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곡류로 제조한 파베이크 모닝빵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r-Baked Morning Buns made with Cereals Powder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0 no.6, 2014년, pp.102 - 114  

김현아 (연성대학교 호텔조리과) ,  송청락 (한림성심대학교 관광외식조리과) ,  김용식 (연성대학교 호텔조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쌀의 소비를 촉진하고자 섬유소가 풍부한 곡류(현미, 보리, 귀리, 고아미 2호)로 파베이크 모닝빵을 제조하여 밀가루 모닝빵과 품질 특성을 측정하였다. 반죽의 발효율을 75분간 측정한 결과, 밀가루로 만든 반죽이 가장 컸고, 빵의 부피도 밀가루로 만든 모닝빵이 유의적으로 가장 컸다. 무게는 귀리와 고아미 가루로 만든 빵의 무게가 가장 무거웠고, 비용적은 고아미로 만든 빵이 가장 높았으며, 오븐 스프링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다. 텍스처의 경도 측정 결과, 고아미로 제조한 모닝빵과 밀가루빵의 경도가 비슷하였으며, 색 측정 결과 명도는 밀가루로 만든 빵이 가장 밝았고, 그 다음이 고아미 모닝빵이었다. 영상 측정 결과, 빵의 껍질의 두께는 보리와 고아미로 만든 빵이 유의적으로 얇았고, 기공의 조밀도는 모든 곡류빵이 대조군에 비해 조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밀가루로 만든 빵이 가장 선호되었고, 곡류로 제조한 빵 중에서는 고아미로 만든 것이 가장 선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the consumption of rice by substitution in the process of making par-baked morning buns made with cereal powder in dietary fiber (Brown rice, Barley, Oat, goami 2) and strong flour. Strong flour had the highest fermentation rate for 75 min fermentation peri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인들이 선호하는 신선한 빵의 제조를 위해 천연 섬유소가 풍부한 곡류인 귀리, 보리, 현미, 고아미 2호로 식사대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par-baked 모닝빵을 만들어 품질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곡분 자체의 식이섬유소로 인하여 hydrocolloid류의 인공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면 매우 경제적이고 다양한 빵의 제조가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 본 연구는 쌀의 소비를 촉진하고자 섬유소가 풍부한 곡류(현미, 보리, 귀리, 고아미 2호)로 파베이크 모닝빵을 제조하여 밀가루 모닝빵과 품질 특성을 측정하였다. 반죽의 발효율을 75분간 측정한 결과, 밀가루로 만든 반죽이 가장 컸고, 빵의 부피도 밀가루로 만든 모닝빵이 유의적으로 가장컸다.
  • 본 연구에서는 현대인들 선호하는 신선한 빵의 제조를 위해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각종 성인병에 도움이 되는 곡류인 귀리, 보리, 현미, 고아미 2호로 식사 대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par-baked 모닝빵을 만들어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arbaked 냉동반죽의 장점은? 현재 소비자의 제빵에 대한 소비 성향은 매장에서 직접 구워주는 빵을 더 선호하여 매장에서 소비자들의 주문에 따라 쉽게 제품생산이 가능한 냉동반죽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인데(Lee YC et al 1999; Yun Y et al 2006; Park BJ et al 2007), 냉동 반죽은 신선한 빵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Xu A et al 1992), 계획 생산이 가능하여 그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Autio K & Sinda E 1992). 다양한 냉동반죽 방법 중의 하나인 parbaked 냉동반죽은 주로 부피가 작은 빵인 하드롤, 모닝빵, 햄버거빵 등을 많이 생산하며, 단시간 내에 손쉽게 균일한 최종 제품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보고되어지고 있다(Vulicevic IR et al 2004; Barcenas ME & Rosell CM 2006).
빵류가 여러 곡분 가공식품 중에서 밥에 버금갈 정도의 소비가 이루어지는 이유는? 식생활이 향상되어 소비자들의 기호성이 다양해지고 고급화되면서, 빵류는 조직감이 부드럽고 섭취가 편하여 여러 곡분 가공식품 중에서 밥에 버금갈 정도의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소비자의 제빵에 대한 소비 성향은 매장에서 직접 구워주는 빵을 더 선호하여 매장에서 소비자들의 주문에 따라 쉽게 제품생산이 가능한 냉동반죽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인데(Lee YC et al 1999; Yun Y et al 2006; Park BJ et al 2007), 냉동 반죽은 신선한 빵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Xu A et al 1992), 계획 생산이 가능하여 그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Autio K & Sinda E 1992).
냉동반죽으로 구운 빵을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가? 냉동반죽으로 구운 빵은 냉동 저장 및 해동 중 사멸된 이스트에서 용출되는 glutathione에 의해 글루텐이 약화되어, 제품의 부피 감소, 껍질 표면의 수포 형성 및 발효 부족 및 수분 보유량에 대한 문제로 인해 저장 시간이 길어질수록 노화 현상및 빵의 경도가 높아진다(Gyeong JH & Lee MG 2003; Barcenas ME & Rosell CM 2006).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첨가제를 사용하거나(Barcenas ME et al 2004), 약간의 변형된 공정 과정이 연구되어져 오고 있는데(Pyler EJ 1988; Mirostaw F & Surowka K 2005), 첨가제는 주로 비타민 C 등의 항산화제, DATEM(Diacetyltartaric Acid Ester of Mono- and Diglycerides) 등의 유화제 및 식이섬유인 hydrocolloid 등이며 (Sharadanant R & Khan K 2003), 밀가루 냉동 반죽의 제조 시 반드시 첨가해야 하는 재료로 알려져 있고, 그 사용량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들 첨가제 중 gum류, carboxymethyl cellulose(CMC),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HPMC) 등의 hydrocolloid류의 식이섬유는 반죽의 물성 및 수화 능력에 관여하며, 냉동반죽의 냉․해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 이동 현상을 억제하여 얼음 결정 형태를 감소시켜 냉동반죽의 저장수명을 연장 하여 빵의 부피감소도 완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지고 있고(Dubois DK & Blochcolsky D 1986), 또한 냉동반죽의 수분 보유력 및 볼륨 개선, 냉동 저장 중의 노화지연 및 조직(texture)의 부드러움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어지고 있다(Barcenas ME et al 2004; Guarda A et al 2004; Ribotta PD et al 2004; Gujral HS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utio K, Sinda E (1992). Frozen doughs : Rheological changes and yeast viability. Cereal Chem 69(4):409-413. 

  2. Barcenas ME, Benedito C, Rosell CM (2004). Use of hydrocolloids as bread improvers in interrupted baking process with frozen storage. Food Hydrocolloids 18(5): 769-774. 

  3. Barcenas ME, Rosell CM (2006) Effect of frozen storage time on the bread crumb and aging of par-baked bread. Food Chemistry 95(3):438-445 

  4. Barcenas ME, Rosell CM (2007) Different approaches for increasing the self life of partially baked bread : Low temperatures and hydrcolloid addition. Food Chemistry 100(4):1594-1601. 

  5. Choi ID (2010) Substitution of rice flour on bread-making properties. Korean J Food Preserv 17(5):667-673. 

  6. Chun AR, Song J, Hong HA, Son JR (2005) Improvement of cooking properties by milling and blending in rice cultivar Goami2. Korean J. Crop Sci 50(5):88-93. 

  7. Dubois DK, Blockolsky D (1986) Frozen bread dough: Effect of dough mixing and thawing methods. Am Inst Baking Technol Bull 8(6):1-7. 

  8. Elmehdi HM, Page, JH, Scanlon MG (2007) Evaluating dough density changes during fermentation by different techniques. Cereal Chem 84(3):250-252. 

  9. Guarda A, Rosell CM, Benedito C, Galotto MJ (2004) Different hydrocolloids as bread improvers and antistaling agents. Food Hydrocolloids 18(2):241-247. 

  10. Gujral HS, Haros M, Rosell CM (2004) Improving the texture and delaying staling in rice flour chapatti with hydrocolloids and amylase. Journal of Food Engineering 65(1):89-94. 

  11. Gyeong JH, Lee MG (2003) Treads in technology of bakery. Food Sci. Ind 36(4):13-17. 

  12. Ju HW, An HR, Lee G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black garlic power.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6(4):260-273. 

  13. Karaoglu MM (2006) Effect of initial baking and storage time on pasting properties and aging of par-baked and rebaked rye bread.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Properties 9(3):583-596. 

  14. Karaoglu MM, Kotancilar HG (2006) Effect of partial baking, storage and rebaking process on the quality of white pan bread.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1 (2):108-114. 

  15. Kim BR, Choi YS, Lee SY (2000) Rheological properties of buckwheat-Wheat flour mix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3):369-374. 

  16. Kim HA, Lee KH (2011)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in different particle size made with goami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4):553-562. 

  17. Kim HA, Lee KS (2012)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orning buns made from different particle sizes of Goami powder.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7(5):218-230. 

  18. Kim KE, Lee YT (2009) Effect of additives in making frozen rice dough on the quality of rice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0):1438-1443. 

  19. Kim YI, Kum JS, Lee SH, Lee HY (1995). Retrogradation charcteristics of jeungpyun by different milling method of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27(6):834-838. 

  20. Lee MH, Lee YT (2006) Bread-making properties of rice flours produced by dry, wet and semi-wet mill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7):886-890. 

  21. Lee YC, Shin KA, Moon YI, Kim SD, Han YN (1999)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added with powder of Opuntia flcus-indica. Korean J. Food Sci. Technol 31(6):1604-1612. 

  22. Mirostaw F, Surowka K (2005) Effect of prebaking and frozen storage on the sensory quality and instrumental texture of bread. Journal of Food and Agriculture 82(11):1268-1275. 

  23. Nishita KD, Roberts RL, Bean MM. (1976) Development of yeast-leavened rice-bread formula. Cereal Chem 53(5):626-635. 

  24. Ribotta PD, Perez GT, Leon AE, Anon MC (2004) Effect of emulsion and guar gum on micro structural rheological and baking performance of frozen bread dough. Food Hydrocolloids 18 (2):305-313. 

  25. Park BJ, Sihn EH, Kim SM Park CS (2007) Influence of emulsifiers and ${\alpha}$ -amylases on the quality of frozen dough. Korean J Food Sci Technol 38(1):59-67. 

  26. Park CS, Baik BK (2007) Influences of baking and thawing conditions on quality of par-baked French bread. Cereal Chem 84(1):38-43. 

  27. Pomeranz Y, Shorgren MD, Finney KF, Bechtel DB (1977) Fiber in breadmaking-effects on functional properties. Cereal Chem 54(1):25-41. 

  28. Pyler EJ (1988) Baking Science & Technology, volume II. pp810-811. Sosland Publishing Co., Pub. Kansa, USA. 

  29. Sharadanant R, Khan K (2003) Effect of hydrophilic gums on frozen dough. I. Dough quality. Cereal Chem 80(6):764-772. 

  30. Vulicevic IR, Abdel-Aal M, Mittal GS, Lu X (2004) Quality and storage life of par-baked frozen bread. Lebensmittel-Wissenschaft und-Technologic 37(2):205-213. 

  31. Yun Y, Kim YH, Kim SY, Eun JB (2006) Effects of milk protein and gums on the dough characteristics and staling of bread made from frozen dough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1):42-4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