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누에 숙잠 혈림프를 발효를 통하여 화장품으로서의 기능성과 피부 침투력을 증진시기고자 수행되었다. 누에 숙잠 혈림프를 대량 정제하여 이를 이용하여 2종의 Bacillus균을 이용하여 4주간 발효하였으며, 이들 발효산물의 분자량 및 세포 독성, 항산화,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1. 누에 숙잠 혈림프 단백질의 분자량이 커서(70 kDa) 정제물의 용해도가 낮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단백질의 저분자화를 위해 바실러스속 균주 2종(B. subtilis 10854, B. amyloliquefaciens M27)으로 4주간 발효시켰다. 그 결과, 혈림프 발효액의 단백질은 현저하게 분자량이 저하되었으며, 바실러스속 균주 중 B. amyloliquefaciens M27이 단백질 분해 능력이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 누에 숙잠 혈림프 정제물을 바실러스속 균주 2종(B. subtilis 10854, B. amyloliquefaciens M27)으로 발효하여 발효액의 세포독성을 멜라닌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여 확인한 결과, 발효액의 $12.5{\sim}50{\mu}g/mL$ 농도 범위에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3. 누에 숙잠 혈림프, 혈림프 발효물의 DPPH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을 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력이 증가하였고 혈림프 발효액은 양성대조군인 비타민 C와 유사한 활성 정도를 나타내었다. 분자량 저하 효과가 더 우수했던 Bacillus amyloliquefaciens M27균주를 이용하여 4주간 발효시키며 발효기간별 DPPH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2주 이상 발효시켰을 때 약 5% 이상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능력이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4.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효과는 대조군에 비해 혈림프와 혈림프 발효액 처리군 모두에서 나타났으며, amyloliquefaciens M27를 이용한 발효액의 경우 미백효과가 더욱 뚜렷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functionality of products of silkworm hemolymph fermented by Bacillus species was studied such as cell viability, antioxidant effect, and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ctivities. A matured silkworm hemolymph was degraded by fermentation with Bacillus subtilis 10854 and Bacillus am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누에 숙잠 혈림프와 혈림프 발효액의 DPPH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조사하였다. 혈림프와 혈림프 발효액 모두 DPPH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혈림프 보다 혈 림프를 발효하였을 때 더욱 항산화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림 4).
  • 멜라닌 생성 초기 단계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미백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티로 시나아제 활성 억제력을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아제 활성 측정은 Choi et al.
  • 본 연구는 누에 숙잠 혈림프를 발효를 통하여 화장품으로서의 기능성과 피부 침투력을 증진시기고자 수행되었다. 누에 숙잠 혈림프를 대량 정제하여 이를 이용하여 2종의 Bacillus균을 이용하여 4주간 발효하였으며, 이들 발효산물의 분자량 및 세포 독성, 항산화,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 2013). 본 연구에서는 누에 숙잠의 화장품으로서의 기능성과 피부 침투력을 증가시키고자 바실러스를 이용하여 누에 숙잠 혈림프를 발효시키고 그 기능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흑마늘은 어떤 억제 효과를 갖고 있는가? 최근에는 미백, 보습, 자외선 차단, 주름개선과 같은 화장품의 트랜드를 반영하기 위하여, 천연물의 기능성을 활용하는 화장품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흑마늘은 일반 마늘에 비해 생리활성물질의 증가로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 각광받고 있으며 흑마늘의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와 엘라스타아제(elasetase) 활성 억제능과 자외선으로 인한 멜라닌 내 과산화물의 억제 효과에 대해 보고되어 있다(Jung et al. 2010, Lee et al.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 오미자씨 오일의 효능은? 2010). 오미자씨 오일은 높은 안정성과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콜라겐 합성능력이 뛰어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의 가능성이 보고된 바 있다(Yang 2012). 또한, 이러한 천연물을 단순추출 및 사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미생물 발효에 의해 생성된 생리활성물질의 기능성을 평가하는 연구도 보고되고 있다.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 천연물을 미생물 발효시키기도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균주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또한, 이러한 천연물을 단순추출 및 사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미생물 발효에 의해 생성된 생리활성물질의 기능성을 평가하는 연구도 보고되고 있다. 균주로는 유산균(락토바실러스, Lactobacillus) 과 효모(사카로미세스속, Saccharomyces), 고초균(바실러스속, Bacillus)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Shim et al.(2012)에 따르면 유산균으로 발효한 더덕 발효추출물이 pH 및 점도 변화에 안정하고 경피 수분증발량을 억제하여 보습성을 높인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i BW, Lee BH, Kang KJ, Lee ES, Lee NH (1998) Screening of the tyrosinase inhibitors from marine algae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Pharmacogn 29, 237-242. 

  2. Chon JW, Kweon H, Jo YY, Park MK, Son YH, Lee HS (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cosmetics using silk-gland powder of silkworm.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8(2), 163-169. 

  3. Fergus GP (1977) Extracellular enzyme synthesis in the genus bacillus. BACTERIOLOGICAL REVIEWS, Sept. pp. 711-753,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USA. 

  4. Hong JH, Kim HY, Kim DI (2010) Skin UVB photo aging effect from extract of fermented reynoutria elliptic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3), 369-375. 

  5. Jeon MJ, Kim MH, Jang HJ, Lee SW, Kim JH Kim HS, Lee SH (2012) Whitening effect of Hizikia fusiformis 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J Life Sci 22, 889-896. 

  6. Juan MY, Chou CC (2010)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otalphenolicand flavonoid content of black soybeans by solid state fermentation with Bacillus subtilis BCRC14715. Food Microbiol 27, 586-591. 

  7. Jung EY, Hong YH, Kim SH, Suh HJ (2010) Physiological effects of formulations added with black garlic extract on skin care: Oxidative stress, tyrosinase and elastase activi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5), 662-668. 

  8. Lee HS, Kim SH (2010) Safety evaluation of black garlic extract for development of cosmeceutical ingredi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8), 1213-1219. 

  9. Lim AK, Jung YJ, Kim KS, Kim YH, Kwak JH, Hong JH, Kim HY, Kim DI (2010) Skin UVB photo aging effect from extract of fermented Reynoutria elliptic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3), 369-375. 

  10.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 55-63. 

  11. Mun JY, Lee HS, Lee KG, Kweon HY, Jo YY, Yeo JH (2013) Effects of matured silkworm hemolymph on suppressing melanin synthesis. J Seric Entomol Sci 51(2), 207-210. 

  12. Reddy NS, Nimmagadda A, Sambasiva R (2003) An overview of the microbial ${\alpha}$ -amylase family. Afr J Biotech 2(12), 645-648. 

  13. Rhee WJ, Park JH, Hahn JS, Park TH (2013) Anti-apoptotic mechanism of silkworm hemolymph in HeLa cell apoptosis. Process Biochem 48, 1375-1380. 

  14. Shim SB, Chun YJ (2012) The study on skin safety and efficacy of Codonopsis Lanceolata root fermentation extract.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 13(11), 5623-5627. 

  15. Welker NE, Campbell LL (1967) Comparison of the ${\alpha}$ -amylase of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amyloliquefaciens. J Bacteriol 94(4), 1131-1135. 

  16. Weng TM, Chen MT (2010) Changes of protein in natto (a fermented soybean food) affected by fermenting time. Food Sci Technol Res 16, 537-542. 

  17. Wu CH, Chou CC (2009) Enhancement of aglycone, Vitamin K2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of black soybean through fermentation with Bacillus subtilis BCRC 14715 at different temperatures. J Agric Food Chem 57 (22), 10695-10700. 

  18. Yang B, Yang H, Li J, Li Z, Jiang Y (2011) Amino acid composition,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rotein hydrolysates of soy sauce lees. Food Chem 124, 551-555. 

  19. Yang JC (2012) The evaluation on the effectiveness as a cosmetic material of oil extracted from Schizandra Chinensis seed. J Korean Oil Chem Soc 29(2), 231-237. 

  20. Zhang R, Li J, Liu K, Li A, Peng J, Hong H (2011) Apoptosis induced by actinomycin D in Spodoptera litura cells and the effect of two insect hemolymph on apoptosis. Bioinformatics and Biomedical Engineering pp. 1-4. (iCBB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112, 254-26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