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도가 다른 고아미 가루로 만든 모닝빵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orning Buns Made from Different Particle Sizes of Goami Powder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17 no.5, 2011년, pp.218 - 230  

김현아 (경희대학교 외식경영학과) ,  이광석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식이섬유가 풍부한 고아미 소비를 증가하고자 밀가루 대신 고아미 쌀가루로 모닝빵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고아미 가루의 입도는 5분, 10분, 15분, 20분 분쇄기에 갈아 달리하였으며, 밀가루반죽과 같은 경도를 찾기 위해 물의 양을 달리하여 고아미 반죽의 경도를 측정한 결과 최적의 물의 양은 119 mL~218 mL 이었다. GB4는 60분경과 발효율이 가장 좋았으며, 모닝빵의 부피는 밀가루 모닝빵이 가장 컸고, 경도는 밀가루 모닝빵과 GB4가 비슷하였으며, 명도는 밀가루빵이 가장 밝았다. 관능검사결과 밀가루빵이 가장 선호되었고, 고아미 모닝빵 중에서는 15분 분쇄한 가루로 만든 GB3와 GB4가 선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rice rich in dietary fiber, Goami, substituted for flour in making morning buns. Goami powder was prepared in different particle sizes by grinding 5 min. 10 min. 15 min. 20 min. To determine the optimal water quantity of Goami powder doug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이섬유 섭취량이 적은 현대인들과 섬유소 식이를 실천해야하는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고,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개발된 고아미 쌀의 활용도를 높여 소비를 촉진하고자 고아미가루의 입도를 달리하여 모닝빵을 만들어 품질 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고아미 가루의 입도 분포에 따른 모닝빵의 반죽과 부피를 비교하여 모닝빵 제조 조건을 검토 하였고, 모닝빵의 부피, 비용적, 오븐스프링, 텍스처, 수분함량, 색, 영상 분석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아침 식사 대용으로 가능한 식이섬유가 풍부한 모닝빵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각종 성인병과 식이섬유 섭취가 적은 현대인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식이섬유가 풍부한 고아미로 만든 모닝빵의 품질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식이섬유가 첨가된 제빵의 연구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따라서 식이섬유 함량이 높은 고아미 2호를 식사대용이 가능한 제빵에 이용할 경우 섬유소 식이를 실천해야 하는 비만, 당뇨 등의 환자들뿐만 아니라 식이섬유 섭취량이 적은 현대인들에게, 현재 시판중인 인공식이섬유(P사)를 첨가여 만든 빵과는 다르게 천연식이섬유가 풍부한 빵의 공급과 소비자의 선호도와 건강을 고려한 제품의 개발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Lim HC 2010). 현재 식이섬유가 첨가된 제빵의 연구로는 밀기울첨가 빵(Lee YT 2003), 동백유박을 이용한 고식이섬유빵(Kang SK 등 1998), 보리를 첨가한 빵(Cho MK 1995), 비지와 막걸리박을 이용한 고식이섬유빵(Cho MK․Lee WJ1996) 결명자 식이섬유첨가 쌀식빵(Ha TY 등 2003) 등이 있지만 밀가루에 식이섬유소가 풍부한 곡분을 대체한 것으로 식이섬유가 풍부한 쌀만으로 빵을 제조하여 연구된 논문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고아미란 무엇인가? 07g/1,000 kcal)에 비해 절대 섭취량은 높았으나 에너지기준 섭취량은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Lee HJ 등 2006), 전체 국민의 1인당 쌀 섭취량이 10여년 사이 21% 상당 급감하여 쌀에서 얻는 식이섬유의 섭취량은 많다고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쌀소비는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농촌 진흥일보 2009). 따라서 쌀소비를 촉진시키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 기능성쌀이 개발되었는데 그 중 고아미는 일반쌀에 비해 식이섬유 함량이 2배 가량 높게 개발된 쌀로(8.7 g/100 g), 고아미 2호로 조리한 밥을 섭취하였을 때 일반쌀 섭취에 비하여 체중감소 효과가 크며 체내 중성지방의 감소에도 기여한다고(Lee C․Shin JS2002)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