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서비스 담당사서에게 요구되는 문화적 역량의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y for Multicultural Services Librarians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5 no.4, 2014년, pp.253 - 276  

이연옥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장덕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최근 한국사회에 외국인근로자, 결혼이주여성, 유학생 등 이주민의 수가 증가하면서 문헌정보학 분야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주민의 증가는 문헌정보전문직으로 하여금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주민에게 적절하며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역량을 개발할 것을 요구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시대, 사서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문화적 역량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다문화서비스 담당 사서에게 요구되는 문화적 역량이란 무엇이며, 그 구성요소는 무엇인지 등 사서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내용 체계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다문화서비스를 이행하고 있는 사서, 다문화전문가와의 인터뷰를 통해 관련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사서에게 필요한 문화적 역량은 다문화에 대한 태도, 다문화에 대한 지식, 다문화에 대한 기술이라는 3가지로 구분되었으며, 그 세부적 요소로서 다문화 태도, 다문화구성원에 대한 지식,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지식, 장서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서비스전달, 언어의 다양성, 교육 및 인력개발 부문이 제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versification of Korean society with a large influx of migrant workers, international marriages, and international students calls for an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cultural competenc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ector in order to respond effectively and appropriately to the need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시대, 사서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문화적 역량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사서에게 요구되는 문화적 역량이란 무엇이며,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하는지 등 사서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내용체계를 파악해보았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사서의 문화적 역량의 내용체계는 향후 도서관에서의 다문화서비스 기준과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사서의 문화적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데도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다문화시대 사서들에게 요구되는 새로운 역량으로서 문화적 역량에 주목하고, 다문화서비스 담당사서의 문화적 역량의 내용체계를 검토하고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 타 전문직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논의에서 언급되는 요소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다문 화서비스 경험을 가진 사서와의 인터뷰를 통해 사서에게 필요한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를 도출해 내었다.
  • 이 연구는 사서에게 요구되는 문화적 역량의 내용적 체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국내외 전문직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이들 연구가 제시한 문화적 역량의 내용과 구성요소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공통적 요소를 도출하였다.
  • 특히 2007년, 2008년 미국도서관대회에서 문화적 역량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이를 계기로 사서직의 문화적 역량의 중요성에 대한 자각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이 컨퍼런스에 참여한 패널들은 다양한 인종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고객들을 대상으로 하는 도서관서비스가 부적합하다는 문제제기를 하였으며, 그 해결책으로 사서의 문화적 역량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패널들은 문화적 역량이 사서의 서비스전달과 리더십 개발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다른 문화권과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사서의 능력이 도서관서비스 및 정보서비스를 계획하고 이행하는 데 핵심부분이라 설명하였다.
  • 연구결과, 사서들은 다문화와 관련한 지식과 기술에 관련된 역량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다문화전문가는 사서의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태도 부분의 역량을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들 의견을 종합하여 이 연구에서는 사서의 문화적 역량을 다문화와 관련한 태도, 지식, 기술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제언함으로써 사서의 문화적 역량 도출에 있어서 균형적인 시각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시대, 사서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문화적 역량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사서에게 요구되는 문화적 역량이란 무엇이며,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하는지 등 사서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내용체계를 파악해보았다.
  • 이 장에서는 사서직의 문화적 역량의 내용체계를 고찰하기 위하여 국내외 다양한 전문직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연구에서 설명하고 있는 구성요소를 비교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들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를 도출해보았다.
  • 한편, 이 연구에서는 4명의 다문화전문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사서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는 데 그쳤으나 전체 사서들을 대상으로 문화적 역량의 내용적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토대연구로서의 성격을 가진다. 이 연구를 기초로 하여 전체 사서들을 대상으로 의견 수렴작업을 하여 사서의 문화적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주민의 증가는 문헌정보전문직에게 무엇을 요구하는가? 최근 한국사회에 외국인근로자, 결혼이주여성, 유학생 등 이주민의 수가 증가하면서 문헌정보학 분야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주민의 증가는 문헌정보전문직으로 하여금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주민에게 적절하며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역량을 개발할 것을 요구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시대, 사서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문화적 역량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문화적 역량이란 무엇인가? 문화적 역량이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다문화와 관련된 인식, 태도, 가치, 지식 및 기술의 복합적 개념의 결합체라 할 수 있다. 우리보다 다문화사회를 먼저 경험한 국가에서는 문화적 역량에 대한 논의가 매우 활발한데, 주로 교사, 상담가, 사회복지사, 간호사, 의사 등 각종 대인서비스전문직 분야에서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수적 역량으로 인식되고 있다.
문헌정보 전문직의 문화적 역량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근거는 무엇인가? 이같이 ALA를 중심으로 사서직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는 한편, 문헌정보학계에서는 문화적 역량과 관련한 논문들이 생산됨으로써 이에 대한 학문적, 이론적 관심과 논의가 활발해졌다. 주로 이주민서비스에 대한 평가 및 비판과 관련된 논문들이 문화적 역량에 대한 논의를 주도했는데, 사서의 고객에 대한 문화적, 언어적 이해 부족, 다른 문화권에 대한 이해 존중 부족, 도서관이용에 문화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 부족, 타문화배경 집단과의 커뮤니케이션 미숙 등 사서의 문화적 민감성에 대한 지적이 많다(Orange, Osborne 2004; Alire 2001; Gerea, Frazo 2000; Shachaf, Snyder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김연희. 2007. 한국 사회의 다문화화와 사회복지분야의 문화적 역량. 사회복지연구, 35(3) : 117-144. (Kim, Yeun Hee. 2007. "Diversification in Korea and cultural competence in social welfar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35(3): 117-144.) 

  2. 김정효. 2011. 교사의 다문화역량의 강화방안 연구: 미술교과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6(1): 71-97. (Kim, Jeong-Hyo. 2011. "Fostering Multicultural Competence of Teachers: Centering on Visual Arts."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6(1): 71-97.) 

  3. 노지현. 2012. 한국 도서관계의 다문화 서비스 방향 모색.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5-27. (Rho, Jee-Hyun. 2012. "Toward the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in Korea: with Reference to the America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2): 5-27.) 

  4. 노충래, 김정화. 2011. 다문화복지 실무자의 문화적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사회복지학, 63(2): 207-231. (Noh, chung-nae and Kim, Jung-hwa. 2011.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Competency Scale for Human Service Worke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3(2): 207-231.) 

  5. 박명희, 김경식. 2012. 다문화교육 강좌를 통한 예비교사들의 다문화 역량 변화. 다문화교육연구, 5(1): 155-175. (Park, Myung-hee and Kim, Gyeong-sik 2012."A Study for the Multicultural Competency Changes of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Take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Already."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5(1): 155-175.) 

  6. 신성자. 2013. 다문화사회로의 진입에 따른 사회복지사들의 문화적 역량 제고방안. 사회과학담론과 정책, 6(2): 61-88. (Shin, Sung-Ja. 2013. "A Study on the Social Workers'Cultural Competence for Muti-Cultural Practice." 사회과학담론과 정책, 6(2): 61-88.) 

  7. 양수연, 차미경. 2011.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311-332. (Yang, Soo-Youn and Cha, Mikyeong. 2011. "A Study on the Model of Multicultur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1): 311-332.) 

  8. 윤갑정, 김미정. 2010. 다문화시대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0(3): 169-179. 

  9. 이경란, 한복희. 2009.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운영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 47-74. 

  10. 이병준, 2007. 다문화역량이란 무엇인가. 한국교육사상연구회 학술논문집, 37: 1-11. 

  11. 이연옥, 장덕현. 2013. 공공도서관의 이주민서비스 전략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1): 357-384. (Lee, Yeon-Ok and Chang, Durk-Hyun. 2013. "Strategies for the Services for Immigrant Population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1): 357-384.) 

  12. 이영석. 2007. 다문화시대 현장유아교육의 나아갈 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55-75. (Lee, Yeung Suk. 2007. "The Pluralism's Tasks and Prospects of Early Childhood Practice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4(1): 55-75) 

  13. 이원재 외. 2012. 보건의료서비스 인력의 국제화 역량 강화 방안 연구용역. 서울: 보건복지부. 

  14. 조용완, 이수상. 2011. 국내 다국어/다문화 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269-297. (Cho, Yong-Wan and Lee, Soo-Sang. 2011.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in Korea."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1): 269-297.) 

  15. 조용완. 2007. 이주민을 위한 국내 도서관 서비스의 현황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2): 245-269. (Cho, Yong-Wan. 2007. "Current Status of Library Services for Immigra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2): 245-269.) 

  16. 최명민 외. 2009.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복지. 서울: 학지사. 

  17. 최소연. 2010. 원조전문직을 위한 문화적 역량 척도개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5: 23-35. (Choi, So Yeon.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mpetence Measure for Helping Profession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35: 23-35.) 

  18. 최원희, 최혜지, 최연선. 2008. 다문화적 환경변화에 따른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문화적 유능감 실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6: 89-113. (Choi, Won-hui and Choi, Hye-ji and Choi, Yeon-seon. 2008. "An Explorative Study on the Cultural Competence of Social Work Pactice Setting."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26: 89-113.) 

  19. 최혜지. 2011. 다문화 실천인력의 다문화 경험과 문화적 역량에 대한 탐색적 고찰. 정신보건과사회사업, 37: 405-436. (Choi, Hye Ji. 2011. "Exploratory Study on Experience in Multiculture and Cultural Competence of Service Providers in Multicultural Settings." The Korean Academ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37: 405-436.) 

  20. 한윤옥 외. 2009. 다문화가정을 위한 도서관서비스 현황 및 문제점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135-160. (Han, Yoon-Ok et al. 2009. "A Study on the Current States and Proble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1): 135-160.) 

  21. Alire, Camila A. 2001. "The New Beginnings Program."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33(1): 21-30. 

  22. Allard, Suzie and Mehra, Bharat and Qayyum, M. Sim. 2007. "Intercultural Leadership Toolkit for Librarians: Building Awareness to Effectively Serve Diverse Multicultural Populations." Education Libraries, 30: 5-12. 

  23. Brown, M. R.. 2007. "Educating all students: creating culturally responsive teachers, classrooms, and schools." Intervention in School and Clinic. 43(1): 57-62. 

  24. Campinha-Bacote. 2002, "The Process of Cultural Competence in the Delivery Health care Services: A Model of Care." Journal of Transcultrual Nursing, 13(3): 181-184. 

  25. Cross, Terry L. et al. 1989. Towards a culturally competent system of care.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Child Development Center. 

  26. Elturk, Ghada. 2003. "Diversity and Cultural Competency." Colorado Libraries, 29: 5-7. 

  27. Epsteins and Hunder. 2002. "Defining and Assessing Professional Competenc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7(2): 226-235. 

  28. G?ere?a, Salvador and Frazo, Edward. 2000. "Latinos and Librarianship." Library Trends, 49: 138-81. 

  29. Han, Suck Sil. 2007. "Implication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Based on Multicultural Educatio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4(1): 29-53. 

  30. Lum, Doman. 2007. Culturally Competent Practice: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Diverse Groups and Justice Issues, 3rd ed. (Belmont, CA: Brooks/Cole). 

  31. Mestre, Lori S. 2010. "Librarians Working with Diverse Populations: What impact does cultural competency training have on their effort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6(6): 479-488. 

  32. Orange, Satia M. and Osborne, Robin. 2004. "From Outreach to Equity: an Introduction." American Libraries, 35(6): 46-51. 

  33. Overall, Patricia Montiel. 2009. "Cultural Competence: a Conceptual Framework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ionals." Library Quarterly, 79(2): 175-204. 

  34. Press, Nancy Ottmann and Diggs-Hobson, Mary. 2005,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to Community Members Where They Ar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ly Competent Librarian." Library Trends, 53: 397-410. 

  35. Robinson, D. T. & Morris, J. R.. 2000. "Multicultural Counseling: Historical Context and Current Training Considerations." The Western Journal of Black Studies, 24: 239-253. 

  36. Schim, S. M. et al. 2005. "Cultural Competence Among Ontario and Michigan Healthcare Provider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7(4): 354-360. 

  37. Shachaf, Pnina and Snyder, Mary.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Diversity and User Needs in Virtual Reference Service."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3(3): 36-367. 

  38. Shorter-Gooden, Kumea. 2013. "The Culturally Competent Organization." Library Quarterly, 83(3): 207-211. 

  39. Sue, Derald Wing. 2006. Multicultural Social Work Practice. New York : John Wiley & Sons, Inc.. 

  40. Trumbull, Elise and Pacheco, Naria. 2005. Leading With Diversity: Cultural Competencies for Teacher Prepar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cited 2014. 8. 30]. 

  41. Villegas, A. M & Lucas, T., 2002. "Preparing Culturally Responsive Teachers: Rethinking the Curriculum."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3(1): 20-32. 

  42. Weaver, Hilary. 2005. Explorations in Cultural competence: Journeys to the Four Directions (Belmont, CA: Thoms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