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농작물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변화와 생산량, 재배면적의 상관성 분석
Analysis on Correlation between CO2 Emissions and Production, Acreage of Crops using Environmental Input-Output Analysis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6 no.1, 2014년, pp.61 - 70  

민슬기 (서울대학교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대학원) ,  손영환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과) ,  노수각 (서울대학교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대학원) ,  박재성 (서울대학교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대학원) ,  봉태호 (서울대학교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uth Korea is under pressure to reduce $CO_2$ emissions because of expanding request for reducing $CO_2$ emissions. In many industry sectors, $CO_2$ emissions were analyzed to reduce $CO_2$ emissions. But little effort in researching agricultural sector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작물분야에 대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년도별로 산출하여 변화를 분석하고, 작물별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생산량, 재배면적과 같은 통계자료와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작물의 이산화탄소 배출 특성을 파악하여, 통계자료를 통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추정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농작물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변화를 분석하고 통계자료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1995~2009년도 환경산업연관표를 작성하고 생산량, 재배면적과 같은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작물의 이산화탄소 배출 특성을 파악하고, 통계자료를 통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추정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제협약인 기후변화협약의 이행 방안은 어떤 목표로 언제 설립되었는가? 지구온난화 규제 및 방지에 대한 국제협약인 기후변화협약의 구체적 이행 방안으로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규정한 교토의정서가 1997년 채택되었다. 우리나라는 기후변화협약상 개발도상국으로 분류되어 온실가스 감축 의무이행 대상국에 포함되지 않았으나, 2010년 기준 세계 7위의 이산화탄소 배출 국가임을 감안할 때 (Hoeven, M.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석의 필요성이 증가한 이유는? 대부분의 산업의 경우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나 농업분야는 다른 산업분야와는 달리 친환경적 산업이라는 사회적 인식으로 인해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석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상태였으나 최근 시설재배 면적의 증가, 화학비료및 농기계 사용의 증가 등 온실가스 배출 요인이 다양해짐에 따라 농작물분야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석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전체 산업에서 농업분야의 비중이 감소 추세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우리나라 총 산업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농작물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003년 기점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나 2006년 이후부터 꾸준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최근 전체 산업에서 농업분야의 비중이 감소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Eggleston, S. H., 2007,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1.17-1.18. Hayama, Kanagawa, Japan: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2. Hoeven, M. V., 2012, $CO_{2}$ Emissions from Fuel Combustion Statistics Highlights, 47-86, Paris, France: International Energy Agency. 

  3. Hong, S. G., 2010,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Rapeseed and Barley Cultivation in Wintery Paddy Field Using Life Cycle Assessment. Ph.D. diss., Seoul, Korea: Korea University (in Korean). 

  4. Jung, Y. C., S. E. Kim, Y. J. Jang, T. H. Kim, and G. H. Kim, Application of Input-Output Table to Estimate of Amount of Energy Consumption and $CO_{2}$ Emission Intensity in the Construction Materials -Focusing on Input-Output Tables Published in 2005, 2007-, 2011,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1(3): 247-255 (in Korean). 

  5. Kim, C. S., and H. K. Lee, 2009, An Analysis of $CO_{2}$ Emission in Korean Agriculture Sector, Journal of Rural Development 32(1): 41-61 (in Korean). 

  6. Kim, Y. K., 2006, Study on Making and Analysis Environmental Input-Output Table, National Accounts, 24: 28-62. Seoul, Korea: The Bank of Korea (in Korean). 

  7. Kim, Y. K., 2011, $CO_{2}$ Emission Structure Analysis of Industrial Sector with Environmental Input-Output Table 2005,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20(1): 1-31 (in Korean). 

  8.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2011. Yearbook of Energy Statistics. Uiwang, Korea. 

  9. Korea Energy Management Corporation, 2006. Energy Calorific Conversion Standards Application Manual. Yongin, Korea 

  10. Korea Iron and Steel Association, 1996-2010. Korea Iron and Steel Association Bulletin. Seoul, Korea. 

  11. Lee, H. K., 2008, Environmental Input-Output Analysis for the Agricultural Sector. M. S. diss., Daegu, Korea: Kyungpook University (in Korean). 

  12. Leontief, W. W., 1936, Quantitative Input and Output Relations in the Economic System of the United State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18(3): 105-125. 

  13.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0, 2006, 2011.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tatistical Yearbook. Gwacheon, Korea. 

  14.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0.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ajor Statistical Yearbook. Gwacheon, Korea. 

  15. Park, C. G., 2009. An Analysis of $CO_{2}$ Emission Structure in Korean Industry Using Hybrid IO Table,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8(1): 49-72 (in Korean). 

  16. Ryu, J. H., Y. R. Kwon, G. Y. Kim, J. S. Lee, K. H. Kim, and K. H. So, 2012, Life Cycle Assessment on Rice Production Systems: Comparison of Greenhouse Gases Emission on Conventional Without Agricultural Chemical and Organic Farming,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5(6): 1157-1163 (in Korean). 

  17. Sim, S. Y., 2005, Making Energy Input-Output Table, 1-152. 05-01. Uiwang, Gyeonggi: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in Korean). 

  18. So, K. H., G. Z. Lee, K. Y. Kim, H. C. Jeong, J. A. Park, and D. B. Lee, 2010a, Estimation of Carbon Emission and LCA from Soybean Production System,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3(6): 898-903 (in Korean). 

  19. So, K. H., J. A. Park, G. Z. Lee, K. M. Shim, J. H. Lee, and K. A. Roh, 2010b, Estimation of Carbon Emission and LCA from Rice Production System,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3(5): 594-599 (in Korean). 

  20. The Bank of Korea, 1998a. Economic Statistics Yearbook 1998. Seoul, Korea. 

  21. The Bank of Korea, 1998b. 1995 Input-Output Tables. Seoul, Korea. 

  22. The Bank of Korea, 2001. 1998 Input-Output Tables. Seoul, Korea. 

  23. The Bank of Korea, 2003. 2000 Input-Output Tables. Seoul, Korea. 

  24. The Bank of Korea, 2007. 2003 Input-Output Tables. Seoul, Korea. 

  25. The Bank of Korea, 2008. 2005 Input-Output Tables. Seoul, Korea. 

  26. The Bank of Korea, 2009a. 2006 Input-Output Tables. Seoul, Korea. 

  27. The Bank of Korea, 2009b. 2007 Input-Output Tables. Seoul, Korea. 

  28. The Bank of Korea, 2011a. 2008 Input-Output Tables. Seoul, Korea. 

  29. The Bank of Korea, 2011b. 2009 Input-Output Tables.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