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행동심리증상의 성별차이
Gender Differences in Behavioral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2 no.2, 2014년, pp.71 - 78  

이지영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임우영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강준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행동심리증상(BPSD)은 임상적인 문제들을 일으켜 결국 기능의 감퇴, 간병인 스트레스, 입원, 사망률의 증가를 가져온다. 최근의 연구는 성별차이가 BPSD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하고 있으나, BPSD와 성별 사이 연관에 대한 국내 연구는 시행된 적이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BPSD가 성별 차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인지를 검증해 보고자 실시하였다. 방 법 면담과 인지기능평가를 통해 DSM-IV 진단기준에 의하여 알츠하이머병으로 진단받은 98명의 환자들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다. 간이정신상태검사(MMSE), 임상치매평가척도(CDR), 전반적 퇴화척도(GDS), 한국형 신경정신행동검사(K-NPI)를 사용하여 인지기능 및 BPSD를 평가하였다. 성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독립 t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MMSE, CDR, GDS와 NPI 사이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 과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BPSD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성별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MMSE와 NPI 총점, 그리고 NPI 하위영역인 환각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CDR의 경우 NPI 총점, 무감동/무관심, 과민/불안정과, GDS의 경우 NPI 하위영역인 환각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 론 본 연구결과 우리나라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BPSD에서 성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추후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BPSD가 성별 차이에 의한 것인지 혹은 개인 차에 의한 것인지를 더 명확하게 밝혀내기 위한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BPSD) represent significant clinical problems, resulting in functional decline, caregiver distress, institutionalization and increased mortality. A recent study showed gender differences have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BPSD, bu...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BPSD가 성별이 아닌 발병 전의 개인 성격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 연구도 있어, 우리나라에서도 임상 실제에서 치매 환자들의 BPSD를 연구해 볼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매 환자들의 BPSD가 성별 차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인지, 개인차에 의한 것인지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 본 논문은 알츠하이머병에서 나타나는 치매의 BPSD의 성별 차이를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현재까지 치매의 BPSD를 연구한 경우는 많았으나, BPSD의 성별 차이를 밝히고자 한 논문은 거의 없었으며, 국내에서는 한 번도 연구된 적이 없었다.
  • 최근의 연구는 성별차이가 BPSD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하고 있으나, BPSD와 성별 사이 연관에 대한 국내 연구는 시행된 적이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BPSD가 성별 차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인지를 검증해 보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란? 노인 정신질환 중 대표적인 것이 치매인데, 치매는 뇌기능 손상으로 인해 기억력, 언어능력, 실행능력, 사고력 등의 인지기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는 상태를 말한다.2)치매에는 퇴행성 치매인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 전두 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FTD), 루이체 치매(dementia with Lewy body, DLB),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 VD)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는데, 그 중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알츠하이머병으로, 전체 치매 환자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성별에 따른 치매 환자의 BPSD 차이를 밝히고자 한 본 연구의 제한점은? 본 연구의 제한점을 살펴보면 첫째 표본수가 많지 않으며, 남녀의 사례수에 차이가 크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병원에 방문하여 알츠하이머형 치매로 진단받은 사람들 중 여성의 비율이 높았기 때문에, 현재 분석에서도 여성의 자료가 더 많이 포함되었다. 여성에 비해 남성 표본이 적었기 때문에 결과 해석에 제한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기존 연구에 따르면, BPSD는 치매의 초기나 말기 단계에서는 비교적 드물고 주로 중기의 치매 환자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1,38) 그러나 병원에 내원하는 환자들의 특성상, 중기나 말기의 환자들보다는 치매 초기 단계의 환자들이 더욱 많았기 때문에 성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BSPD를 보호자에 의해 작성된 신경정신행동척도를 사용하였다. 환자를 가장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는 주보호자에게 작성하도록 하였으나, 보호자들이 환자들과 얼마나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면서 환자의 증상을 관찰하는지에 따라 척도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환자가 증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호자가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여 BPSD가 덜 보고되거나, 혹은 더욱 심하게 보고되었을 수 있다. 즉 실제 환자가 보이는 BPSD가 정확하게 평가되지 않고, 보호자 변인에 의해 차이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치료자, 보호자 모두에 의한 측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환자가 보이는 증상에 대한 장기간의 관찰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치매에는 어떠한 유형이 존재하는가? 노인 정신질환 중 대표적인 것이 치매인데, 치매는 뇌기능 손상으로 인해 기억력, 언어능력, 실행능력, 사고력 등의 인지기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는 상태를 말한다.2)치매에는 퇴행성 치매인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 전두 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FTD), 루이체 치매(dementia with Lewy body, DLB),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 VD)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는데, 그 중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알츠하이머병으로, 전체 치매 환자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3)이렇게 치매 유병률이 증가하면서 치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치료가 쉽지 않아 치매 발병 이전의 예방, 조기 발견 혹은 조기치료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