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 분말을 첨가한 약과의 제조와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ckwa made with Yam (Dioscorea batatas Decne) Powder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0 no.6, 2014년, pp.56 - 68  

이정호 (군장대학교 호텔외식조리과) ,  김종성 (군장대학교 호텔외식조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 분말을 첨가한 약과를 제조한 후, 관능평가와 기호도를 종합한 결과, 마 분말을 15% 첨가한 약과에서 가장 우수하게 평가되어 마 분말을 wheat flour 함량에 대한 15%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품질과 기호성, 기능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cinnamon powder와 peanut powder, coffee powder을 첨가하여 맛, 향, 색상, 조직감을 향상시켰다. 마 분말 15% 첨가약과의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L)와 적색도(a)도 증가하였다. 황색도(b)는 마 분말 15% 첨가약과에서 저장 3일까지는 감소하였다가 저장 9일부터는 증가하였다. 경도와 점착성, 씹힙성은 마 분말 15% 첨가약과에서 우수하게 나타난 것은 마 분말 첨가로 인하여 부드러움성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유지흡수율은 무첨가 약과에서 낮게 측정되었다. 마 분말 15% 첨가약과에서 평균 산가는 1.57, 과산화물가 19.04로 측정되어 한국식품공업협회(식품공전 2004)의 산가 기준치 3.0 이하, 과산화물가 기준치 40.0이하보다 낮게 측정되어 마가 첨가된 약과는 $30^{\circ}C$ 상온에서 최소 15일까지 안전하게 유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마 분말 15% 첨가약과의 수분함량은 $12.55{\pm}0.08%$, 조회분은 $0.71{\pm}0.01%$, 조지방은 $6.11{\pm}0.06%$, 조단백질$15.97{\pm}1.40%$, 탄수화물은 $64.66{\pm}0.09%$로 분석되었다. 마 분말 약과는 인체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기능성이 추가되었고, 일반약과보다 산패의 진행이 늦으며, Puff Pastry 형태로 제조하기 때문에 식감성이 일반약과보다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Yam Yackwa (YP) was made by addition of yam power (15%) into flour. Depending on extension of storage time, lightness and redness of YP were increased. Yellowness of YP was decreasing until 3 days and increased from 9 days of storage. However, the yellowness of Yackwa without Yam powder (Non-YP)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마 분말 15% 첨가약과를 튀기기 전과 후의 크기(가로, 세로, 높이)를 Caliper로 측정하여 팽화률을 계산하였다(Cho FJ et al 2007; Hyun JS & Kim MA 2005; Kim GH et al 2013; Shin SK et al 2014; Yun GY & Kim MA 2005).
  • 마 분말 15% 첨가약과와 무첨가 약과를 incubator에 12일 동안 온도 30℃에서 저장하면서 약과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명도(L)는 마 분말 15% 첨가약과의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도 증가하였으며, 무첨가 약과는 감소하였다.
  • 마 분말 15% 첨가약과와 무첨가 약과를 incubator에서 12일 동안 온도 30℃에서 저장하면서 저장 기간에 따른 TBA가를 측정하였다. 무첨가 약과는 저장 9일(19.
  • 마 분말 15% 첨가약과와 무첨가 약과를 incubator에서 12일 동안 온도 30℃에서 저장하면서 저장 기간에 따른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였다. 무첨가 약과와 마 분말 15% 첨가약과 모두 3일째까지 과산화물가가 증가하였다.
  • 마 분말 15% 첨가약과와 무첨가 약과를 incubator에서 12일 동안 온도 30℃에서 저장하면서 저장 기간에 따른 산가를 측정하였다. 무첨가 약과는 저장 3일째까지 산가가 증가하였고, 저장 6일 이후부터는 감소하였다.
  • 마 분말 무첨가 약과와 마 분말 15% 첨가약과를 incubator에서 12일 동안 온도 30℃에서 저장하면서 저장 기간에 따른 색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Table 5).
  • 마 분말 무첨가 약과와 마 분말 15% 첨가약과를 incubator에서 12일 동안 온도 30℃에서 저장하면서 저장 기간에 따른 조직감의 변화를 측정하였다(Table 6).
  • 마 분말 약과를 제조하기 위한 마 함량은 관능 평가와 예비실험 결과를 토대로 설정하였다. 마분말의 함량은 wheat flour의 함량에 비례하여 5%, 10%, 13%, 15%, 20%, 25%를 첨가시켜 마분말 약과를 제조한 후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Table 4).
  • 마약과를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마 함량은 관능평가와 예비실험을 통하여 설정하였다. 마 함량은 Flour의 함량에 비례하여 5%, 10%, 13%, 15%, 20%, 25%를 첨가하여 마 분말 약과를 제조한 후, 관능평가와 기호도를 평가한 결과, 마 분말 15% 약과에서 우수하게 나타나, 마 분말을 15%를 첨가하여 약과를 제조하였다.
  • 마 분말 약과를 제조하기 위한 마 함량은 관능 평가와 예비실험 결과를 토대로 설정하였다. 마분말의 함량은 wheat flour의 함량에 비례하여 5%, 10%, 13%, 15%, 20%, 25%를 첨가시켜 마분말 약과를 제조한 후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Table 4).
  • 마약과를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마 함량은 관능평가와 예비실험을 통하여 설정하였다. 마 함량은 Flour의 함량에 비례하여 5%, 10%, 13%, 15%, 20%, 25%를 첨가하여 마 분말 약과를 제조한 후, 관능평가와 기호도를 평가한 결과, 마 분말 15% 약과에서 우수하게 나타나, 마 분말을 15%를 첨가하여 약과를 제조하였다.
  • 방치한 용액에 증류수 30 mL를 첨가하여 진탕한 후, 포화 KI 용액 0.5mL를 첨가한 후 0.01N-Na2SO3 용액으로 적정하여 용액이 청남색에서 무색으로 30초간 지속될 때를 종말점으로 하여 5회 반복 측정하여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였다(Hyun JS & Kim MA 2005; Yun GY & Kim MA 2005).
  • 시료 5 g을 분쇄 후 Soxhlet 장치를 이용하여 ether에 9시간 동안 침지시켜 유지를 추출한 후 ether를 완전히 휘발시켜 유지함량을 측정하였다(Kim GH et al 2013; Kim JY et al 2011; Shin SK et al 2014).
  • 저장기간에 따른 산가의 변화는 시료에서 추출한 유지 5 g을 삼각플라스크에 취하여 ether와 ethanol 혼합용액(1:1) 100 mL를 가하여 용해시킨 후 1% phenolphtalein 지시약 2∼3방울을 가한 후 0.1N-KOH・ethanol 용액으로 적정하여 용액이 미홍 색으로 30초간 지속될 때를 종말점으로 하여 5회 반복 측정하여 산가를 측정하였다(Hyun JS & Kim MA 2005; Kim JY et al 2011; Yun GY & Kim MA 2005).
  • 현대인들의 기호에 맞고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는 약과를 개발하여 우리나라의 한과산업과 식품 산업을 활성화시키고, 최근 한류로 인하여 한국에 관심이 많은 서양인들에게 우리나라의 우수한 한과를 홍보하여 수출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인체 건강에 유익한 마를 첨가한 약과를 제조하여 품질의 특성과 저장성, 팽화도, 물성, 관능검사, 색도, 산패도, 유지흡수량, 일반성분 등을 측정하였다.
  • 한과는 주로 쌀이나 밀가루를 이용하여 제조하고 있어 현대인의 웰빙 트랜드를 부합시키지 못하고 있다. 현대인들의 기호에 맞고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는 약과를 개발하여 우리나라의 한과산업과 식품산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인체 건강에 유익한 마를 첨가한 약과를 제조하여 품질의 특성과 저장성, 팽화도, 물성, 관능검사, 색도, 산패도, 유지흡수량, 일반성분 등을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2011년 11월에 제조하였으며,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Kim JS & Kwak EJ 2010; Kim JY et al 2011; Kim HA et al 2013; Lee JH et al 2005).
  • 관능평가는 20대 초반(평균 21세) 남・여 대학생 9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마 분말 약과를 3회에 걸쳐 색, 향기, 맛, 부드러움, 씹힘성, 종합 특성 등에 대해서 7점 척도법으로 매우 좋음 7점, 매우 나쁨 1점으로 평가하였다(Choi YS et al 2009; Kim HA et al 2013; Lee HS et al 2009).
  • 본 연구에 사용한 마는 2011년 10월에 전북 익산시에 소재한 익산시 서동마영농조합에서 구입하여 외부형태를 검정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마는 껍질을 제거하고, 약 0.5 cm의 두께로 썰어 건조시켜 분쇄한 후, 약 40 mesh의 체에 내려 사용하였다. 백미는 물로 3번 수세하여 55℃의 물에서 3시간 침지시킨 후 채반을 이용하여 60분간 탈수시킨 후 roll mill로 2회 분쇄하였다.
  • 본 연구에 사용한 마는 2011년 10월에 전북 익산시에 소재한 익산시 서동마영농조합에서 구입하여 외부형태를 검정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마는 껍질을 제거하고, 약 0.

데이터처리

  • 통계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2.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이론/모형

  • Texture analyzer (TA-XT Express, Stable Micro Systems, UK)를 사용하여 2회 압착실험법(twobite compression test)으로 경도(hardness), 응집성(cohesiveness), 탄력성(spinginess), 점착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을 측정하였다. 분석조건은 Pre-test speed 5.
  • 마 분말 약과에 사용된 마 분말의 수분함량 측정은 105℃ 상압가열건조법으로 105℃에서 건조시켜 측정하였다. 조단백질(Kueldahl 질소정량법), 조회분(직접회화법), 조지방(Soxhlet's 추출법)을 AOAC법으로 측정하였다(Jo SE & Choi SK 2010; Kim JS & Byun GI 2009; Kim JS & Kwak EJ 2010)
  • 조단백질(Kueldahl 질소정량법), 조회분(직접회화법), 조지방(Soxhlet's 추출법)을 AOAC법으로 측정하였다(Jo SE & Choi SK 2010; Kim JS & Byun GI 2009; Kim JS & Kwak EJ 20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란 무엇인가? 마과(Dioscoreaceae)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 식물인 마(Dioscorea japonica)는 우리나라의 산지에 자생한다. 마는 덩이뿌리의 모양에 따라 참마(Dioscorea japonica), 장마(Dioscorea batatas), 단마(Dioscorea amiadomio) 등으로 나눈다.
마의 함유성분은? 마는 구황식품(emergency food)으로 폐(肺)와 비장(脾臟) 을 좋게 하여 자양(滋養), 강장(强壯), 지사(止瀉), 지갈(止渴), 정장(整腸), 진해(鎭咳), 거담(祛痰), 이뇨(利尿), 해독(解毒), 성호르몬 생성 등에 효과가 있다(Ahn JW & Yoon JY 2008; Lee HS et al 2009; Jang JR et al 2010). 함유성분은 amylose, cholin, saponin, mucin, tannin, allantoin, chellidonic acid, sitostrol, araginine, yonogenin, kryptogenin, diosgenin 등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마에 함유된 끈끈한 점액질은 mucin으로 면역기능 강화, 신경통, 류머티즘 개선, 뇌기능 활성화 등에 효과가 있다.
마의 종류에는 어떤 게 있는가? 마과(Dioscoreaceae)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 식물인 마(Dioscorea japonica)는 우리나라의 산지에 자생한다. 마는 덩이뿌리의 모양에 따라 참마(Dioscorea japonica), 장마(Dioscorea batatas), 단마(Dioscorea amiadomio) 등으로 나눈다. 마는 구황식품(emergency food)으로 폐(肺)와 비장(脾臟) 을 좋게 하여 자양(滋養), 강장(强壯), 지사(止瀉), 지갈(止渴), 정장(整腸), 진해(鎭咳), 거담(祛痰), 이뇨(利尿), 해독(解毒), 성호르몬 생성 등에 효과가 있다(Ahn JW & Yoon JY 2008; Lee HS et al 2009; Jang JR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JW, Yoon JY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added with Dioscorea japonica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0(5):528-533. 

  2. Cha KO, Song YS (2006). Effect of the cellulose on Yackwa quality. Korean J. Human Ecology 9(4):67-73. 

  3. Cho EJ, Yang MO, Kang HJ (2007).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Yackwa with added rice wine cak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1):94-102. 

  4. Cho KO, Kim H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added Yam (Dioscorea japonica)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5 (6):801-809. 

  5. Choi WS (2012). Development of functional beverage using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7(2):20-22. 

  6. Choi YS, Jegal SA, Jhee OH (2009).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dditions of Dioscorea japonica flour. Korean J Culinary Res 15(4):28-36. 

  7. Hyun JS, Kim MA (2005). The effect of addition of level of red ginseng powder on Yackwa quality and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ulture 20(3):352-359. 

  8. Jang JR, Hwang SY, Lim SY (2010). Effects of extracts from dried yam on antioxidant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 lines. J Life Science 20(9):1365-1372. 

  9. Jo SE, Choi SK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Disik with Yam(Dioscorea japonica Thumb)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6 (2):308-321. 

  10. Kim HA, Yang JS, Kim YS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ked Yackwa made with various amounts of Goami powder and wheat flour. Korean J. Culinary Res 19(1):179-188. 

  11. Kim JS, Byun GI (2009). Making fish paste with Yam(Dioscorea japonica Thumb) powder and its characteristics. Korean J Culinary Res 15(2):57-69. 

  12. Kim JS, Kwak E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containing Yam(Dioscorea japonica Thumb)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5(3):342-349. 

  13. Kim JY, Shin DE, Jang KH, Kang WW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ckwa added with vegetable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7 (1):218-225. 

  14. Lee HS, Kwon KH, Kim BS, Kim JH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stant Nuroong-gi to which Dioscorea japonica powder was added, Korean J Food Preservation 16(5):680-685. 

  15. Lee JA, Park G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made with Yam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6):884-890. 

  16. Lee JH, Seo HS, Lee SY, Kim HS, Hwang IK (2005). Soaking proper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ite gruel with different blending time of high-dietary fiber RIce Goami 2. Korean J Food Cookery Sci 21(6):927-935. 

  17. Lee KA (2006). Effect of black rice flour replacement on physiochemical,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Yackwa. Korean J Human Eco 15(4): 669-674. 

  18. Lee KS, Kim GH, Seong BJ, Kim SI, Han SH, Lee SS, Song MR, Lee G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gwa added with ginseng fruit, leaf and roo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2):1981-1987. 

  19. Oh YK, Kim CS (2002).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ough rheology and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5):749-753. 

  20. Shin SK, Kim HJ, Kim MR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ckwa added with Mulberry concentrat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1):136-142. 

  21. Yun GY, Kim MA (2005). The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Yackwa quality and preservation. Korean J Food Culture 20(1):103-1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