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경공사 적산방식의 비교연구 - 실적공사비와 표준품셈의 단가비교 -
Comparative Study of Cost Estimate System in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 Comparison of Unit Price between Actual Construction Cost and Standard Quantity per Unit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0 no.2, 2012년, pp.97 - 111  

정운수 (아이에스엔지니어링) ,  최기수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공건설공사 중 조경공사 적산의 단가 비교로 적정 공사비 산출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011년 상반기 실적단가에서 조경공사로 분류되는 12항목 중 유사기준인 7항목을 대비하며, 준용 공종은 5개 현장에 적용된 실적단가 80항목 중 비교 가능한 35항목을 유사기준인 2011년 3월의 표준품셈 단가로 대비하였다. 조경부문 7항목의 실적공사비율은 항목별로는 104.86%, 총공사비로는 92.09%이다. 실적공사비율이 높은 이유는 암반 적용 여부로 씨앗뿜어붙이기의 높은 비율도 있지만, 근본적인 이유는 잔디와 씨앗뿜어붙이기의 사면처리 비용 때문이므로, 품셈의 불합리성과 토양 종류별 기준별 보정계수 규정을 세분할 필요가 있다. 토목과 건축 준용부문 35항목의 실적공사비율은 항목별로 78.65%, 총공사비로는 71.31%(70.17%)이다. 이는 실적단가가 구조적으로 실제 금액을 반영하지 못하는 점과, 품셈은 인력시공에서 현실성이 결여된 때문으로 판단된다. 국토해양부 발표인 85.1~91.2%의 실적공사비율은 신규 전환품목 단가이므로, 이 결과는 실제적인 실적공사비율로 추정되며, 실적단가가 적정 비율을 보이도록 검증 후 보완하고 표준품셈도 이러한 실적자료 등으로 보완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find a proper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method by comparing unit prices of cost estimate in landscape construction among other public ordering construction projects. There were 7 out of 12 items from the actual work cost in the first half of 2011 were compared. The 12 items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원가계산과 실적공사비의 단가비교로 조경공사의 적정 공사비 산출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세부적으로 실적단가 중 조경공사로 분류되는 항목과, 조경설계가 수행된 5현장1)에 실제로 적용된 실적공사비를 유사기준 단가인 표준품셈과의 비교로 그 차이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러한 두 가지 공사비 산출방법인 표준품셈 및 거래실례가격의 원가계산방식과 실적계약단가의 실적공사비 방식은 건설 공사 성패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사항이다. 이에 본 연구는 원가계산과 실적공사비의 단가비교로 조경공사의 적정 공사비 산출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세부적으로 실적단가 중 조경공사로 분류되는 항목과, 조경설계가 수행된 5현장1)에 실제로 적용된 실적공사비를 유사기준 단가인 표준품셈과의 비교로 그 차이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024인)로 개정되었다. 이 품셈은 실적자료를 바탕으로 제정하고 이후 검증으로 과다 적용된 사항을 일부나마 개정하였을 것이다. 2008년 상반기 실적단가가 #14는 16,256원, #16은 19,337원에서 2011년 상반기 단가는 13,374원, 15,583원으로 3년 동안 8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량산출기준지침서의 수량산출기준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수량산출기준지침서」의 수량산출기준은 개요,공종분류체계,추가고지사항(A),수량산출방법(M),단가정의(C)로 구성 되어 있다.
실적공사비란 무엇인가? 실적공사비는 공산품과 유사한 재료비․노무비․기계경비를 포함하는 단일단가 체계로서,원가계산의 표준품셈과 동일하게 건축․토목․설비공사 3개 부문으로 조경공사는 토목과 건축의 공종으로 구성되어 있다.이 방식은 표준화된 공종분류와 내역체계로 축적된 많은 자료가 필요하며,물량과 산출내역서 작성기준인 「수량산출기준지침서」2)가 제정되어 있다.
기존의 표준품셈은 어떤 문제점이 있었는가? 그동안 표준품셈은 1962년 제정 후 약 40여년간 정부 및 공공기관 건설공사 예정가격 책정의 유일한 기준으로 사용되었다.그러나 건설현장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여 건설기술자와 건설업체의 기술개발 의지를 약화시킨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강태호, 정운수(2008) 조경재료적산학. 서울: 기문당. 

  2. 건설교통부(2007) 건축공사, 토목공사 수량산출기준. 

  3. 건설교통부(2007) 건축공사, 토목공사 수량산출기준지침서. 

  4. 국토해양부(2004-2011) 토목공사, 건축공사 실적공사비 적용단가. 

  5. 김종성(1997) 우리나라 조경식물 유지관리품셈의 개선에 관한 연구: 수목전정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대한건설협회(2004-2011) 2004-2011년 건설공사 표준품셈. 대한건설협회. 

  7. 대한건설협회(1996) 실적공사비 적산기준. 대한건설협회 일간건설사. 

  8. 대한건설협회 조경위원회, 대한전문건설협회조경식재. 시설물설치공사업협의회, (사) 한국조경사회(2010) 개정증보판 조경공사적산기준. 파주: 도서출판 조경. 

  9. 박원규, 구본학, 이상석, 김성용, 한명철, 김원태(2006) 조경공사 적산기준 개선방안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조경학회 보고서. 

  10. 박원규, 김두하, 안동만(1997) 실적공사비 적산방식 도입을 위한 조경공사의 공종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주택단지 조경공사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5(1) : 82-99. 

  11. 손재철(2007) 표준품셈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한. 일 양국 비교.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손창구, 김귀곤, 윤근영, 강태호, 김익수(1990) 조경식재공사 표준품셈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8(3) : 23-37. 

  13. 윤근영(1990) 조경수목식재공사품의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토질을 고려한 식재품 산정개선을 위한 제안.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윤주철(2010)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변천요인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윤주철, 이관희(2011) 조경공사 표준품셈 공종 개정에 관한 연구. 한국 조경학회지 39(5) : 119-126. 

  16. 이관희, 윤주철(2009) 우리나라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시대적 변천특성. 한국조경학회지 37(1) : 131-138. 

  17. 임재홍(2002) 대형향토수목 이식에 관한 연구: 천안시 팽나무 사례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장봉진(2001) 수목이식공사의 적산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교목류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정평란(1980) 조경적산의 제도적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