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곡류 누룩으로 제조한 탁주, 약주, 증류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Yakju, Spirit made by Cereal Nuruks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1 no.1, 2015년, pp.267 - 280  

정재홍 (신안산대학교 호텔조리과) ,  최희숙 (신안산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  이윤희 (한국양조연구소) ,  김재민 ((주)충무발효) ,  이정훈 (신안산대학교 호텔조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국, 분국, 맥국 누룩으로 각각 탁주, 약주, 증류주를 제조하여 이들의 품질특성 평가를 위하여 발효 시 pH, 당도, 효모 생균수, 알코올 농도 등을 분석하였고, GC를 이용하여 향기성분, LC를 이용하여 유기산을 분석하였으며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pH는 낮아졌으나, 당도는 높아졌고 누룩의 종류에 따라 값에 차이가 있었다. 알코올 농도는 발효 12일째까지 증가 하였으나, 이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효모 생균수는 발효 5일째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나, 이후에는 감소하기 시작하여 발효 13일째에 주류 간에 차이가 없었다. 향기성분 중 acetone과 n-amyl alcohol은 모든 주류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fusel oil은 맥국에서 494.65 mg/L, 분국에서 525.4 mg/L가 검출되었다. 유기산 중에는 lactic acid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관능검사에서 탁주는 조국과 분국에서, 약주는 맥국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증류주는 조국, 분국, 맥국 모두에서 유사한 점수를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Yakju, Spirit made by various cereal Nuruks which were made by Jokuk(whole wheat), Bunkuk(wheat flour), Maekkuk(whole barley). pH, Brix, cell number of yeast, alcohol content, flavors, organic acid, and sensory evaluation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주류 생산업체에서 활용성이 높은 조국, 분국, 맥국으로 제조한 곡류누룩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풍미를 갖는 전통주인 탁주와 약주를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주류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약주와 탁주가 기존의 제품과 맛과 향이 다르다는 평가를 받아, 다양한 맛의 약주와 탁주 생산이 가능해짐을 시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누룩제조 시, 지방 고유의 술을 빚을 수 있는 조건 차이는? 누룩 제조에 미생물을 인위적으로 접종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미생물상에 의하여 전분을 당화하여 효모의 기질로 제공되어 술을 빚는 전통적인 방법이 주를 이루어 오고 있다. 누룩제조 시 지역적, 환경적 조건에 따라 온도, 습도, 미생물상 등이 달라 지방 고유의 술을 빚을 수 있다. 누룩의 종류에 따라 생육하는 미생물이나 미생물이 생산하는 효소활성, 알코올 발효력, 유기산 생산력 등이 상이하여 주류의 맛, 향기, 색 등 품질에 차이가 난다(Lee TS & Choi JY 2005).
약주, 조국, 분국, 맥국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는 유기산의 종류는? 검출된 유기산 중 lactic acid가 세 종류의 술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어 젖산발효가 활발하게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약주의 경우, citric acid, malic acid, acetic acid는 분국, tartaric acid, succinic acid, lactic acid 등은 맥국, pyroglutamic acid는 조국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재래누룩에 생육하는 균 종류는? 누룩의 종류에 따라 생육하는 미생물이나 미생물이 생산하는 효소활성, 알코올 발효력, 유기산 생산력 등이 상이하여 주류의 맛, 향기, 색 등 품질에 차이가 난다(Lee TS & Choi JY 2005). 재래누룩에는 Aspergillus oryzae, Rhizopus tritici, Mona- scus purpureus, Saccharomyces, Torula, Lactic acid bacteria, 고초균 등의 미생물이 생육하고, 이중 Aspergillus와 Mucor 속의 곰팡이가 주종을 이루고, 시판누룩에는 Aspergillus oryze, Aspergillus niger, Mut kawachii, Rhizopus 속, Mucor속, Sa- ccharomyces cerevisiae, 젖산균, 고초균 등이 생육 하나, Aspergillus oryzae가 주종을 이룬다(Lee TS & Han EH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ek CH, Choi JH, Choi HS, Jeong ST, Kim JH, Jeong YJ, Yeo S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Makgeolli produced under differing condition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1(2):168-175. 

  2. Chen X, Nielsen KF, Borodina I, Kielland-Brandt MC, Karhumaa K (2011). Increased isobutanol production in Saccharomyces cerevisiae by overexpression of genes in valine metabolism. Biotechnol Biofuels 4:21-33. 

  3. Chen Y, Hwang JA, Chang Y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added with red bean. Korean J Food Cookery Sci 29(6):777-784. 

  4. Dickinson JR, Lanterman MM, Danner DJ, Pearson BM, Sanz P, Harrison SJ, Hewlins MJE (1997). A 13C nuclear magnetic resonance investigation of the metabolism of leucine to isoamyl alcohol in Saccharomyces cerevisiae. J Biolog Chem 272(43):26871-26878. 

  5. Jeong ST, Kwak HJ, Kim SM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biogenic amine production of Makgeolli brewed with commercial Nuruks. Korean J Food Technol 45(6):727-734. 

  6. Kang MY, Park YS, Mok CK, Chang HG (1998). Improvement of shelf-life of Yakju by membrane filt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0(5):11345-1139. 

  7. Kim CJ, Kim KC, Kim DY, Oh MJ, Lee SK, Lee SO, Chung ST, Chung JH (1990). Fermentation Technology. Sunjinmunwhasa, Seoul, 79-103. 

  8. Kim DR, Seo BM, Noh MH, Kim YW (2003). Comparison of temperature effects on brewing of Makgeolli using uncooked germinated black rice. Korean Soc Biotech Bioengin J 27:251-256. 

  9. Lee JH, Kim GW, Shim JY (2014).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sul-dut by pre-treatment of rice and koji. Food Eng Prog 18(1):50-59. 

  10. Lee JS, Lee TS, Park SO, Noh BS (1996).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2):316-323. 

  11. Lee JW, Shim JY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during freezing storage. Food Engin Prog 14(4):328-334. 

  12. Lee MK, Lee SW, Yoon TH (1994). The bibliographical study on Nuruk.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4(1):19-29. 

  13. Lee SB, Ko GH, Yang JY, Oh SH (2001). Food Fermentation. Hyoil Publishing Co. Seoul, 217-218. 

  14. Lee SJ, Ahn BH (2010). Sensory profiling of rice wines made with Nuruks using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1):119-123. 

  15. Lee SJ, Kim JH, Jung YJ, Park SY, Shin WC (2011). Composition of organic acid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commercial Makgeolli. Korean J Food Sci Technol 43(2):206-212. 

  16. Lee TS, Choi JY (2005).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kawachii Nuruks. Korean J Food Scl Technol 37(6):944-950. 

  17. Lee TS, Han EH (2000).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Rhizopus japonicus Nuruks. Korean J Food Scl Technol 32(3):691-698. 

  18. Lee TS, Han EH (2001).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oryzae Nuruks. Korean J Food Scl Technol 33(3):366-371. 

  19. Min KC, Shim UM, Lee JU, Cho SG, Kim YG, Son GM, Son WS, Cho NC (2000). Lab. of Food Microbiology. Kangmungag Publishing Co., Korea, 199-202. 

  20. Park CW, Jang SY, Park EJ, Yeo SH (2011).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Makgeolli type in South Korea. Korean J Food Preserv 18(6):884-890. 

  21. Park JH, Bae SM, Yook C, Kim JS (2004).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with ol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4):609-615. 

  22. Seo MY, Lee SJ, Ahn BH, Cha SK (2005). The changes of microflora during the fermentation of Takju and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37(1):61-66. 

  23. Seo WT, Cho HK, Lee JY, Kim B, Cho KM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eat-rice Makgeolli by making of rice Nuruk prepared by Rhizopus oryzae CCS01. Korean J Microb. 48(2):147-155. 

  24. So MH, Lee YS, Noh WS (1999). Changes in microorganisms and main components during Takju brewing by a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Nutr 12(3):226-232. 

  25. Song JC, Park HJ, Shin WC (1997). Change of Takju qualities by addition of cyclodextrin during the brewing and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5):895-900. 

  26. Woo SM, Shin JS, Seong JH, Yeo SH, Choi JH, Kim TY, Jeong Y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makgeolli by different nuru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301-307.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