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방법에 따른 모시잎의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Effects of Ramie Leaf according to Drying Method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Cancer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5, 2014년, pp.682 - 689  

김아라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수태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은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재준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모시잎의 건조방법에 따른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80% 에탄올로 추출한 열풍건조동결건조 모시잎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풍건조 모시잎이 동결건조 모시잎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1,000 ppm에서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77.74%와 77.29%의 비슷한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으며, Rancimat으로 측정한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의 항산화지수는 각각 1.38과 1.32로 BHT, BHA 및 비타민 C에 비해서는 낮았으나 시료를 미첨가한 음성대조군보다는 높은 항산화력을 보였다. 위암(AGS), 간암(Hep G2) 및 폐암(A549) 세포에 대한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알아본 결과,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암세포의 증식 억제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건조방법에 따른 항암활성은 비슷한 경향이었으며 가장 높은 농도인 $800{\mu}g/mL$에서 80% 이상의 간암 및 폐암세포의 증식 억제 활성을 보였고, 위암세포에서는 75%이상의 증식 억제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은 in vitro에서 항산화효과와 암세포의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고, 건조방법에 따른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은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iscriminate the effects of the ramie leaf according to the drying methods (hot air drying and freeze drying) on antioxidative activity in vitro and antiproliferation in human cancer cell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polyphenol content of ramie lea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조방법에 따른 모시잎 80% 에탄올 추출물의 간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간암(Hep G2) 세포주를 대상으로 MTT assay를 이용한 간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알아보았다. 간암 세포주에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 추출물의 농도별로 시료 처리를 한 후 각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는 Fig.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시잎 분말의 건조방법에 따른 생리활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모시잎을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하여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모시잎의 건조방법에 따른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80% 에탄올로 추출한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가설 설정

  • 1)The concentration of all test samples was 1,000 ppm (1 mg/m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시잎의 효과는? 모시잎에는 아미노산, 비타민 C, Ca, K, Mg이 풍부하며(6), 다량 함유된 식이섬유소로 인하여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7), 항변비 효과(8)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생체 내 산화작용을 억제하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비롯한 폴리페놀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쑥보다 많은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여 총 페놀성 화합물은 쑥보다 4배, 총 항산화 활성은 쑥보다 6배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9).
모시잎에 함유된 풍부한 영양소는? 모시잎에는 아미노산, 비타민 C, Ca, K, Mg이 풍부하며(6), 다량 함유된 식이섬유소로 인하여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7), 항변비 효과(8)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생체 내 산화작용을 억제하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비롯한 폴리페놀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쑥보다 많은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여 총 페놀성 화합물은 쑥보다 4배, 총 항산화 활성은 쑥보다 6배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9).
식품을 건조시키는 인공건조방법 중 가장 보편화된 방법은? 한편 식품을 건조시키는 인공건조방법에는 열풍, 동결, 냉풍 및 진공건조 등 다양하며 건조방법마다 물성 변화, 색, 맛, 복원성 및 조직감 등에 있어 장단점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식품의 가장 보편화된 건조방법으로는 열풍건조가 사용되고 있고, 영양성분 및 기능성 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동결건조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연구로 보리잎(15), 매생이(16), 와송(17), 양파(18), 마늘(19), 감태(20) 등의 건조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 활성 등의 생리활성 비교 연구가 보고된 바 있으며, 식품소재마다 건조방법에 따른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Ha TY. 2006.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materials for healthy life. Korean J Crop Sci 51: 26-39. 

  2. Stadtman ER, Berlett BS. 1998. Reactive oxygen-mediated protein oxidation in aging and disease. Drug Metab Rev 30: 325-243. 

  3. Park SY, Kim JW. 1992. Screening and isolation of the antitumor agents from medicinal plants (I). Kor J Pharmacogn 23: 264-267. 

  4. Lee YM, Bae JH, Jung HY, Kim JH, Park DS. 2011.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29-36. 

  5. Lee SJ. 1578. Boenchogangmeok. People's Health Publishing, Seoul, Korea. p 570-571. 

  6. Yoon SJ, Jang MS. 2006. Characteristics of quality in Jeolpyun with different amounts of ramie.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636-641. 

  7. Lee JJ, Park MR, Kim AR, Lee MY. 2011. Effects of ramie leaves on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and antiobesity effect in rats fed a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83-90. 

  8. Oh SH. 2012. Effects of ramie leaf on the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in rats. M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9. Kim OS. 2010. Physiolog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kery products added with mosi leaf powder. PhD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10. Kim HJ, Choi JH, Kim HD, Park CC. 1994.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crease resistance of Korean traditional Hansan ramie fabrics. J Korean Soc Dyers and Finishers 6: 285-292. 

  11. Park SS, Kim SI, Sim KH. 2011.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ulgidduk supplemented with ramie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763-772. 

  12. Paik JE, Bae HJ, Joo NM, Lee SJ, Jung HA, Ahn EM. 2010.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Boehmeria nivea. Korean J Food & Nutr 23: 446-452. 

  13. Lee YJ, Woo KS, Jeong HS, Kim W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with added dukeum (pan-fired) ramie leaf (Boehmeria nivea). Korean J Food Culture 25: 810-819. 

  14. Jung IC, Park KS, Ha HC, Kim SH, Kwon YI, Lee JS. 1996. Antioxidative effects of fruit body and mycelial extracts of Pleurotus ostreatu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464-469. 

  15. Park SJ, Lee JS, Hoe YH, Moon EY, Kang MH. 2008. Physiology activity of barley leaf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627-1631. 

  16. Son SM, Kwon HO, Lee JH. 2011.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Capsosiphon fulvescens according to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582-1588. 

  17. Lee SJ, Seo JK, Shin JH, Lee HJ, Sung NJ.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wa-song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ccording to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05-611. 

  18. Kim HR, Seog EJ, Lee JH, Rhim JW. 200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nion powder as influenced by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42-347. 

  19. Chang YE, Kim JS. 2011. Effects of pretreatment and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powd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680-1687. 

  20. Kim JA, Lee JM. 2004. The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Ecklonia cava according to the drying methods. J Korean Home Econ Assoc 42: 193-203. 

  21.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 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gents. J Biol Chem 12: 239-249. 

  22. Chae SK, Kang GS, Ma SJ, Bang KW, Oh MW, Oh SH. 2002. Standard food analysis. Jigu-Moonwha Sa, Paju, Korea. p 381-382. 

  2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3. 

  24. Joo KJ, Kim JJ. 2002. Oxidative stability and flavor compounds of sesame oils blended with vegetable oi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499-502. 

  25. Ishiyama M, Tominaga H, Shiga M, Sasamoto K, Ohkura Y, Ueno K. 1996. A combined assay of cell viability and in vitro cytotoxicity with a highly water-soluble tetrazolium salt, neutral red and crystal violet. Biol Pharm Bull 19: 1518-1520. 

  26. Lee YR, Nho JW, Hwang IG, Kim WJ, Lee YJ, Jeong HS. 2009.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amie leaf (Boehmeria nivea L.). Food Sci Biotechnol 18: 1096-1099. 

  27. Lee YM, Bae JH, Jung HY, Kim JH, Park DS. 2011.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29-36. 

  28. Jin TY, Oh DH, Eun JB. 2006.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components in the raw materials of saengsik, uncooked food by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88-196. 

  29. Jin TY, Quan WR, Wang MH. 2008. Change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in the Codonopis lanceolata saengsik, uncooked food by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721-725. 

  30. Kim YM, Choi MS, Bae JH, Yu SO, Cho JY, Heo BG. 2009. Physiological activity of bang-a, aster and lettuce greens by the different drying methods. J Bioenviron Control 18: 60-66. 

  31. Park SS, Sim KH, Kim SI. 2010. Antioxidative activity of Boehmeria nivea L. Presented at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Annual Meeting, Gyeongju, Korea. p 318. 

  32. Kim JH, Kim MK. 1999. Effect of dried leaf powders and ethanol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Aster scaber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Korean J Nutr 32: 540-551. 

  33. Sakanka S, Kim M, Taniguchi M, Yamamoato T. 1989. Antibacterial substance in Japanese green tea extract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a cariognic bacterium. Agric Biol Chem 53: 2307-2311. 

  34. Park CS, Kwon CJ, Choi MA, Park GS, Choi KH. 2002.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mugwort and pine needle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9: 248-252. 

  35.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36. Lee JS, Park YK, Ahn YS, Kim HS, Chung MN, Jeong BC, Bang JK. 2007. Antioxidative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sweetpotato tips. Korean J Crop Sci 52: 228-238. 

  37.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38. Jung MJ, Yin Y, Heo IS, Wang MH. 2008.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xtract from Artemisia capillares. Kor J Pharmacogn 39: 194-198. 

  39. Xu Q, Mori H, Sakamoto O, Uesugi Y, Koda A. 1989. Immunological mechanisms of antitumor activity of some kinds of crude drugs on tumor necrosis factor production. Int J Immunopharmacol 11: 607-613. 

  40. Ryu JH, Lee SL, Kim MJ, Shin JH, Kang SK, Cho KM, Sung NJ. 2011.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Artemisia annua L. and determination of functional compoun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509-516. 

  41. Kim IS, Park KS, Yu HH, Shin MK.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nd cell viability against cancer cells of Adenophora remotiflora leav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384-394. 

  42. Seo HS, Chung BH, Cho YG. 2008. The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butterbur (Petasites japonicus) extracts. Korean J Plant Res 21: 265-269. 

  43. Park CS, Kim ML. 2006. Functional properties of mugwort extrac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added mugwort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3: 161-167. 

  44. Lee MK, Choi GP, Ryu LH, Lee GY, Yu CY, Lee HY. 2004. Enhanced immune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Artemisia capilaris Thunb extracts against human cell lin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36-42. 

  45. Kim EJ, Jung SW, Choi KP, Han SS. 1998. Cytotoxic effect of the pine needle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213-2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