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별교통수단 이용자 통행패턴 분석 - 경상남도 사례 -
Travel Patterns of Disabled Persons Using Special Transport Systems : Case of Gyeongsangnam-do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4 no.1, 2014년, pp.213 - 221  

신용은 (동의대학교 도시공학과) ,  최혜미 (동의대학교 공과대학원 도시공학과) ,  송기욱 (경남발전연구원 도시환경연구실) ,  이희대 (경남발전연구원 도시환경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5년 "교통약자의이동편의증진법"의 제정이후,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특별교통수단의 도입과 운영이 각 책임 지자체의 주도로 이루어져왔다. 특별교통수단을 운영함에 있어 이용자 통행특성은 서비스 수준과 운영 효율성 제고를 위한 필수적인 기초 자료이나, 현재까지 통행 특성에 대한 지식은 자료부족으로 인해 매우 미미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 콜센터 자료를 활용하여 특수교통수단 이용자의 통행특성 파악을 시도하였다. 콜센터는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통행특성 파악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이용건수, 이용자 장애 특성, 이용일자 및 시간, 휠체어 이용여부, 통행목적, 출발지 및 목적지 등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수단 이용자의 기본 특성 뿐 아니라 시 군 경계를 초월하는 광역통행을 포함한 O-D의 파악도 가능하다. 분석 결과 일반통행패턴과 다르거나 의미 있는 패턴이 파악되었다. 예를 들면, 휠체어 이용자는 42% 정도이며, 통행이 주로 비첨두시간에 집중됨도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상남도 뿐 아니라 타 지자체의 특별교통수단 정책수립과 운영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콜센터 정보수집내용에 일반적 특성을 추가할 경우 전체 자료를 활용하여 주기적인 패턴의 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2005, when "The Mobility Enhancement for the Mobility Impaired Act" was enacted, special transport systems(SPS) has been introduced by each responsible local entity. For its efficient operations and service enhancements, a clear understanding of travel patterns of SPS users is required. Yet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축된 정보기술 기반의 콜센터는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통행특성 파악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를 산출하며, 본 연구는 산출된 자료를 활용하여 특수교통수단 이용자의 통행특성 파악을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콜센터에서 발생되는 통행자료를 활용하여 특별교통수단 이용자, 즉 교통약자 및 장애인의 통행특성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정보기술 기반의 콜센터는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통행특성 파악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를 산출한다.
  •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현재 운영 중인 경상남도의 특별교통수단 통합콜센터의 일정기간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가공하여 통행특성의 주요 요소로의 구분을 시도하였다. 즉 수집된 자료 구조가 통행특성을 상세히 파악하기에는 부적합한 형태이기 때문에, 이를 가공하여 연구에 적합한 요소를 추출하였다.
  • 미국의 경우 2002년 미국교통통계국(Bureau of Transportation Statistics)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통행패턴에 관한 비교연구가 이루어 졌으며, 연구결과는 BTS보고서(2005)와 Sweeney (2004) 의 연구에 요약되어 있다. 특히 2005년도 보고서에서 설문조사를 추가 하여 장애인의 이용수단 및 통행목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뉴질랜드의 경우 (2006)정부차원에서 장애인 통행패턴을 포괄적으로 파악하고자 시도하였으며, 유럽국가의 경우는 복지정책의 일환으로 활성화된 특별교통수단 이용자 통행패턴에 관한 주기적 연구를 시행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에 대한 국가의 관심 증가로 인해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 증진법이 제정된 후 지자체의 행보는 어떠한가? 2002년 서울시가 장애인 콜택시를 도입한 이후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에 관한 국가적 관심의 증폭으로 2005년도에 특별교통수단 도입을 내용으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증진법”이 제정되었다. 이에 따라 2007년부터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방교통약자편의증진계획”을 수립하고 특별교통수단 도입을 진행하여 최근까지 상당한 성과를 거두어왔다.
특별교통수단의 이용대상자와 책임자는 누구인가? 특별교통수단1)은 법에 규정된 교통약자와 장애인을 이용대상자로 하며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지자체가 도입 및 운영의 책임을 지고 있다. 즉 각 책임지자체에 의해 목표치 달성을 위한 차량도입2)과 조례 제정, 그리고 이용 대상자 및 요금 결정과 수단운영이 이루어진다.
유일하게 특별교통수단의 법정도입율을 초과한 지역은 어디인가? 특별교통수단의 법정도입율(134.6%)이 유일하게 초과하고 있는 경상남도는 2009년 8월 1일부터 각 시․군 특별교통수단의 통합 운영을 목적으로 특별교통수단 광역이동지원센터(공식명칭: 경남 특별교통수단 콜센터)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현재 경상남도는 전국에서 광역단위의 특별교통수단 통합 콜센터를 운영하는 유일한 지자체로서 시스템 구축을 포함하여 운영에 이르기까지 주도적인 역할을 하여왔고, 이에 필요한 재원을 책임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Bureau of Transportation Statistics (2003). 2002 Transportation availability and use survey for persons with disability, US DOT, Washington DC. USA. 

  2. Bureau of Transportation Statistics (2003). Freedom to travel, BTS 03-08, US DOT, Washington DC. USA. 

  3. Choi, B. (2009). A study on travel behavior of the mobility handicapped using public transit,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Incheon (in Korean). 

  4. Jeon, Y. J. (2008). A study on movability improvement for the traffic-vulnerable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5. Jung, H. Y. and Lee, S. Y. (2013). "Analysis of traffic characteristics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3, No. 1, pp. 241-249 (in Korean). 

  6. Kim, J. Y., Rhee, J. H. and OH, S. H. (2008). "Analysis of the low floored bus effect on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28, No. 1D, pp. 29-34 (in Korean). 

  7. Kim, S. G. and Cho, H. J. (2012). A study on the operation and utilization status of the special transport systems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8. Lim, T. O. (2005). A study on policy to secure right to mobility for the disabl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n Korean). 

  9. Office for Disability Issues and Statistics New Zealand (2009). Disability and travel and transport in New Zealand in 2006, Statistics New Zealand, Wellington, New Zealand. 

  10. Seok, J. S. (2012). A study on improving efficiency of special transport service for the handicapped operation, IDI Research Report 2012-00,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in Korean). 

  11. Sweeney, M. (2004). Travel patterns for older americans with Disabilities, Working Paper 2004-001-OAS, Bureau of Transportation Statistics, US DOT, Washington DC. USA.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