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하지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ask Oriented Circuit Training on the Function of Lower Extremity and Quality of Life in Hemiplegic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1, 2014년, pp.299 - 305  

차현규 (을지대학교 병원 재활센터) ,  오덕원 (청주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지상구 (을지대학교 병원 재활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편마비 환자의 하지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에는 총 25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들이 참여하였고, 무작위로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군 13명, 트레드밀 훈련군 12명으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두 군 모두 8주 동안 주 5회, 30분 트레드밀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군은 30분 동안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을 추가로 실시하여 슬관절 근력, 균형 능력, 10m 보행 능력, 그리고 뇌졸중 영향 척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군이 트레드밀 훈련군에 비해 슬관절 신전근과 굴곡근, 그리고 균형 능력, 뇌졸중 영향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것은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하지 기능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좀 더 많은 환자에게 다양한 과제를 적용하여 일반화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n improving the function of lower extremi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 with hemiplegia. A total 25 paients with hemiplegia selected, the voluntee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재활 훈련프로그램을 교육 받는 것은 건강수준을 유지하고 관리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치료적 운동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는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을 적용하는 것이 하지 기능과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 병원에서 퇴원한 대부분의 뇌졸중 환자들은 지속적인 치료를 받는데 제한이 있으므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자가 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을 적용하였을 때 하지 근력, 균형, 보행 속도 및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의 목적은 집단이라는 환경을 이용하여 심리적 지지와 긍정적 자극을 제공하고, 함께 훈련하면서 최종적으로 장애인 스스로 자신의 장애를 관리하고 기능 회복을 위한 치료 전략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 트레드밀 보행 훈련에 비해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력 및 균형 능력뿐 만 아니라 뇌졸중 영향 척도의 변화에 유의한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에게서 자주 관찰되는 증상 패턴은 무엇인가? 뇌졸중은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 신체적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 중 하나로 하지 근육의 약화를 유발하여 운동조절능력을 떨어뜨리며, 인지장애, 운동장애, 언어장애, 감각결손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1]. 특히 뇌졸중 환자들은 약화된 마비측 하지의 근력을 비마비측으로 보상하는 패턴을 보이며, 비마비측을 과도하게 많이 사용하여 비대칭적인 자세조절과 보행능력의 장애를 일으킨다[2]. 뇌졸중으로 인한 신경학적, 기능적 손상과 보행속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그 중 슬관절 신전근과 굴곡근의 근력이 주된 영향을 미치며, 근위축은 슬관절 신전근이 골곡근보다 강하게 나타나므로 슬관절 신전근의 근력 강화가 필수적이다.
뇌졸중은 인체에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뇌졸중은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 신체적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 중 하나로 하지 근육의 약화를 유발하여 운동조절능력을 떨어뜨리며, 인지장애, 운동장애, 언어장애, 감각결손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1]. 특히 뇌졸중 환자들은 약화된 마비측 하지의 근력을 비마비측으로 보상하는 패턴을 보이며, 비마비측을 과도하게 많이 사용하여 비대칭적인 자세조절과 보행능력의 장애를 일으킨다[2].
재활 훈련프로그램을 교육 받는 것이 뇌졸증 환자의 건강수준을 유지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퇴원 후 뇌졸중 환자들의 대부분은 운동능력과 독립된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의 감소로 인하여 활동영역이 감소되어 증상이 재발되는 경우가 있다[20]. 그러므로 재활 훈련프로그램을 교육 받는 것은 건강수준을 유지하고 관리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 S. Sunnerhagen. "Circuit training in community living younger men after stroke", J Stroke cerebrovasc Dis, Vol. 16(3), pp. 122-129, 2007. DOI: http://dx.doi.org/10.1016/j.jstrokecerebrovasdis. 2006.12.003 

  2. J. Liepert, H. Bauder and H. R. Wolfgang. "Treatment-induced cortical reorgarnization after stroke in humans", Stroke, Vol. 31(16), pp. 1210-1216, 2000. DOI: http://dx.doi.org/10.1161/01.STR.31.6.1210 

  3. M. Roerdink, C. J. Lamoth and G. Kwakkel. "Gait coordination after stroke: Benefits of acoustically paced treadmill walking", Phys Ther, Vol. 87(8), pp. 1009-1022, 2007. DOI: http://dx.doi.org/10.2522/ptj.20050394 

  4. D. W. Vander Linden, J. H. Cauraugh and T. A. Greene. "The effect of frequency of kinetic feedback on learning an isometric force production task in nondisabled subjects", Phys Ther, Vol. 73(2), pp. 79-87, 1993. 

  5. A. Shumway-Cook, D. Anson and S. Haller. "Postural sway biofeedback: Its effect on reestablishing stance stability in hemipleg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Vol. 69(6), pp. 395-400, 1988. 

  6. P. T. Cheng, S. H. Wu, M. Y. Liaw and A. M. Wong. "Symmetrical body-weight distribution training in stroke patients and its effect on fall prevention", Arch Phys Med Rehabil. Vol. 82(12), pp. 1650-1654, 2001. DOI: http://dx.doi.org/10.1053/apmr.2001.26256 

  7. D. E. Krebs, D. M. Scarborough and C. A. McGibbon. "Functional vs strength training in disabled elderly outpatients", Am J Phys Med Rehabil, Vol. 86(2), pp. 93-103, 2007. DOI: http://dx.doi.org/10.1097/PHM.0b013e31802ede64 

  8. J. M. Bottomley and C. L. Lewis. "Geriatric Physical Therapy: A Clinical Approach", 2nd ed. Prentice Hall, 2003. 

  9. Y. R. Yang, R. Y. Wang and K. H. Lin. "Task oriented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improved muscle strength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individual with stroke", Clin Rehabil, Vol. 20(10), pp. 860-870, 2006. 

  10. B. B. Johansson. "Brain plasticity and stroke rehabilitation", The willis lecture, Stroke, Vol. 31(1), pp. 223-230, 2000. DOI: http://dx.doi.org/10.1161/01.STR.31.1.223 

  11. C. M. Dean, C. L. Richards and F. Malouin.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Arch Phys Med Rehabil, Vol. 81(4), pp. 409-417, 2000. DOI: http://dx.doi.org/10.1053/mr.2000.3839 

  12. S. Coote and E. K. Stokes. "Effect of robot-mediated therapy on upper extremity dysfunction post-stroke a single case study", Physiotherapy, Vol. 91(4), pp. 250-256, 2005. DOI: http://dx.doi.org/10.1016/j.physio.2004.12.003 

  13. L. Ada, C. M. Dean and J. M. Hall. "A treadmill and overground walking program improves walking in persons residing in the community after stroke: A placebo-controlled randomiz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Vol. 84(10), pp. 1486-1491, 2003. DOI: http://dx.doi.org/10.1016/S0003-9993(03)00349-6 

  14. U. B. Flansbjer, A. M. Holmback, D. Downham and J. Lexell. "What change in isokinetic knee muscle strength can be detected in men and women with hemiparesis after stroke", Clin Rehabil, Vol. 19(5), pp. 514-522, 2005. DOI: http://dx.doi.org/10.1191/0269215505cr854oa 

  15. A. Srivastava, A. B. Taly, A. Gupta and S. Kumar. "Post-stroke balance training: Role of force platform with visual feedback technique", J Neurol Sci, Vol. 287(1), pp. 89-93, 2009. DOI: http://dx.doi.org/10.1016/j.jns.2009.08.051 

  16. M. Pohl, J. Mehrholz, C. Ritschel and S. Ruckriem. "Speed-dependent treadmill training in ambulatory hemiparetic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Vol. 33(2), pp. 553-558, 2002. DOI: http://dx.doi.org/10.1161/hs0202.102365 

  17. T. M. Steffen, T. A. Hacker and L. Mollinger. "Age and gender-related test performance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people: Six-Minute Walk Test, Berg Balance Scale, Timed Up & Go Test and Gait Speeds", Phys Ther, Vol. 82(2), pp. 128-137, 2002. 

  18. P. Duncan, S. Studenski, L. Richards and S. Gollub.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therapeutic exercise in subacute stroke", Stroke, Vol. 34(9), pp. 2173-2180, 2003. DOI: http://dx.doi.org/10.1161/01.STR.0000083699.95351.F2 

  19. Y. R. Yang, M. P. Tsai, T. Y. Chuang and W. Sung. "Virtual reality-based training improves community ambulation in individuals with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Gait Posture, Vol. 28(2), pp. 201-206, 2008. DOI: http://dx.doi.org/10.1016/j.gaitpost.2007.11.007 

  20. N. F. Gordon, M. Gulanick and F. Costa.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recommendation for stroke survivors", Stroke, Vol. 35(5), pp. 1230-1240, 2004. DOI: http://dx.doi.org/10.1161/01.STR.0000127303.19261.19 

  21. C. M. Dean, C. L. Richards and F. Malouin. "Walking speed over 10 metres overestimates locomotor capacity after stroke", Clin Rehabil, Vol. 15(4), pp. 415-421, 2001. DOI: http://dx.doi.org/10.1191/026921501678310216 

  22. S. M. Lai, S. Perera, P. W. Duncan and R. Bode. "Physical and social functioning after stroke: Comparison of the Stroke Impact Scale and Short Form-36", Stoke, Vol. 34(2), pp. 488-493, 2003. 

  23. R. W. Bohannon. "Recovery and correlates of trunk muscle strength after stroke" Int J Rehabil Res, Vol. 18(2), pp. 162-167, 1995. DOI: http://dx.doi.org/10.1097/00004356-199506000-00010 

  24. J. J. Eng, K. S. Chu, C. M. Kim and A. S. Dauson. "A community-based group exercise program for persons with chronic stroke", Med Sci Sports Exerc, Vol. 35(8), pp. 1271-1278, 2003. DOI: http://dx.doi.org/10.1249/01.MSS.0000079079.58477.0B 

  25. A. Weiss, T. Suzuki, J. Bean. "High intensity strength training improves strength and functional performance after stroke", Am J Phys Med Rehabil, Vol. 79(4), pp. 369-376, 2000. DOI: http://dx.doi.org/10.1097/00002060-200007000-00009 

  26. C. Monger, J. Carr and V. Fowler. "Evaluation of home-based exercise and training program to improve sit to stand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Clin Rehabil, Vol. 16(4), pp. 361-367, 2002. DOI: http://dx.doi.org/10.1191/0269215502cr506oa 

  27. N. M. Salbach, N. E. Mayo and S. Wood-Dauphinee. "A task-orientated intervention enhances walking distance and speed in the first year post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Vol. 18(5), pp. 509-519, 2004. DOI: http://dx.doi.org/10.1191/0269215504cr763oa 

  28. H. S. Park. "Effects of the group task-related program praining on functional independence and quality of life for the CVA patients", Graduate School of Dankuk Univ. Master's thesis, 2005. 

  29. F. Dierick, M. Penta, D. Renaut and C. Detrembleur. "A force measuring treadmill in clinical gait analysis", Gait Posture, Vol. 20(3), pp. 299-303, 2004. DOI: http://dx.doi.org/10.1016/j.gaitpost.2003.11.001 

  30. O'Sullivan, B. Susan and F. A. Davis. "Physical rehabilita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3rd ed, Philadelphia, pp. 327-360, 1994. 

  31. C. A. Karl. "The effect of an exercise program on self-care activities for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Jour Ger Nurs, Vol. 8(5), pp. 282-285, 19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