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키즈'를 위한 기존 OPAC의 한계와 과제
Limit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OPACs for Digital Kids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5 no.4, 2014년, pp.337 - 364  

노지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이 연구는 국내 도서관계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OPAC이 어린이의 보편적 특성은 물론이고 디지털 키즈(digital kids)의 정보행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유지하면서 이 연구에서는 철저히 어린이의 관점에서 현행 OPAC의 한계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디지털 키즈가 도서관에서 자료를 탐색하는 과정과 OPAC을 검색하는 과정에서 드러내 보이는 행태적 특징을 세밀하게 관찰하면서, 현행 OPAC의 한계점을 찾아내고 새로운 OPAC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초등학교 4-6학년 54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설문조사 참여자들 중에서 선정한 8명과의 심층면담, 그리고 6개 도서관에서 진행했던 어린이들의 탐색과정에 대한 참여관찰 등을 통해 수집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begins from the recognition that the Korean library OPACs have failed in reflecting the information needs of children, and especially the behavioral aspects of digital kids. Maintaining such problem recognition, this research examines the weak points and limits of Korean OPACs for dig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른과 달리 어린이가 가진 특성은? 어린이는 사회문화적 경험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발달 측면에서도 청소년이나 성인과 뚜렷이 구분되는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시기의 경험은 인생의 다른 시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만큼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우리 도서관계에서는 어린이를 위한 무슨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가? 따라서 어린이의 심리적, 인지적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험이나 지식을 확장하도록 사회적 차원에서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우리 도서관계에서 어린이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의 개발이나 어린이 전문사서의 역량 개발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그러나 자료탐색의 과정에서 어린이들이 경험하는 어려움과 그에 대한 원인이 다각도로 분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기초도구로서 어린이를 위한 OPAC의 개발에 대한 우리 학계와 도서관 현장의 관심은 여전히 저조한 편이다.
어린이들이 OPAC을 이용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국외의 경우 1990년대 초반부터 어린이의 정보행태에 대해 세밀하게 연구하고, 그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어린이에게 적합한 OPAC을 개발하는데 상당한 관심을 보여 왔다. 먼저, 어린이들은 명료한 정보요구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정보요구를 말이나 글로 표현하는데 특히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찾고자 하는 자료의 50%는 100개 정도의 간단한 토픽에 불과하다는 등 어린이의 정보행태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Külper & Schulz1997, 207). 그리고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기존의 OPAC은 어린이들의 자료탐색을 지원하는 기초도구로 인지되고 기능하기에 근본적인 결함을 안고 있다고 결론 내리고, 어린이의 요구와 인지능력, 탐색행태에 적합한 ‘새로운’ 형태의 OPAC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Hirsh 1997 ; Borgman 1996 ; Cooper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노지현. 2011. 어린이용 목록에 대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89-109. (Rho, Jee-Hyun. 2011. "Librarians' Perception of Kid's Catalog in Korea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4): 89-109.) 

  2. 변영계. 2005. 교수.학습이론의 이해. 서울: 학지사. 

  3. 사공복희. 2007.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정보탐색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3): 353-381. (Sakong, Bok-Hee. 2007. "A Study on Search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3): 353-381.) 

  4. 사공복희. 2012. 어린이도서관 온라인목록의 탐색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1): 143-171. (Sakong, Bok-Hee. 2012. "Searching Behavior of OPAC Users in Children's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1): 143-171.) 

  5. 윤정옥. 2006.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어린이용 OPAC 디스플레이의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2): 317-343. (Yoon, Cheong-Ok. 2006. "An Analysis of Children's OPAC Displays in Public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2): 317-343.) 

  6. 윤정옥. 2007. 공공도서관 어린이용 OPAC 디스플레이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3): 25-53. (Yoon, Cheong-Ok. 2007. "A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OPAC Display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3): 25-53.) 

  7. 정옥분. 2013.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Chung, Ock-Boon. 2013. Child Development. Seoul: Hakjisa.) 

  8. 정진수. 2011. 어린이 독자의 도서선택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417-437. (Chung, Jin-Soo. 2011. "Study on Children's Book Selection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1): 417-437.) 

  9. 탭스콘, 돈. 이진원 옮김. 2009. 디지털 네이티브. 서울: 비즈니스북스. (Tapscott, Don. 2009. Grown up Digital : How the Net Generation is Changing Your World. 이진원 역. 서울: 비즈니스북스.) 

  10. 植松 貞夫, 鈴木 佳苗. 2011. 아동서비스론, 東京: 樹村房. (Uematsu Sadao, Szuki Kanae. 2011. Children's Service (?童サ?ビス論). Tokyo: Kimurabang.) 

  11. Beheshti, Jamshid et. al. 2005. "Towards an Alternative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for Children." New Directions in Cognitive Information Retrieval. Dordrecht : Springer. 

  12. Bilal, D. and J. Kirby. 2002.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Information Seeking: Children and Adults as Web Users."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38(5): 649-670. 

  13. Bilal, Dania. 2009. "Meditating Differences in Children's Interaction with Digital Libraries Through Modeling Their Tasks." Proceedings of the 72nd ASIS&T Annual Meeting, Vancouver. Canada 

  14. Borgman, Christine L. 1996. "Why are Online Catalogs Still Hard to us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47(7): 493-503. 

  15. Busey, P. and T. Doerr. 1993. "Kid's Catalog: A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for Children." Youth Services in Libraries, 7(1): 77-84. 

  16. Cooper, Linda Z. 2002. "A Case Study of Information-Ieeking Behavior in 7-year-old Children in a Semistructed Situ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3(11): 904-922. 

  17. Druin, Allison. 2005. "What Children can Teach Us: Developing Digital Libraries for Children with Children." Library Quarterly, 75(1): 20-41. 

  18. Gross, M. "Imposed Queries in the School Library Media Center: Descriptive Study,"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1(4): 501-521. 

  19. Hirsh, Sandra G. 1997. "How do Children Find Information on Differnt Type of Tasks?: Children's Use of the Science Library Catalog." Library Trends, 45(4): 725-745. 

  20. Hutchinson, Hilary Browne, Benjamin B. Bederson, Allison Druin. 2006. "The evolution of the International Children's Digital Library Searching and Browsing Interface." Proceedings of the 2006 Conference on Interaction Design and Children: 105-112. 

  21. Kuhlthau, Carol Collier. 2003. Seeking Meaning: a Process Approach to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Westport, Conn.: Libraries Unlimited 

  22. Kulper, Ute and Ursula Schulz. 1997. "Bucherschatz: a Prototype of a Children's OPAC." Information Services and Use, 17(2/3): 201-214. 

  23. Martens, Marianne. 2012. "Issues of Access and Usability in Designing Digital Resources for Childre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4: 159-168. 

  24. Naun, Chew Chiat. 2010. "Next generation OPACs: a Cataloging Viewpoint."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8: 330-342. 

  25. Pejtersen, A. M. 1992. "New Model for Multimedia Interfaces to Online Public Access Catalogues." The Electronic Library, 10(6): 359-366. 

  26. Raqi, S. A. and A. N. Zainab. 2008. "Observing Strategies Used by Children When Seleting Books to Browse, Read or Borrow."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 Library Sciences, 45(4): 483-5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