al 2004, Kim & Lee 2004). 이들로부터 규명된 항산화 물질로는 폴리페놀, tocopherol, sesamol, lignan 유도체, flavone 유도체, 아미노산, peptide, carotenoid 및 flavonoid계 색소, 각종 유기산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 물질은 유지의 자동 산화 과정의 연쇄 반응을 억제하는 radical 저해제나 금속 이온의 산화 촉진 작용을 억제하는 불활성화제, 과산화물 분해제, 단독으로는 산화 방지 작용이 약하지만 radical inhibitor와 공존하면 항산화 작용을 증강시키는 synergists로 작용하여 다양하게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Lee et al 1986, Ioset et al 2001, Cho et al 2003, Zou et al 2004). 따라서 천연항산화 물질은 식품 첨가물로의 이용뿐만 아니라 각종 질병 및 암, 노화 등에 활성산소나 과산화물이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의약품 및 화장품 등의 개발에도 이용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연구는 더욱 발전할 것으로 생각한다(Kajimoto et al 1985, Chi et al 1992, Fukuda & Nagata 1986).
모시는 한방에서 어떻게 사용하는가? 줄기는 옷을 만드는 재료로 이용하고, 뿌리와 잎은 음식으로 이용하거나, 약재로 이용하기도 한다. 즉, 한방에서 뿌리는 저마근(苧麻根), 제니(齊苨)라고 하며, 잎은 저마엽(苧麻葉)이라 하여 각혈, 토혈, 지혈, 소변 출혈, 항문의 부종과 동통, 자궁염, 종기, 타박상, 옹종, 외상, 유선염, 해독 및 거담제로 사용한다(Lee CB 1985, Kim TC 1998, An et al 1999,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2, Son MH 2007). 또한 음식으로는 어리고 부드러운 잎을 채취하여 나물, 장아찌, 김치류, 떡류 등 다양하게 활용되어 왔으며, 잎을 삶아 불려 놓은 멥쌀과 함께 빻아 반죽하여 콩, 팥, 밤, 대추, 깨 등의 소를 넣어 만드는 모시잎 송편은 특히 전라도 영광 지방의 향토음식 중 하나이다(Kang IH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An BJ, Lee JT, Lee SA, Kwak JH, Park JM, Lee JY, Son JH (2004) Antioxidant effects and application as natural ingredient of Korean Sanguisorbae officinalis L. J Korean Soc Appl Biol 47: 244-250. 

  2. An DG, Lee KS, Shin MG, Kim CM (1999) Jungyak dictionary. Doeseochulpan Jeongdam, Seoul. p 3705-3708. 

  3. Chan KM, Decker EA, Means WJ (1993) Extraction and activity of camosine a naturlly occurring antioxidant in beef muscle. J Food Sci 58: 1-4. 

  4. Chi TH, Lee CY, Huang MT (1992)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I,II. ACS Symposium series 506, 507, A. Chem. Soc, Washington DC. 

  5. Cho EJ, Yokozawa T, Rhyu DY, Kim SC, Shibahara N, Park JC (2003) Study on the inhibitory effects of Korean medicinal plants and their main compounds on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Phytomedicine 10: 544-551. 

  6. Choi BB, Lee HJ, Bang SK (2004) Studies on the amino acid, sugar analysi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extracts from Artemisia sp.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86-91. 

  7. Choi HS, Song HS, Ukeda H, Sawamura M (2000)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of citrus essential oils and their components: detection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J Agric Food Chem 48: 4156-416. 

  8. Fattouch S, Caboni P, Coroneo V, Tuberoso C, Angioni A, Dessi S, Marzouki N, Cabras P (2008) Comparative analysis of polyphenolic profiles and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unisian pome fruit pulp and peel aqueous acetone extracts. J Agric Food Chem 56: 1084-1090. 

  9. Fattouch S, Caboni P, Coroneo V, Tuberoso CI, Angioni A, Dessi S, Marzouki N, Cabras P (2007) Antimicrobial activity of Tunisian quince (Cydonia oblonga Miller) pulp and peel polyphenolic extracts. J Agric Food Chem 55: 963-969. 

  10. Fukuda Y, Nagata M (1986) Chemical aspects of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roasted sesame seed oil and the effect of using the oil for frying. Agric Biol Chem 50: 857-867. 

  11. Hawlliwell B, Hoult RJ, Blake DR (1998) Oxidants inflammation and anti-inflammatory drugs. FASEB J 2: 2867-2870. 

  12. Hong JH, Jeon JL, Lee JH, Lee IS (2007) Antioxidative properties of Artemisia princeps pamp.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657-662. 

  13. Hwang YH, Kim DC, Hwang WI, Han YB (1998) Inhibitory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pampan extract on growth of cancer cell lines. Korean J Nutr 31: 799-808. 

  14. Institute of Drug and Plant (1998) Details of drug and plant (Revised Version). Jinmeong Publish., Seoul. p 135. 

  15. Ioset JR, Marston A, Gupta MP, Hostettmann K (2001) A methylflavan with free radical scavenging properties from Pancratium littorale. Fitoterapia 72: 35-39. 

  16. Ito N, Fukushima S, Hasebawa A (1983) Carcinogenicity of BHA in F344 rate. J Natl Cancer Inst 70: 343-352 

  17. Ju JC, Shin JH, Lee SJ, Cho HS, Sung NJ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7-14. 

  18. Juteau F, Masotti V, Bessiere JM, Dherbomez M, Viano J (2002)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es of Artemisia annua essential oil. Fitoterapia 73: 532-535. 

  19. Kajimoto G, Yoshida M, Shibahra A (1985) A role of tocopherol on the heat stability of vegetable oils. Nippon Shokuhim Kogyo Gakkashi 38: 301-309. 

  20. Kang IH (1997) Deok(Korea rice cake) and Gwasleol of Korea. Daehan Publish., Seoul. p 503. 

  21. Kang YH, Park YK, Oh SR, Moon K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22. Kim EY, Baik IN,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23. Kim HJ, Choi JH, Kim HD, Park CC (1994)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crease resistance of Korean traditional hansan ramie fabrics. J of Kor Soc of Dyers and Finishers 6: 285-292. 

  24. Kim JA, Lee JM (2004) The change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Hizikia fusiformis with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Culture 19: 200-208. 

  25. Kim KN, Lee JA, Yoon WJ, Kim JY, Sang GP, Park SY (2007) The cytotoxicity of Artemisia fukudo extracts against HL-60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19-824. 

  26. Kim SH (2003) Volatile flavor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denophora remotiflora. MS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27. Kim SI (1992) Sensory and instrumental texture properties of songpyuns and mosipulpyuns according to the cooking condition during storage. MS Thesis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Pusan. 

  28. Kim TC (1998) Korean resources plants. IV.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pp 183. 

  29. KNSO(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9) 2008 Social indicator of Korea, p 11. 

  30.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2) The Korean herbal pharmacopoeia, Seoul, p 335. 

  31. Kuo JM, Yeo DB, Pan BS (2001) Rapid photometric assay evaluating antioxidative activity in edible plant material. J Agric Food Chem 47:, 3206-3215. 

  32. Lee CB (1985) Korean dictionary of plant. Hyangmunsa, Seoul. pp 720. 

  33. Lee HJ, Kim KH, Park JK, Hwang EH (2008)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on apoptosis in hela cells. Korean J Nutr 41(1): 22-30. 

  34. Lee HK, Kim JS, Kim NY, Kim MJ, Park SU, Yu CY (2003) Antioxidant,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activites of extracts from Cri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Kitamur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 53-61. 

  35. Lee MJ, Moon GS (2003) Antioxidative effects of Korean bamboo trees. Korean J Food Sci Techno 35: 1226-1232. 

  36. Lee MK, Choi GP, Ryu LH, Lee GY, Yu CY, Lee HY (2004) Enhanced immune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extracts against human cell lin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36-42. 

  37. Lee SJ (1578) Boenchogangmeok. Seoul, p 570-571. 

  38. Lee SR, Kim SJ, Kim GH. (2001) Quality characteristics of Adenophora remotiflora for increasing the value as a food resource. Institute of Natural Sciences Research, Duksung Women's University 7: 117-124. 

  39. Lee YB, Kim YS, Ashmore CR (1986) Antioxidant property in inger rhisome and its application to meat products. J Food Sci 51: 20-28. 

  40. Lee Y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dukeum (pan-fired) ramie leaves powder added muffin. M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41. Lee YS, Joo EY, Kim NW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Lespedeza bicolor. Korean J Food Preserv 12: 75-79. 

  42. Lim JA, Na YS, Baek SH (2004)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ethanol extract from Phyllostachys bambusoid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06-310. 

  43. Lim SJ, Han HK, Ko JH (2003) Effects of edible and medicinal plants intake on blood glucose, glycogen, and protein level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Nutr 36: 981-989. 

  44. Massry KF, El-Ghorab AH, Farouk A (2002) Antioxidant activity and volatile components of Egyptian Artemisia judaica L. Food Chem 79: 331-336. 

  45. Noh WS, Her SH (2001) Nutritional supplementation and health food. Hyoeil, Seoul. p 240-246. 

  46. Park YM, Kim SJ, Jo KH, Yang EJ, Jung ST (2006) Anticariogen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from medicinal herb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284-296. 

  47. Pryor WA, Stone K, Zang LY, Bermudez E (1998) Fraction of aqueous cigarette tar extracts : fraction that contain the tar radical cause DNA damage. Chem Res Toxicol 11: 441-448. 

  48. Shah S, Stapleton PD, Taylor PW (2008) The polyphenol (-)-epicatechin gallate disrupts the secretion of virulencerelated proteins by Staphylococcus aureus. Lett Appl Microbiol 46: 181-185. 

  49. Son GM, Bae SM, Chung JY, Shin DJ, Sung TS (2005) Antioxidant effect on the green tea and puer tea extracts. Korean J Food & Nutr 18: 219-224. 

  50. Son MH (2007)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Boehmeria nivea (L.) Gaudich.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on. 

  51. Song JH, Lee HS, Hwang JK, Chung TY, Hong SR, Park KM (2003)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hellinus ribis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690-695. 

  52. Wenzel U, Kuntz S, Brendel MD, Daniel H (2000) Dietary flavone is a potent apoptosis inducer in human colon carcinoma cells. Cancer Res 60: 3823-3831. 

  53. Woo WS(2001) Experimental methods for phytochem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p 61. 

  54. Yildirm A, Mave A, Kara AA (2001)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umex crispus L. extracts. J Agric Food Che 49: 4083-4097. 

  55. Yoo KM, Hwang IK (2004) In vitro effect of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extracts on proliferation of human prostate cancer cells and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 36: 339-344. 

  56. Zou Y, Lu Y, Wei DJ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a flavonoid- rich extract of Hypericum perforatum L. in vitro. Agric Food Chem 52: 5032-50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