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미한인간호사의 적응유연성과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Korean-American Registered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0 no.1, 2014년, pp.48 - 58  

서금숙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  김미영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부) ,  박진화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Korean-American registered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with 203 Korean-American registered nurses liv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재미한인간호사의 직무불만족의 요인을 확인하고 업무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긍정적인 적응결과를 가져오게 하는 적응유연성을 강화하는 프로그램 개발이 조직몰입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재미한인간호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적응유연성과 관련하여 추후 연구를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추후 연구를 위해 보다 큰 규모의 대상자를 선정하여 반복연구를 시도해 볼 것과 재미한인간호사 중 45~54세 그룹이 적응유연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므로 이러한 그룹을 대상으로 추후에 질적 연구방법을 이용한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적응유연성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 본 연구는 ‘재미한인간호사의 조직적응을 위한 실태 조사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조사된 자료(Seo, Kim, Lee,Park, & Yoon, 2013) 중 일부를 이용한 이차 자료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재미한인간호사의 적응유연성, 직무만족, 조직몰입 정도를 파악하고 적응유연성과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미국 병원에 근무하는 한국 간호사의 적응유연성과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재미한인간호사들의 미국 내 조직의 몰입 정도를 이해하고 재미한인간호사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미국에 근무하는 한인간호사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직장 내 교육 프로그램을 위해 조직에서의 직무만족과 적응유연성 정도를 이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재미한인간호사의 미국 내 평균 간호경력은 8.
  • 국제적으로 간호 인력이 부족하고 해외이주간호사의 이민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에 있는 한국간호사들이 현지 국가에서의 직무 만족, 직무몰입과 관련된 문제들을 다루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재미한인간호사의 적응유연성과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재미한인간호사의 조직몰입에 적응유연성과 직무만족이 50%의 설명력을 나타내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외이주간호사들이 선진국으로의 이주를 선호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해외이주간호사들이 선진국으로의 이주를 선호하는 이유에는 더 나은 생활과 근무 조건, 높은 급여, 교육 및 임상 기술향상의 기회, 전문직으로 정당한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이유때문이다(Riner, 2009). 특히 미국은 한국간호사들의 취업선호 1위 국가로 자아실현과 자녀교육 및 안정된 미래를 위한 생활 터전이다.
미국의 해외 이주간호사중 한국출신 간호사는 어느정도를 차지하고있는가? 4%에 해당한다(Health Resources and Services Administration [HRSA], 2010). 이 중 한국출신 간호사는 해외출신간호사의 2.6%인 4,304명으로 필리핀간호사, 캐나다간호사, 인도간호사 다음으로 많은 간호사군을 차지하고 있다.
해외이주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특히 미국은 한국간호사들의 취업선호 1위 국가로 자아실현과 자녀교육 및 안정된 미래를 위한 생활 터전이다. 그러나 해외이주간호사들이 미국병원에서 간호사로 적응하기까지에는 언어장벽과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겪고, 간호교육과 실무의 차이, 불공정한 대우와 인종차별로 인한 심리적 스트레스, 동료나 조직으로부터의 소외감 등을 경험한다(Beechinor & Fitzpatrick, 2008; Yi & Jezewski,2000). 이러한 경험은 해외출신간호사들이 이주국에의 성공적인 정착 여부뿐만 아니라 환자간호의 질(Bae, 2011)과 보건의료기관의 경제적 안정에 영향을 미친다(Beechinor & Fitzpatrick,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blett, J. R., & Jones, R. S. P. (2007). Resilience and well-being in palliative care staff: A qualitative study of hospice nurses' experience of work. Psycho-Oncology, 16, 733-740. http:// dx.doi.org/10.1002/pon.1130 

  2. Aiken, L. H., Clarke, S. P., Sloane, D. M., Sochalski, J., & Silber, J. H. (2002). Hospital nurse staffing and patient mortality, nurse burnout, and job dissatisfaction. JAMA, 288, 1987-1993. http://dx.doi.org/10.1001/jama.288.16.1987 

  3. Bae, S. H. (2011).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international nurses in the New York metropolitan area.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9 , 81-87. http://dx.doi.org/10.1111/j.1466-7657.2011.00928.x 

  4. Beechinor, L. A. V., & Fitzpatrick, J. J. (2008). Demands of immigration among nurses from Canada and Philippin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4, 178-187. http://dx. doi.org/10.1111/j.1440-172X.2008.00680.x 

  5. Berg, J. A., Rodriguez, D., Kading, V., & De Guzman, C. (2004). Demographic survey of Filipino-American nurses.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28 (3), 199-206. 

  6. Cheng, C. Y., & Liou, S. R. (2011). Intention to leave of Asian nurses in US hospitals: Does cultural orientation matter?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 2033-2042. http://dx.doi.org/10. 1111/j.1365-2702.2010.03594.x 

  7. Gillespie, B. M., Chaboyer, W., & Wallis, M. (2009). The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 resilience of operating room nurses: A predictor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6, 968-979. http://dx.doi.org/10.1016/j. ijnurstu.2007.08.006 

  8. Hayne, A. N., Gerhardt, C., & Davis, J. (2009). Filipino nurses in the United States: Recruitment, retention, occupati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20, 313-322. http://dx.doi.org/10.1177/1043659609334927 

  9. Health Resources and Services Administration (HRSA, 2010). The registered nurse population: Findings from the 2008 national sample survey of registered nurses. Retrieved February 15, 2012, from http://bhpr.hrsa.gov/healthworkforce/ rnsurvey2008.html 

  10. ung, K. I., & Oh, C. S. (2011). Clinical nurs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fluencing facto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5 (1), 101-110. 

  11. Kim, B. N., Oh, H. S., & Park, Y. S. (2011). A study of nurses' resilience, occupational stress and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 (1), 14-23. 

  12. Kim, K. J. (1986). An empirical study on the turnover decision process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13. Kingma, M. (2006). Nurses on the move: Migration and the global health care economy .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14. Korean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orknet. JOBMAP. (2013). Job prospects in Korea. Retrieved January 20, 2013, from http://www.work.go.kr/consltJobCarpa/srch/jobDic/ jobDicDtlInfo.do?pageTypejobDicSrchByKeyWord&job Code2430&jobSeq3 

  15. Lee, H., Hwang, S., Kim, J., & Daly, B. (2004).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of Korean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8, 632-641.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4.03251.x 

  16. Lee, J. H., Jin, S. J., & Ju, H. J. (2011). Impact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of nursing and turnover intention on the job satisfaction of public hospital nurses. Health and Social Science, 30, 205-230. 

  17. Lee, J. Y., Cho, S. J., & Min, H. Y. (2012). The influence of the resilie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as a mediating variabl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0 (3), 59-67. 

  18. Lee, S. L. (198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job satisfaction in hospital nurse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19. Liou, S. R. (2008). An analysis of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Nursing Forum, 43, 116-125. http://dx.doi.org/ 10.1111/j.1744-6198.2008.00103.x 

  20. Lu, H., While, A. E., & Barriball, K. L. (2007). A model of job satisfaction of nurses: A reflection of nurses' working lives in Mainland China.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8, 468-479.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7.04233.x 

  21. Matos, P., Neushotz, L. A., Quinn Griffin, M. T., & Fitzpatick, J. J. (2010). An exploratory study of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among psychiatric nurses working in inpatient units.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19, 307- 312. http://dx.doi.org/10.1111/j.1447-0349.2010.00690.x 

  22. Mowday, R. T., Steers, R. M., & Porter, L. W. (1979).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 79-94. 

  23. Park, G. J., & Kim, Y. N. (2010).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 (3), 250-258.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2.196 

  24. Porter, L. W., Steers, R. M., Mowday, R. T., & Boulian, P. V. (1974).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psychiatric technicia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9, 603-609. 

  25. Riner, M. E. (2009). The global nursing workforce. Roux, G., & Halstead, J. A. (Eds.). Issues and trends in nursing: Essential knowledge for today and tomorrow. Sundbury, MA: Jones and Bartlett. 

  26. Seo, K. S. (2013). Clinical work experiences of Korean nurses in U. S. hospita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7. Seo, K., Kim, M., Lee, G., Park, J., & Yoon, J. (2013). The impact of acculturation and social support on mental health among Korean-American registered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 157-169. http://dx.doi.org/10.7475/kjan.2013. 25.2.157 

  28. Song, Y. S. (2004). Determinants of resilience of the physical disabled at ho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Korea. 

  29. Stamps, P. L., Piedmont, E. B., Slavitt, D. B., & Haase, A. M. (1978). Measurement of work satisfaction among health professionals. Medical Care, 16 (4), 337-352. 

  30. Wagnild, G. M., & Young, H. M. (1993).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 (2), 165-178. 

  31. Xu, Y. (2007). Strangers in strange lands: A metasynthesis of lived experiences immigrant Asian nurses working in western countrie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30 , 246-265. http:// dx.doi.org/10.1097/01.ANS.0000286623.84763.e0 

  32. Yi, M., & Jezewski, M. A. (2000). Korean nurses' adjustment to hospital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2, 721-729.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0.01533.x 

  33. Youssef, C. M., & Luthans, F. (2007).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in the workforce: The impact of hope, optimism, and resilience. Journal of Management, 33, 774-800. http://dx.doi.org/10.1177/0149206307305562 

  34. Zizzo, K. A., & Xu, Y. (2009). Post-hire transitional programs for international nurses: A systematic review. Th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40 (2), 57-6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