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애기땅빈대 추출물의 지방산 조성 및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Fatty Acid Composition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Euphorbia Supina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4 no.1 = no.165, 2014년, pp.74 - 80  

최향미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생명과학부) ,  임선영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생명과학부)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약효가 있다고 알려진 애기땅빈대(Euphorbia supina)의 추출물 및 분획물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고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A+M과 MeOH 추출물의 지방산 조성 패턴은 유사했고 A+M과 MeOH 추출물은 각각 53.4% 및 42.1%의 18:3n-3를 함유하였다. 분획물들 중 85% aq. MeOH는 가장 높은 함량의 18:3n-3를 나타내었다. 애기땅빈대에 의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는 MeOH 추출물과 비교했을 때 A+M 추출물에 의한 억제효과가 높았으며 AGS 인체 위암세포에 대한 억제효과가 높았다. 분획물들 중에서는 n-Hexane과 85% aq. MeOH 분획물들에 의한 증식 억제효과가 높았다. 따라서 애기땅빈대의 항암 활성 성분은 n-Hexane과 85% aq. MeOH 분획물들에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향후 정제하여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atty acid composition and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extracts and fractions from Euphorbia supina. With regards the fatty acid composition, the percentages of 18:3n-3 in acetone/methylene chloride (A+M) and methanol (MeOH) extracts were 53.4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비단풀은 우수한 항암약초자원으로 뇌종양, 췌장암, 위암, 폐암, 직장암, 대장암, 신장암, 간암 등에 좋으며 특히 뇌종양과 췌장암에 뛰어난 효과가 알려져 있으나 문헌이 전하는 기록이 많지 않은 이유로 대부분 민간에서 우수한 약초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약효가 있다고 알려진 애기땅빈대의 항암능력을 살펴보았고 용매 추출물 및 분획물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단풀이란? 비단풀은 대극과(Euphorbiaceae) 대극속에 속하는 한해살이 풀땅빈대로서 전 세계적으로 약 1,600종이 자라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11종이 분포되어 있다[3]. 비단풀은 땅바닥을 비단처럼 곱게 덮었다는 어원이 있으며 땅바닥을 기면서 자라고 도시의 화단, 운동장, 주차장 가장자리 등에서 쉽게 볼 수 있다.
n-6계 linoleic acid와 포화지방산의 섭취는 어떤 암의 발생을 촉진시키는가? 지방의 섭취와 암발생간의 역상관관계가 알려지면서 현대인의 건강한 삶을 위해 포화지방산의 섭취량을 줄이고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섭취량을 늘려야 한다고 권장되고 있다[28]. 포화지방산과 n-6계 linoleic acid의 과도한 섭취는 특히 유방암과 대장암의 발생이 촉진되는 반면 α-linolenic acid, eicosapentaenoic acid (EPA)와 docosahexaenoic acid (DHA) 등 n-3계 다가불포화지방산에 의해서는 대장암 발생 및 암세포 증식이 억제된다고 보고하였다[9, 24]. 지방질 섭취량이 총 열량의 20% 내외에서 40-45% 내외로 변화하게 되면서 이러한 암에 걸릴 수 있는 확률은 최소 2-4배 정도 높아짐을 동물실험과 역학조사에서 살펴 볼 수가 있다 [7].
비단풀은 민간요법에서 어떻게 이용되는가? 비단풀의 원줄기는 지면을 따라 퍼지며 길이 10-25 cm이고, 잎과 더불어 털이 다소 있고, 중앙부에는 붉은빛이 도는 갈색반점이 있다. 비단풀의 줄기나 잎에 상처가 생기면 흰색의 끈적한 유즙이 나오는데 칼로 베인 상처나 가시에 찔리거나 풀 등에 베인 상처에 바르면 효과가 있다고 하여 민간요법에서는 외상출혈, 토혈, 빈혈에 효능하고 신장결석, 방광결석, 신장염, 항암, 항균, 진정작용, 해독작용, 혈액순환 등에 활용되고 있다 [19]. 또한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통증을 멎게 하는 작용이 있으며 독성은 전혀 없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gata, I., Hatano, T., Nakaya, Y., Sugaya, T., Nushibe, S., Yochida, T. and Okuda, T. 1991. 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of Euphorbiaceous plants. Eumaculin A and eusupinin A, and accompanying polyphenols from Euphorbia maculate L. and E. supine Rafin. Chem Pharm Bull 39, 881-883. 

  2. An, D. H., Cho, S. J., Jung, E. S., Lee, H. J. and Hwang, J. H. 2006.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Ceramium kondo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304-1308. 

  3. An, R. B., Kwon, J. W., Kwon, T. O., Chung, W. T., Lee, H. S. and Kim, Y. C. 2007. Chemical constituents from the whole plants of Euphorbia supine Rafin. Korean J Pharmacogn 38, 291-295. 

  4. Cha, B. C., Kim, J. A. and Lee, Y. S. 1996. Cytotoxic activities of Panax ginseng and Euphorbia humifusa in human brain tumor cells. Korean J Pharmacogn 27, 350-353. 

  5. Chen, H., Wang, Z. and Yang, L. 2011. Analysis of euphornin in Euphorbia helioscopia L. and its cytotoxicity to mice lung adenocarcinoma cells. Nat Prod Res 1, 1-5. 

  6. Choi, J. G. 2006. The medicine of grasses, flowers and trees. pp. 193-201, Hanmunsa, Seoul. 

  7. Choi, M. 1991. Dietary fats and cancer. J Korean Soc Food Nutr 20, 513-518. 

  8. Chung, B. S. and Kim, H. G. 1985. Studies on the terpenoid constituents of Euphorbia supine Rafin. Korean J Pharmacogn 16, 155-159. 

  9. Cognault, S., Jourdan, M. L., Germain, E., Pitavy, R., Morel, E., Durand, G., Bougnoux, P. and Lhuillery, C. 2000. Effect of an $\alpha$ -linolenic acid-rich diet on rat mammary tumor growth depends in the dietary oxidative status. Nutr Cancer 36, 33-41. 

  10. Denizot, F. and Lang, R. 1986.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 growth and survival: Modifications to the tetrazolium dye procedure giving improved sensitivity and reliability. J Immunol Methods 89, 271-277. 

  11. da Mota, M. F., Benfica, P. L., Batista, A. C., Martins, F. S., Paula, J. R. and Valadares, M. C. 2012. Investigation of Ehrlich ascites tumor cell dealth mechanisms induced by Synadanium umbellatum Pax. J Enthnopharmacol 139, 319-329. 

  12. Dai, J., Shen, J., Pan, W., Sehn, S. and Das, U. N. 2013. Effect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the growth of gastric cancer cells in vitro. Lipids Health Disease 12, 71-86. 

  13. Dommels, Y. E. M., Alink, G. M., Linssen, J. P. H. and Ommen, B. V. 2002. Effects of n-6 and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during spontaneous differentiation of the human colon adenocarcinomacell line Caco-2. Nutr Cancer 42, 125-130. 

  14. Fang, Z., Zeng, X., Zhang, Y. and Zhou, G. 1993. Chemical constituents of spotted leaf euphorbia (Euphorbia supina). Zhongcayao 24, 230-233. 

  15. Folch, J., Lees, M. and Stanley, G. S. 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16. Grever, M. C. B. Cancer 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 In Cancer: Principles and Practice of Oncology. pp. 328-339, De Vita VHS, Rosenberg SA, eds. Lippinocott-Raven, Philadelphia, USA. 

  17. Habermann, N., Christian, B., Luckas, B., Pool-Zobel, B. L., Lund, E. K. and Glei, M. 2009. Effects of fatty acids on metabolism and cell growth of human colon cell lines of different transformation state. Int Union Biochem Molecular Biol 35, 460-467. 

  18. Hong, H. K., Kwak, J. H., Kang, S. C., Lee, J. W., Park, J. H., Ahn, J. W., Kang, H. S., Choung, E. S. and Zee, O. P. 2008. Antioxidative constitutents from whole plants of Euphorbia supina. Korean J Pharmacogn 39, 260-264. 

  19. Lee, C. B. 1989. An illusted plant book. pp. 511, Hyang- MunSa, Seoul, Korea. 

  20. Lee, S. H., Tanaka, T., Nonaka, G. and Nishioka, I. 1991. Tannins and related compounds. CV. Monomeric and dimeric hydrolyzable tannins having a dehydrohyxahydroxydiphenoyl group, supinanin, euphoscopin, euphorhelin and jolkianin, from Euphorbia species. Chem Pharm Bull 39, 630-638. 

  21. Montopoli, M., Bertin, R., Chen, Z., Bolcato., Caparrotta, L. and Froldi, G. 2012. Croton lechleri sap and isolated alkaloid taspine exhibit inhibition against human melanoma SK23 and colon cancer HT29 cell lines. J Ehnopharmacol 144, 747-753. 

  22. Morrison, W. R. and Smith, L. M. Preparation of fatty acid methyl esters and dimethlyacetals from lipids with boron fluoride-methanol. J Lipid Res 5, 600-608. 

  23. Pascual-Villalobos, M. J. and Lopez, M. D. 2010. Leaf lipids from Euphorbia lagascae Spreng. and Euphorbia lathyris L. Ind Crops Prod 32, 560-565. 

  24. Rose, D. P., Connolly, J. M., Rayburn, J. and Coleman, M. 1995. Influence of diets containing eicosapentaenoic or docosahexaenoic acid on growth and metastasis of breast cancer cells in nude mice. J Natl Cancer Inst 87, 587-592. 

  25. Salem, M., Reyer, M. and Karanian, J. 1996. Losses of arachidonic acid in rat liver after alacohol inhalation. Lipids 31, 153-156. 

  26. Tanaka, R., Kurimoto, M., Yoneda, M. and Matsunaga S. 1990. 17 $\beta$ ,21 $\beta$ -Epoxyhopan-3 $\beta$ -ol and $\beta$ -alnincanol from Euphorbia supina. Phytochemistry 29, 2253-2256. 

  27. Tanaka, R. and Matsunaga, S. 1999. Terpenoids and steroids from several Euphorbiaceae and Pinaceae plants. Yakugaku Zasshi 119, 319-339. 

  28. Wachi, A. M., Sinclari, L. A., Wilkinson, R. G., Enser, M., Wood, J. D. and Fisher, A. V. 2002. Effect of dietary fat source and breed on the carcass composition, n-3 poly-unsaturated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content of sheep meat and adipose tissue. Br J Nutr 88, 697-709. 

  29. Yu, L., Jiang, B. P., Luo, D., Shen, X. C., Guo, S., Duan, J. A. and Tang, Y. P. 2012. Bioactive components in the fruits of Ziziphusjujube Mill.Against the inflammatory irritant action of Euphorbia plants. J Ehnopharmacol 19, 239-2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