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참여기업이 만족할 수 있는 지역 산학협력 R&D 과제를 선정하기 위한 지표를 발견하는데 있다. 기존의 산학협력 R&D 과제는 수요자인 참여기업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다. 하지만, 우수한 연구 성과를 목표로 하는 연구개발 사업과는 달리 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지역 산학협력 R&D 과제의 경우 참여기업 중심의 과제 기획 및 선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학협력 R&D 사업에 참여했던 기업들을 대상의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일원분산분석, 회귀분석 등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기업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내고 이를 선정기준으로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기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협력시간, 사업화계획 수립시점, 기술이전 여부, 목표달성 수준 등이 있었으며, 이는 선정단계에서 구체적인 인원투입계획, 사업화 계획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만족도를 사업 시스템 개선에 활용한 시도로서 의미가 있으며, 수요자 중심의 사업기획과 운영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참여기업이 만족할 수 있는 지역 산학협력 R&D 과제를 선정하기 위한 지표를 발견하는데 있다. 기존의 산학협력 R&D 과제는 수요자인 참여기업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다. 하지만, 우수한 연구 성과를 목표로 하는 연구개발 사업과는 달리 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지역 산학협력 R&D 과제의 경우 참여기업 중심의 과제 기획 및 선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학협력 R&D 사업에 참여했던 기업들을 대상의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일원분산분석, 회귀분석 등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기업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내고 이를 선정기준으로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기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협력시간, 사업화계획 수립시점, 기술이전 여부, 목표달성 수준 등이 있었으며, 이는 선정단계에서 구체적인 인원투입계획, 사업화 계획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만족도를 사업 시스템 개선에 활용한 시도로서 의미가 있으며, 수요자 중심의 사업기획과 운영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s to discover selection indicator for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R&D project. Existing Project lacks careful consideration for participant enterprise. But, This project must be focused on enterprise for the goal of project is to improve business competition. Therefore, we analyze th...
This paper is to discover selection indicator for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R&D project. Existing Project lacks careful consideration for participant enterprise. But, This project must be focused on enterprise for the goal of project is to improve business competition. Therefore, we analyze the survey result of enterprise satisfaction and deduct the factor of satisfaction by statistical analysis like One-way ANOVA and Regression. The study says that collaboration time, the time of planning of commercialization, technology transfer and the level of goal achievement improve enterprise satisfaction. And it implies needs for plan of manpower input and commercialization at the selecting phase. This paper is significant that it can improve project system by satisfaction. We expect that this result is utilized by planning and management.
This paper is to discover selection indicator for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R&D project. Existing Project lacks careful consideration for participant enterprise. But, This project must be focused on enterprise for the goal of project is to improve business competition. Therefore, we analyze the survey result of enterprise satisfaction and deduct the factor of satisfaction by statistical analysis like One-way ANOVA and Regression. The study says that collaboration time, the time of planning of commercialization, technology transfer and the level of goal achievement improve enterprise satisfaction. And it implies needs for plan of manpower input and commercialization at the selecting phase. This paper is significant that it can improve project system by satisfaction. We expect that this result is utilized by planning and managemen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실용성과 즉시성을 중시하는 중소기업에 보다 중요한 직접적인 협력활동을 제공할 수 있는 산학협력사업[1]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학협력 R&D 과제의 선정단계에 관심을 가지고, 효과적인 선정기준 개발을 통해 산학협력 시스템을 개선하고자 한다.
결국 개발하려고 하는 기술의 우수성 및 달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경제적·사회적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투자대비 효과가 높은 과제를 선정하려고 한다.
우리나라 산학협력은 중소기업이 내부적 필요에 의해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보다는 공급자인 대학주도로 이루어져 왔고, 대학과 수요자인 중소기업의 상호 이해관계 상충으로 인해 효과적인 산학협력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1]. 본 연구에서는 수요자가 만족할 수 있는 협력 시스템 구성에 관심을 가진다.
만족도와 성과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제도를 채택해 나감으로써 제도혁신이 실현가능하다[6]. 따라서 만족도 기반의 선정기준 개선을 통해 산학협력 사업의 효과성을 높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요자인 ‘참여기업의 만족도’를 근거로 연구센터와 과제를 선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즉, ‘연구가 사업화를 지향하고 있는지, 기술개발 이외의 협력활동이 원활하게 진행되었는지, 목표했던 성과에 도달하고 있는지’ 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알게 되는 요소들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학협력 R&D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선정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기준으로 개발하는 것이 목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가설을 세우고 특정한 사업의 세부 요인들이 기업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정하고자 한다.
를 검토하여 유의성을 점검한다. 이런 방법으로 어떤 요인들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본 연구는 지역의 산학협력 R&D 활성화를 위해 과제 선정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핵심요소를 발견하는 것이 목표이다.
본 연구는 사업의 성과지표 중의 하나인 참여자의 만족도가 사업의 운영체계를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연구이다. 사업의 효율성 증진을 위해 만족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운영 시스템을 개선하는 수단을 개발했다.
가설 설정
가설 I: 참여 목적에 따라 기업의 만족도가 다르다.
가설 Ⅱ: 개발을 목표로 하는 기술의 특성에 따라 기업의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가설 Ⅲ: 연구진의 수준과 특성에 따라 참여기업의 만족도가 다르다.
가설 Ⅳ: 사업화를 준비 정도에 따라 만족도가 다르다.
가설 Ⅴ: 기술지도, 네트워크 활동 등의 서비스가 만족 도에 영향을 미친다.
가설 Ⅵ: 기업의 참여 목적달성 여부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가설 Ⅲ’은 센터 연구진의 ‘기술적 전문성’, ‘핵심기술 보유여부’, ‘연구 지속역량’ 및 ‘투입시간’, ‘의사소통수준’이 기업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다.
‘가설 Ⅴ’는 ‘기술지원’, ‘교육·기술지도’, ‘홍보·마케팅 활동’, ‘가설 Ⅵ’는 ‘목적달성 정도’ 및 ‘부가적 효과’가기업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가정한다.
제안 방법
연구는 먼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발굴하고, 이를 선정기준으로 전환하는 2단계로 구성된다. 3, 4, 5장에서는 참여기업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 6장에서 이를 기반으로 선정기준에 추가될 수 있는 항목을 개발한다.
만족도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사업전반에 걸친 만족도’와 ‘사업 재참여 의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 다.
단, 연구결과의 활용 폭을 넓히기 위해 ‘내부역량강화(Strengthening of Ability)’, ‘국산화 (Localization of Products)’, ‘센터의 지속성 및 투자시간 (Sustainability of Research Center, Making time and Size of Researcher)’, ‘비즈니스 모델 개발 시점(Time of Business Model Development)’, ‘마케팅활동(Marketing)’, ‘부가효과(Additional Effect)’ 등 기존에 생각하지 못했던 변수들을 추가하였다.
가설 검정을 위해, 산학협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된 항목들을 독립변수로 활용한다. 이를 Table 3에 정리하였다.
Fig. 1과 같이 가설에서 규정한 요인들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해 설문을 실시하고, 분석한다.
설문항목의 특성에 따라 다중회귀분석 및 일원분산분석을 이용하여 기업의 만족도에 어떠한 요인들의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주요 요인들을 선정평가 단계에서 확인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개발한다.
가설에 따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 ·정리했다.
이후에 기여도가 낮은 변수들이 제거된 회귀모형의 R2를 검토하여 유의성을 점검한다. 이런 방법으로 어떤 요인들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반면에 가설 I, Ⅱ, Ⅳ의 경우에는 설문방식이 특정 항목을 선택하는 형태이므로, 회귀분석을 통해서는 주요요 인을 파악하기 어렵다. 항목별 만족도의 그룹화를 통한 일원분산분석을 수행하여 선택항목에 따라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분석하고,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항목을 발견한다.
이를 위해 ’12년도에 경기도의 산학협력 R&D 사업에 참여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만족도 설문을 실시하고, 만족 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했다.
본 연구는 사업의 성과지표 중의 하나인 참여자의 만족도가 사업의 운영체계를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연구이다. 사업의 효율성 증진을 위해 만족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운영 시스템을 개선하는 수단을 개발했다.
본 연구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산학협력 사업이 수요자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논의에서 출발했다. 이를 위해 참여기업이 만족할 수 있는 협력사업 조건이 무엇인지 발견하고 이를 연구센터와 과제를 선정하는 단계에 반영하는 수단을 제안했다. 수행한 연구 결과가 사업 평가·관리 체계에 반영되어 수요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산학협력 활성화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12년도에 산학협력 R&D 사업에 참여한 경기도 소재 109개 기업을 대상으로 무기명 만족도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12년도에 산학협력 R&D 사업에 참여한 경기도 소재 109개 기업을 대상으로 무기명 만족도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수행되었다. 94개의 기업이 설문에 응답했다. 무기명 설문으로 어떤 기업이 누락되었는지 확인할 수는 없으나, 109개 대상 기업의 정보는 Table 2와 같다.
데이터처리
단, ‘가설 Ⅴ’에서 분석하는 ‘정보지원’, ‘교육·기술지도’, ‘홍보·마케팅’ 지원 수준은 과제별로 지원 여부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지원여부에 따라 분리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가설3을 검정하기 위해 센터연구진의 수준과 활동을 평가한 항목을 독립변수로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다중회 귀분석을 실시했다. 그 이후에 회귀모형에 대한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항목별 유의확률은 다음 Table 6과 같이 나타났다.
가설5을 검정하기 위해 센터의 서비스 항목인 ‘정보지원’, ‘교육·기술지도’, ‘홍보·마케팅’ 이 지원된 센터를 분류하고, 단일 서비스만 지원된 경우는 단일회귀분석, 복수의 서비스가 제공된 경우에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고 회귀모형에 대한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항목별 유의확률을 Table 7에 정리하였다.
성능/효과
두 번째로 ‘실행’ 단계에서의 ‘경험과 성과’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94개 참여기업 중에 64개의 기업(68%)이 신기술·신제품 개발을 목적으로 참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참여연 구진의 전문성, 지속역량, 투입시간, 의사소통 수준은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결과적으로 현재 보유하고 있는 기술보다 연구진 적극적인 참여여부 및 장기적인 협력 가능성이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
가설4를 검정하기 위해 기술이전이 완료되었거나, 기술이전 계획이 있는 경우, 기술이전 계획도 없는 경우에 만족도 차이를 분석을 수행한 결과 유의확률 0.0028로 유의수준 0.01이하에서 기술이전 계획이 있는 경우와 기술 이전을 하지 않는 경우에서 만족도에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단지, 이미 기술이전이 완료된 경우는 기술이 전계획이 있는 경우보다 결과 결과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01이하에서 기술이전 계획이 있는 경우와 기술 이전을 하지 않는 경우에서 만족도에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단지, 이미 기술이전이 완료된 경우는 기술이 전계획이 있는 경우보다 결과 결과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만족도 분석결과는 Table 7와 같다.
일원분산분석 결과 기술개발 이전에 사업화를 계획하는 경우, 사업화 계획이 없는 경우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유의확률 0.
분석결과, 지역의 산학협력 R&D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학술적으로 우수하거나 독창적인 연구 보다 실질적으로 기업의 매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업화 가능한 기술 개발을 선호하고 기존의 연구성과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 센터보다 우수한 연구자를 안정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경우에 만족한다.
그 결과 연구진의 전문성 및 적극적인 협력활동, 기술 이전 계획 여부, 사업화 계획 수립 시점, 목표 달성 여부, 부가적 혜택의 존재 등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으로 발견하여 새로운 선정기준에 추가할 수 있었다.
후속연구
만족도 성과를 사업선정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연계함으로써, 기존에 반영하기 어려웠던 기업의 수요를 기반으로 하는 사업선정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기존에 ‘성과평가’의 수단으로만 생각되었던 만족도를 ‘선정’의 수단으로 활용한 시도로서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참여기업이 만족할 수 있는 협력사업 조건이 무엇인지 발견하고 이를 연구센터와 과제를 선정하는 단계에 반영하는 수단을 제안했다. 수행한 연구 결과가 사업 평가·관리 체계에 반영되어 수요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산학협력 활성화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의 산학협력 R&D 과제는 무엇에 초점을 맞추는가?
하지만, 지역의 산학협력 R&D 과제는 독창적이고 우수한 기술을 개발하는 것 보다 참여기업에게 도움이 되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단기적으로 제품화할 수 있는 기술이나 생산성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기술 또는 장기적으로 기업의 기술경쟁력강화에 도움을줄 수 있는 기술 등이 요구된다.
지역의 산학협력 R&D 과제에서 요구되는 기술은 무엇인가?
하지만, 지역의 산학협력 R&D 과제는 독창적이고 우수한 기술을 개발하는 것 보다 참여기업에게 도움이 되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단기적으로 제품화할 수 있는 기술이나 생산성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기술 또는 장기적으로 기업의 기술경쟁력강화에 도움을줄 수 있는 기술 등이 요구된다.
지역의 산학협력 R&D 사업의 목적은 무엇인가?
지역의 산학협력 R&D 사업은 국가 연구개발 사업과는 달리 ‘지역 기업의 경쟁력 제고’, ‘지역 산업구조 고도화’ 등을 목적으로 추진된다. 지역의 우수한 기술개발 성과를 도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술개발을 지역경제 활성화로 연계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참고문헌 (20)
J. S. Hong, H. B. Yang and S. I. Hong, The Current State of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for Small Enterprises and Future Development, Korea Institute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2006
D. B. Chung, Y. M. Ko and K. N. Kim, "An Analysis of Industry-University-Institute R&D Collaboration and Firm Performance on SMEs",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 20, No. 1, pp. 115-140, 2012
T. W. Kim, "A study on Lo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structures to impede the facilitation of Local collaboration between industry and university", Korea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Vol. 22, No. 2, pp. 309-330, 2010
S. H. Yoo "A Study on the Information Supporting System for R&D Decision Making using Technology Valuation Mode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ol. 33, No. 4, pp. 107-128, 2002 DOI: http://dx.doi.org/10.1633/JIM.2002.33.4.107
D. K. Yoon and D. W. Yang, "An emperical study on a cause of the gap between technological success rate and commercialization success rate on the government-funded R&D projects of SME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8, pp. 127-141, 2013
K. S. Kim and M. H. Kim, "Improving R&D Management System through Researchers′ Satisfaction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Industrial R&D Institutes",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l. 1, No. 3, pp. 299-312, 1998
B. I. Lim and S. K. Ahn, "Prioritization of National R&D Investment Uisng Estimation Results by CGE Model",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 19, No. 3, pp. 57-83, 2011.
S. H. Lee, S. Y. Kim and S. J. Lee, "Ripple Effect Analysis of Regional Industry Technology",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9, No. 6, pp. 1-11, 2011
D. H. Kim and S. G. Ahn, "System Dynamics Modeling for the Allocation of National R&D Investment",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Vol. 9, No. 6, pp. 1-11, 2011
S. K. Ahn. E. S. Kim and H. J. Cho, "Analysis of Asseessment Indicator on Priorities for Budget Allocation of the National R&D Program",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l. 14, No. 4, pp. 889-914, 2011.
D. H. Ryu, J. Y. Park and W. J. Lee, "Development of an Strategic Model for the Selection of a National IT R&D Strategic Project",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ciences, Vol. 15, No. 3, pp. 501-509, 2011 DOI: http://dx.doi.org/10.6109/jkiice.2011.15.3.501
W. E. Souder, "A System for Using R&D Project Evaluation Methodst", Research Technology Management, Vol. 21, No. 5, pp. 29-37, 1978
H. S. Yoo, J. H. Kim, S. P. Jun, J. Seo and J. Y. Yoo, "Study on the Selection Method of the Focused Supporting Industries for the Maximization of SMEs' Technological Innovation",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l. 16, No. 1, pp. 41-62, 2013
Y. K. Lee and C. G. Son, "A Study on Evaluation and Screening Methods of Research Proposals for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s",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l. 12, No. 3, pp. 614-637, 2009
D. E. Cubin and E. J. Hackett, Peerless Science: Peer Review and U.S. Science Policy,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J Lee and S, Shin, "How to IT Mentoring Program Participants affect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Satisfaction",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0, No. 11, pp. 39-46, 2012
J. M. Lee, S. H. Ihm, G. H. Hwang and J. S. Lee, "Hypotheses Analysis about the Efficacy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Case of IT Mentoring System",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1, No. 8, pp. 342-352, 2011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1.11.8.342
S. C. Ko and Y. S. Cho, "The analysis on the Linkages and determinants of cooperation among industry, academia, and research institutes: the case of firms in Korean industrial complexes",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ol. 21, No. 2, pp. 101-123, 2005
C. H. Lee, C. G. Lee and D. M. Lee, "A Study 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echnology Transfer Performance of Universities : An Approach to Different Types of Korean Universiti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Vol. 12, No. 9, pp. 3936-3951, 2011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1.12.9.3936
K. H. Choi, "The Policy of Industry-University Network Building and the Firm Networking: A Focus on the Daegu-Gyeongbuk Region",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ol. 15, No. 3, pp. 404-423, 201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