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종별 특성을 고려한 대·소규모 공사의 실적공사비 비교 및 보정방안
A Compensation Method and Comparative Analysis of Historical Unit Price Considering Work Types for Large and Small-Scale Projects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4 no.1, 2014년, pp.293 - 303  

홍성호 (대한건설정책연구원) ,  이동욱 (제주대학교 토목공학과(해양과환경연구소))

초록

현재 실적공사비 단가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의해 발표되고 있으며, 대규모 공사에서 수집된 공사비 자료를 분석하여 작성되고 있다. 따라서 소규모 공사의 경우 현행 실적공사비 단가를 적용함에 있어 불합리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 소규모 토목, 건축, 기계설비공사에 대한 실적공사비를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 소규모 공사의 실적공사비는 대규모 공사에 비해 평균적으로 26.6%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노무비에 의한 대 소규모 공사의 실적공사비 차이는 18.4%이고, 재료비 경비에 의한 차이는 8.18%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시정하기 위한 소규모 공사의 실적공사비 보정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historical unit price is presen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KICT) and it is analyzed by data from large-scale projects. Therefore it has problem applying to small-scale projects. To indicate the problem, the study compared historical unit price of large-case projec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대·소규모 공사의 실적공사비 차이가 명확히 입증된 공사규모를 기준으로 보정계수를 마련하고 적용토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는 예정가격 사정의 부정확성뿐만 아니라 적정 공사비 부족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0억 원 미만의 소규모 공사비의 공사비 자료의 분석을 통해 대규모 공사비와의 실적공사비를 상호 비교함과 동시에 이에 따른 보정방안을 제안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공사 위주의 현행 실적공사비와 소규모 공사의 실적공사비를 상호 비교하여 이들 공사의 실적공사비 차이와 원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둔다. 또한 소규모 공사의 실적공사비를 보정할 수 있는 합리적인 보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공사비 자료를 통하여 대규모 공사 위주의 현행 실적공사비와 소규모 공사의 실적공사비를 상호 비교 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실적공사비 차이와 원인을 분석하고 합리적인 보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공사 위주의 현행 실적공사비와 소규모 공사의 실적공사비를 상호 비교하여 이들 공사의 실적공사비 차이와 원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둔다. 또한 소규모 공사의 실적공사비를 보정할 수 있는 합리적인 보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첫째,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해 현행 10억원 위주의 대규모 공사에 대한 실적공사비 산정절차와 기준을 파악하고, 이와 동일한 절차와 기준을 적용하여 소규모 공사에 대한 실적공사비 자료를 수집하고자 한다.
  • 현행 실적공사비 자료가 평균 10억 원 이상의 공사에서 수집된 계약단가를 위주로 분석하여 발표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공사와 소규모 공사의 실적공사비 단가를 비교하기 위해 소규모 공사에 대한 실적공사비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적공사비 방식이란? 실적공사비 방식은 시중거래 가격을 반영하여 예산절감을 모색하고, 원가 요소별 집계과정 및 근거자료 생략을 통하여 적산업무를 간소화하기 위해 2004년 1월에 도입된 방식이다.
실적공사비 적용공종 변화 추세는? 본 제도가 도입된 2004년 상반기에는 실적공사비 적용공종이 220개에 불과하였으나, 2010년 하반기에는 무려 1,762개로 약 8배이상 비약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실적공사비 방식은 많은 장점을 지닌 반면,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함께 지니고 있다.
실적공사비의 단점은? 그러나 실적공사비 방식은 많은 장점을 지닌 반면,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함께 지니고 있다. 무엇보다도 공사의 규모와 상관없이 일률적인 단가를 적용하는 것을 문제로들 수 있다. 실제로 현행 실적공사비 자료는 평균 10억 원 이상 대규모 공사에서 수집된 계약단가 위주로 분석하여 발표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onstruction Association of Korea (CAK) (2009a). Statistics yearbook of construction industry (in Korean). 

  2. Construction Association of Korea (CAK) (2009b). Analyses of cost items in complete works (in Korean). 

  3. Construction Association of Korea (CAK) (2010). Historical cost data estimating system, What is problems and How can improve?, CAK's internal materials (in Korean). 

  4. Choi, S. I., Lee, B. N., Lee, S. W. and Choi, M. S. (2006). An assessment and improvement scheme of a new cost estimation system in Korean public construction industry(II), Construction and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CERIK) (in Korean). 

  5. Ha, G. J., Choi, M. K, Yi, D. Y., Lee, Y. S., Kang, T. K. and Ha, M. S. (2008).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s of historical data cost method by historical data analysis in construction cost." Proceedings of AIK Branch Federation Conference, pp. 531-534 (in Korean). 

  6. Jeon, S. H. and Koo, K. J. (2008). "Comparison of labor input from standard quantities per unit and actual quantities in apartment reinforced concrete work."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9, No. 2, pp. 182-189 (in Korean). 

  7. Jun, S. H. and Choi, I. S. (2005). "A study on the construction cost estimating system based on historical data in apartment housing."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 5, No. 1, pp. 111-122 (in Korean). 

  8. Kang, L. S., Jeong H. W., Kwon J. H. and Youn, S. M. (2006). "Improvement method of cost estimating based on actual unit price for small size construction." Proceedings of 2006 Annual Conference, pp. 1060-1063 (in Korean). 

  9.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KICT) (1998). Research report for accu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historical unit price, 2nd Report (in Korean). 

  10.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KICT) (2008). Current situation of cost estimate system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 in Korea, KICT's internal materials (in Korean). 

  11. Kim, G. H. (2008). A compensation method of historical unit price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Chung-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in Korean). 

  12. Kim, K. S., Hyun, C. T., Hong, T. H., Jo, S. M. and Mun, H. S. (2010). "Development of an unit cost modification model for proper actual cost data in small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 10, No. 1, pp. 81-89 (in Korean). 

  13. Korea Specialty Contractors Association (KOSCA) (2009). Statistics Yearbook of Special Construction Industry (in Korean). 

  14.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d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KICT) (2004-2011). Works and unit prices for application of historical cost data estimating system in construction projects (in Korean). 

  15.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d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KICT) (2010). Conference proceedings of committee for improvement of for historical cost data estimating system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