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디 농축액이 약과의 저장 중 지질산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lberry concentrate on lipid oxidation of Yackwa during its sto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1 no.4, 2014년, pp.483 - 490  

신숙경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현정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오디 농축액을 우리나라 전통한과인 약과에 첨가하여 약과의 저장 중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약과의 수분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오디 농축액 3% 첨가 약과가 높은 수분함량을 나타내었다. 저장 기간별 약과의 수분함량은 모든 군에서 2주 동안 급격한 수분함량의 감소를 나타내었고, 2주와 3주의 수분함량 변화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오디 농축액을 첨가한 약과의 색도는 0주차의 오디 약과에서는 명도(L)는 대조군에 비해 오디 농축액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적색도(a)는 대조군 5.88, 오디 농축액 3% 첨가군은 6.69로 오디 농축액을 첨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황색도(b)는 18.32~11.51로 오디 농축액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명도(L)는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대조군이 58.56에서 46.45로, 오디 농축액 3% 첨가군은 43.82에서 35.92로 낮아졌고, 적색도(a)와 황색도(b) 모두 3주가 경과하면서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지질산패정도를 알아보는 실험중 산가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p<0.05) 3주차 오디 농축액을 첨가한 약과는 1.65~1.91의 산가를 나타내었고, 대조군은 1.97로 오디 농축액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산가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과산화물가는 0주차에는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다가 3주차에는 대조군 63.80 meq/kg, 오디 농축액 1% 첨가군 58.46 meq/kg, 2% 첨가군 55.00 meq/kg, 3% 첨가군 52.54 meq/kg로 대조군의 과산화물가가 오디 농축액 첨가군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0주차 TBA가는 11.25~13.11로 오디 농축액을 첨가할수록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3주가 경과한 후 TBA측정 결과 대조군이 가장 높은 TBA가를 나타내었으며 오디 농축액 3% 첨가군이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오디 농축액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저장 기간 동안 모든 군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감소하였으나 오디 농축액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은 $IC_{50}$값을 유지하였다. 실험의 결과들로부터 오디 농축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성이 높아지고, 지질산패를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항산화성의 증가로 인해 오디 농축액을 넣은 약과가 넣지 않은 약과보다 지질산패가 억제되는 것으로 사료되며, 약과 제조시 오디 농축액을 첨가하면 저장성이 증대된 약과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and to inhibit the lipid oxidation of Yackwa with 0, 1, 2, or 3% mulberry concentrate added. We stored Yackwa at $60^{\circ}C$ for three weeks. After the three-week storage, the acid value of the Yackwa with mulberry concentrate was lower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오디 농축액을 우리나라 전통한과인 약과에 첨가하여 약과의 저장 중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약과의 수분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오디 농축액 3% 첨가 약과가 높은 수분함량을 나타내었다.
  • 그 예로 허브를 첨가한 약과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 연구(17), 홍삼분말이 첨가된 약과의 품질과 저장성에 관한 연구(18), γ-oryzanol 첨가가 저장 중 약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19) 등에 관한 논문이 발표가 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항당뇨, 항고지혈증(3-5)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지닌 오디의 농축액을 첨가하여 약과를 제조하고, 약과 저장 중 품질변화를 저장기간 별로 측정하여 오디 농축액이 약과의 저장 중 품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디란 무엇인가? 오디(Morus alba L)는 뽕나무과(Moraceae)의 뽕나무속 (Morus)에 속하는 교목성 낙엽수인 뽕나무의 열매로써 온대에서 아열대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하며 분포밀도가 가장 높은 곳은 동아시아의 한국, 중국대륙 및 일본열도이다(1). 완숙 오디는 당도가 높고 식감이 좋으며, 일반 과실보다 다량의 플라보노이드계 색소인 안토시아닌을 함유하고 있어(2) 식품에 첨가시 색이 우수할 뿐 아니라, 항산화(3)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오디 농축액을 우리나라 전통한과인 약과에 첨가하여 저장 중 품질 특성을 관찰한 결과, 저장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가의 변화는? 92로 낮아졌고, 적색도(a)와 황색도(b) 모두 3주가 경과하면서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지질산패정도를 알아보는 실험중 산가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p<0.05) 3주차 오디 농축액을 첨가한 약과는 1.65~1.91의 산가를 나타내었고, 대조군은 1.97로 오디 농축액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산가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과산화물가는 0주차에는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다가 3주차에는 대조군 63.
약과의 제조 방법은? 약과는 밀가루에 참기름을 넣어 비빈 후 꿀과 참기름을 넣어 반죽하고 모양을 내어 기름에 튀겨내 꿀에 집청한 것을 말한다(10). 고려시대에는 귀족들 사이에서 약과가 성행하여 곡물, 꿀, 기름 등을 많이 사용함으로 물가가 오르고 민생이 어려워져 유밀과의 사용을 금지하였다는 기록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을 정도로 유행하였으나(11), 근래 들어서는 외래문화의 유입으로 생활양식과 식습관이 변화되는 등의 요인으로 인해 소비량이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Ju MJ, Kwon JH, Kim HK (2009)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ulberry leaf and fruit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16, 442-448 

  2. Jung GT, Ju IO, Choi DG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e of mulberry wine. Korean J Food Preserv, 12, 90-94 

  3. Kim HJ, Cha JY, Choi ML, Cho YS (2000) Antioxidative activities by water-souble of morus alba and cudracia tricuspidata.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148-152 

  4. Kim SY, Park KJ, Lee WC (1998) Anti 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Morus spp. fruit extract. Korean J Seri Sci, 38, 100-107 

  5. Kim HB, Kim SY, Ryu KS, Lee WC, Moon JY (2001)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mulberry fruit on the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cholesterol-induced hyperlipidemia rats. Korean J Seri Sci, 43, 104-108 

  6. Lee MA, Byun GI (2013) A study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ozen mulberry fruit and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agel with different drying conditions of mulberry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9, 40-51 

  7. Yoo SS, Jeong HC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with added mulberry fruit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239-245 

  8. Kim HD, Yim SB, Oh HL, Jeon HL, Kim CR, Kim NY, Hong YP, Lee JH, Kim MR (2012)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of schisandra chinensis baillon salad dressing prepared with yam concentrate and mulberry.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531-540 

  9. Moon HK, Lee SW, Moon JN, Yoon SJ, Lee S, Kim GY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mulberry concentrate.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797-804 

  10. Park KM (1997) Studies on the lipid rancidity and rheology of Yackwa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Sci, 13, 609-616 

  11. Lee HJ (2007) Korean food culture. Shingwang Publishing Co, Seoul, Korea, p 306 

  12. Kim HA, Yang JS, Kim YS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ked Yackwa made with various amounts of goami powder and wheat flour, Korean J Culinary Res, 19, 179-188 

  13. Kim CH, Yun MH (1999) Effect of microwave preheating and hydrogenated frying fats on the storage stability of Yackwa. Korean J Soc Food Sci, 15, 264-271 

  14. Addis PB (1986) Occurrence of lipid oxidation products in foods. Food Chem, 24, 1021-1028 

  15. Choe SY, Yang KH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HT and BHA.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283-288 

  16. Rho KL, Seob PA, Chung OK, Chung DS (1986) Retardation of rancidity in deep-fried instant noodles. J Am Oil Chem Soc, 63, 251-258 

  17. Gwon SY, Moon BK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akgwa prepared with herb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899-907 

  18. Hyun JS, Kim MA (2005) The effect of addition of level of red ginseng powder on Yackwa quality and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ulture, 20, 352-359 

  19. Woo JM, Yang CB, Lee JH, An YS, Lee HG (2005) Effects of ${\gamma}$ -Oryzanol addition on the quality of Yackwa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397-404 

  20. Lee JH, Park KM (1995) Effect of ginger and soaking on lipid oxidation in Yackwa. Korean J Soc Food Sci, 11, 93-97 

  21. Kim YH (2003) Screening of antioxidant activity in dansam (salvia miltiorrhiza) and additional effect on the shelf-life and the characteristics of yakgwa.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463-469 

  22. Kim KH, Kim SJ, Yoon MH, Byun MW, Jang SA, Yook HS (2011) Change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with mugwort powder during the storage peri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335-342 

  23. Sidwell CG, Salwin H (1954) Determination of thiobarbituric acid value. J Am Oil Chem Soc, 31, 603-609 

  24. Park JH, Baek OH (2012)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icrobiological of simple preprocessed foods vege-ball with guave leaf powder for soup during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585-592 

  25. Park JN, Kwcon SY, Kim JG, Park JG, Han IJ, Song BS, Kim JH, Byun MW, Lee JW (2008)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Korean fried rice cake). Korean J Food Preserv, 15, 37-42 

  26. Ji JL, Jeong HC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with added Rubus coreanus Miquel concentrat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 341-348 

  27. Kim EK, Chang YH, Ko JY, Jeong YH (2013)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mulberry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682-1689 

  28. Han YS, Yoon JY, Lee SR (1991) Effect of palm oil blending on the thermal and oxidative stability of soybean oil. Korean J Food Sci, 23, 465-470 

  29. Kim J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ea with mulberry fruit. Korean J Culinary Research, 18, 206-215 

  30. Kim HB, Kim SL, Moon JY (2002) Quantification and varietal variation of anthocyanin pigment in mulberry fruits. Korean J Breed, 34, 207-211 

  31. Yun GY, Kim MA (2005) The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yackwa quality and preservation. Korean J Food Culture, 20, 103-112 

  32. Park BH, Yang HH, Cho H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Yukwa prepared with Lycii fructus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745-751 

  33. Jeon HL, Hong YP, Lee JH, Kim HD, Kim MR (2012)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concentrate, freeze-dried mulberry, and poma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402-1408 

  34. Joo MJ, Kwon JH, Kim HK (2009)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ulberry leaf and frui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16, 442-448 

  35. Gwon SY, Moon BK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akgwa prepared with herb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899-907 

  36. Lee EJ, Bae JH (2011) Study on the alleviation of an alcohol induced hangover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by mulberry fruit. Korean J Food Nutr, 24, 204-209 

  37. Park HM, Yang SJ, Kang EJ, Lee DH, Kim DI, Hong J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ranule manufacture of mulberry and blueberry fruit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375 - 382 

  38. Kim AJ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eng prepar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mulberry fruit syrup.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62-67 

  39. Cha WS, Shin HR, Park JH, Park JH, Oh SL, Lee Y, Chun SS, Choo JW, Cho YJ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 compounds from mulberry fruits. Korean J Food Preserv, 11, 383-3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