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직불공정성이 조직원의 부정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Organizational Injustice on Negative Behaviors of Employe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0 no.1, 2014년, pp.59 - 68  

전경국 (영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선린대학교 무기시스템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lineat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injustice on negative behaviors of employees with the mediating effects of trust.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550 nurses in 11 departments of 3 hospitals located in the Pohang area. Data were analyzed us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가 느끼는 조직 내 불공정성, 신뢰, 그리고 부정적 행동의 정도를 파악하고 조직불공정성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신뢰가 부정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부정적 행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지금까지의 조직공정성 연구는 조직원의 긍정적 행동을 유인하는 요인으로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나 조직원의 부정적 행동을 유인하는 조직불공정성에 관한 연구는 극히 드물었다.
  • 본 연구는 간호사가 느끼는 조직불공정성과 직장 내에서의 신뢰, 그리고 간호사의 부정적 행동 간의 인과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 따라서 간호사의 부정적 행동에 대한 기술통계를 조사하고 간호사의 부정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병원 내 불공정성과 신뢰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조기에 이를 감소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본 연구는 간호사가 지각하는 조직불공정성, 병원조직과 상사에 대한 신뢰, 간호사의 부정적 행동의 기술통계와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또, 병원 내 조직불공정성과 신뢰, 그리고 간호사의 부정적 행동간에 일련의 인과 관계를 학술적으로 연구 규명하여, 간호사의 부정적 행동을 줄일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본 연구는 조직의 불공정성과, 신뢰 그리고 간호사의 부정적 행동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여 간호사의 부정적 행동을 줄임으로서 환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병원의 재산피해와 명성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조직의 불공정성은 간호사의 조직과 상사에 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이에 따른 신뢰의 훼손은 조직 부정적 행동이나 개인 부정적 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왔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가 느끼는 조직의 불공정성, 조직내 신뢰 정도, 그리고 간호사의 부정적 행동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 내 조직문화의 특징은 무엇인가? Kim (2013)은 병원 내 조직문화의 특징으로 다음과 같은 점을 지적하였다. 첫째, 간호사로서의 투철한 사명의식, 둘째, 실수가 용납되지 않는 완벽주의 지향, 셋째, 병동중심의 내부지향적인 결속력, 넷째, 병동 외 조직에 대한 배타성, 다섯째, 위계질서에 기반 한 업무수행, 여섯째, 지속적 교육 추구, 일곱째, 변화에 대한 소극적 대응 등을 꼽았다. Ko (2013)는 이와 같은 조직문화 속에서 타 직종에 비해 간호사는 심각한 스트레스와 낮은 직무만족도를 보이고 있고, 결과적으로 병원의 목표달성이나 업무효과 등 생산성과 결근율, 이직률 등 반생산성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
병원은 어떤 조직인가? 병원은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를 치료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이다. 환자의 생명을 직접 다룬다는 점에서 그 사회의 타 조직과 그 성격을 달리하고 이에 따라 조직문화도 많이 다르다.
신뢰는 무엇으로 정의되는가? 신뢰는 안정적-사회적 관계를 지속하도록 하는데 필수적인것(Blau, 1964)으로, 사람이나 사물을 잘 믿는 개인의 성향 또는 기본적인 지향성(Barber, 1983)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지금까지 신뢰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이나 직무만족 등 조직의 효율성, 또는 직원의 시민행동의식이나 일탈, 사보타주 등 반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Lee, K.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dams, J. S. (1965). Inequity in social exchange. In L. Berkowitz (Ed.), Advance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pp. 335- 343). New York: Academic Press. 

  2. Ambros, M. L., Seabright, M. A., & Schminke, M. (2002). Sabotage in the work place: The role of organizational injustic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89, 947-965. 

  3. Barber, B. (1983). The logic and limits of trust. New Brunswick, NJ: Rutgers University Press. 

  4. Blau, G. J. (1964). Exchange and power in social life . New York: Wiley. 

  5. Bies, R. J., & Moag, J. S. (1986). Interactional justice: Communication criteria of fairness, In R. J. Lewicki, B. H. Sheppard & B. H. Bazeman (Eds.), Research on negotiation in organizations (pp. 43-55). Greenwich, CT: JAI Press. 

  6. Bies, R. J., Tripp, T. M., & Kramer, R. M. (1997). At the breaking point: Cognitive social dynamics of revenge in organiza tions. In R. Ciacalone & J. Creenberg (Eds.), Antisocial behavior in organization (pp. 18-36). London: Sage, 18-36. 

  7. Colquitt, J. A. (2001). On the dimensionality of organizational justice: A construct validation of a measur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 386-400. 

  8. Cook, J., & Wall, T. (1980). New work attitude measures of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sonal need nonfulfillment,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53, 39-52. 

  9. Domagalski, T. A., & Steelman, L., A. (2005). The impact of work events and disposition on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employee anger. Organizational Analysis, 13, 31-52. 

  10.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i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Behavioral Research Methods, 1, 1149- 1160.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11. Fisher, J. D., & Baron, R. M. (1982). An equity-based model of vandalism. Population and Environment, 25, 41-52. 

  12. Floger, R., & Konovsky, M. A. (1989). Effects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on reactions to pay raise decis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2, 115-130. 

  13. Gilbert, J. A., & Tang, T. L. (1998). An examination of organizational trust antecedents. Public Personal Management, 27,321-335. 

  14. Greenberg, J. (1986). Determinants of perceived fairness of performance evalu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 ,340-342. 

  15. Greenberg, J. (1990). Organizational justice: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Journal of Management, 16, 399-432. 

  16. Greenberg, J. (1993). Stealing in the name of justice: Informational and interpersonal moderators of theft reactions to underpayment inequit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4, 81-103. 

  17. Kim, S. H. (2006).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injustice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18. Kim, Y, J. (2013). Field research on the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in hospital sett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9. Ko, H. M. (2013). A study on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employee on health care service -Focused on nur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20. Han, K. H. (2008). Multi-dimensional approach of the determinants and moderators on production employees' counter- productive work behavior. Daehan Journal of Business, 21., 2771-2798. 

  21. Hollinger, R. C. (1986). Acts against the workplace: Social bonding and employee deviance. Deviant Behavior, 7, 53-75. 

  22. Homans, G. C. (1961). Social behavior: Its elementary forms. New York: Harcourt Brace. 

  23. Latham, G. P., & Pinder, C. C. (2005). Work motivation theory and research at the dawn of the twenty-first centur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6, 485-516. 

  24. Lee, C. H. (2010). A study of the public nurses' work stress and burnout: The exploration of moderating variab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angwon University, Gyeongnam, Korea. 

  25. Lee, K. H. (2010). A study on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moderation influence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26. Leventhal, G. S. (1980). The distribution of rewards and resources in groups and organizations. In L. Berkowitz & W. Walster (Ed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pp. 91-131). New York: Academic Press. 

  27. Mcknight, H., Cummings, L. L., & Chervany, N. (1998). Initial trust formation in new organizational relationship.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 473-490. 

  28. Park, M. Y. (2007). Relationship between injustice, job burnout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Mediating effects of inward-focused and outward-focused negative emo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29. Podsakoff, P. M., MacKenzie, S. B., Moorman, R. H., & Feffer, R. (1990). Transformation leader behavior and their effect on followers' trust in lead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Leadership Quarterly, 1, 107-142. 

  30. Price, J. L., & Muller, C. W. (1981). A causal model of turnover for nurs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2, 543-565. 

  31. Robinson, R. E., & Bennett, R. J. (1995). A topology of deviant workplace behaviors: A multidimensional scaling stud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555-572. 

  32. Sackett, P. R. (2002). The structure of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 Dimensionality and relationships with facets of job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election and Assessment, 10, 5-11. 

  33. Skarlicki, D. P., & Folger, R. (1997). Retaliation in the workplace: The role of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2, 434-443. 

  34. Sobel, F. E. (1986). Some new results in indirect effects and their standard error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s. In S. Leinhard (Ed.), Sociological methodology (pp. 290-313). San Francisco: Jossey-Bass. 

  35. Thibaut, J. W., & Walker, L. (1975). Procedural justice: A psychological analysis. Hillsdale, NJ: Erlbaum.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