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직공정성이 임상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침묵의 매개효과,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거부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ilence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anager's Negative Feedback Rejection Inclina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8, 2020년, pp.369 - 379  

송은정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김미정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고명숙 (삼육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공정성이 임상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침묵의 매개효과와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거부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 재직 중인 간호사 220명이다. 본 연구결과 절차공정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체념적 침묵의 매개효과가 있었고, 상호작용공정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친사회적 침묵과 체념적 침묵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거부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절차공정성이 체념적 침묵을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와 상호작용공정성이 친사회적 침묵, 체념적 침묵을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유의하였다. 따라서 조직공정성이 조직침묵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거부성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convergent study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ilence and manager's inclination to reject negative feedbac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Participants were 250 nurses working at general hospitals with 300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조직공정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조직침묵의 매개효과와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거부성향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개인과 그룹 차원이 아닌 조직 차원에서 임상 간호사의 이직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향후 간호조직과 실무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조직공정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침묵의 매개효과 및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거부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가설적 모형을 검증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조직공정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조직침묵의 매개효과와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거부성향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개인과 그룹 차원이 아닌 조직 차원에서 임상 간호사의 이직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향후 간호조직과 실무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조직공정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침묵의 매개효과와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거부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임상간호사의 이직의도 관련 요인을 조직적 차원에서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그리고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거부성향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사용했기 때문에 추후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조직 조직공정성의 하위요인인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과 이직의도를 조사하여 조직침묵의 하위요인인 친사회적 침묵, 체념적 침묵, 방어적 침묵과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거부성향의 영향관계에 대한 기초자료와 근거를 마련하였고, 조직공정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조직 침묵의 매개효과를 하위요인별로 확인함으로써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조직침묵과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거부성향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조직공정성과 조직침묵의 관계에서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거부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해 파악하여 간호조직의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를 중심으로 조직침묵의 조직적 원인인 조직공정성, 조직구성원의 태도변화인 이직의도,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거부성향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직 관련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과 간호조직의 인적자원 관리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침묵이란? 조직침묵은 조직구성원들이 업무와 관련된 아이디어와 제안 등을 자유롭게 주고받는 과정에서 구성원들이 어떤 동기나 태도로 인해 발언하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15]. Morrison과 Milliken[15]은 조직침묵의 상승모델에서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거부성향과 관리자들의 암묵적 신념으로 부하직원들이 부정적인 의견을 피드백 하는 것에 두려움을 느껴 상사 또는 관리자에게 침묵했을 때 조직구조의 형태, 공정성, 경영관행에 대해 논의했고 효과모델에서 조직침묵이 조직의 의사결정과정 및 변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직공정성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을때 본 연구의 Cronbach’s α값은? 94, 상호작용 공정성은 .93, 본 연구의 Cronbach’s α값은 절차공정성은 .91, 상호작용 공정성은 .94였다.
조직 공정성이란? 조직 공정성은 조직 내 보상의 배분과 관련된 의사결정 절차나 그에 대해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공평성을 말한다[10]. 절차공정성은 성과에 대한 인센티브를 분배함에 있어 결정과정과 방법에 대해 지각된 공정성을 의미하고, 상호작용공정성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상사가 구성원의 의견수렴 및 배려, 보상 절차 등을 구성원과 투명하게 공유하는 것에 대해 지각된 공정성을 의미하며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은 구성원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Hospital Nurses Association.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 placement [Internet].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c2017 [cited 2018 Jul 1]. DOI : 10.12811/JKCS.201.11.2.129 

  2. Park, S. K. et al. (2017). National Medical Care Resources and Utilization Survey, KHIDI. 

  3. Yang, H., Lv, J., Zhou, X., Liu, H. & Mi, B. (2017). Validation of work pressure and associated factors influencing hospital nurse turnover: a cross-sectional investigation in Shaanxi Province, China.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7(1), 112. 

  4. Sousa-Poza, A. & Henneberger, F. (2004). Analyzing job mobility with job turnover intentions: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Journal of economic issues, 38(1), 113-137. DOI : 10.1080/00213624.2004.11506667 

  5. Lee, Y. O. & Kang, J. Y. (2018). Related Factors of Turnover Intention among Korean Hospital Nur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0(1), 1-17. DOI : 10.7475/kjan.2018.30.1.1 

  6. Kim, Y. M. & Kang, Y. S. (2015). Effects of self-efficacy, career plateau, job embedded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1(5), 530-541. 

  7. Kim, J. H. (2016). The Influence of Self-esteem, Ego-resilience and Communication style of Preceptor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ew Graduate Nurse, Master's degree. Catholic University, Seoul. 

  8. Kim, M. J. & Kim, M. H. (2016).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with Organization Sile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5), 189-200. 

  9. Coomber, B. & Barriball, K. (2007). Impact of job satisfaction components on intent to leave and turnover for hospital based nurses: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4(2), 297-314. 

  10. Niehoff, B. P. & Moorman, R. H. (1993). Justice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thods of monitor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6(3), 527-556. 

  11. Greenberg, J. (1990). Employee theft as a reaction to underpayment injusti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 845-855. 

  12. Jeon, B. G. (2016).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13. Rubin, E. V. (2007). The role of procedural justice in public personnel management: Empirical results from the Department of Defense.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19(1), 125-143. 

  14. Lee, C. G. & Lee, D. J. (2012). An empirical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employee's attitude-investigating a moderation effect of job burnout.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5(8), 3375-3395. 

  15. Morrison, E. W. & Milliken, F. J. (2000). Organizational silence: A barrier to change and development in a pluralistic world.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5(4), 706-725. 

  16. Henriksen, K. & Dayton, E. (2006). Organizational silence and hidden threats to patient safety. Health services research, 41(4p2), 1539-1554. 

  17. Kim, Y. L. (2009).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hospital nurses, Master's degree, Ch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18. Milliken, F. J., Morrison, E. W. & Hewlin, P. F. (2003). An exploratory study of employee silence: Issues that employees don't communicate upward and why.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0(6), 1453-1476. 

  19. Cho, H. W. (2017). Organizational silence structure model of hospital nurse, Doctoral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Kyungnam. 

  20. Greenberg, J. & Lind, E. A. (2000). The pursuit of organizational justice: From conceptualization to implication to application. I/O psychology: What we know about theory and practice. Oxford, Englanf: Backwell. 72-105. 

  21. Go, D. Y. (2014). The effects of public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silence : Focusing on the korean coast guard,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22. Van Dyne, L. Ang, S. & Botero, I. C. (2003). Conceptualizing employee silence and employee voice as multimensional constructs.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0(6), 1359-1392. 

  23. Mobley, W. H., Horner, S. O. & Hollingsworth, A. T. (1978). An evaluation of precursors of hospital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3(4), 408. 

  24. Yolanda E. D. (2019). Work engagement, job satisfaction, and nurse turnover intention, Doctoral dissertation. Walden University, Minnesota. 

  25. Whiteside, D. B. & Barclay, L. J. (2013). Echoes of silence: Employee silence as a mediator between overall justice and employee outcomes. Journal of Business ethics, 116(2), 251-266. 

  26. Kim, M. H. (2017).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Turnover Intention in General Hospital Nurses, Doctoral dissertation. Dongeui University, Busan. 

  27. Lee, M. K. (2017). A study 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 of employee silence focusing on organizational justice, trust in supervis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8. Seo, B. S. (2016). Effect of the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on Organizational Silence. Doctoral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29. Kim, S, H., Choi, A. K. & Marc, N. (2017). A Study on Supervisor's Communication Styles and Employee's Silence. Korean Association of Secretarial studies, 26(2), 175-201. 

  30. Vakola, M. & Bouradas, D. (2005).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silence: an empirical investigation. Employee Relations, 27(5), 441-458. DOI ; 10.1108/01425450510611997 

  31. Baron, R. A. (1988). Negative effects of destructive criticism: Impact on conflict, self-efficacy, and task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3(2), 199-207. 

  32. Heo, S. G. (2018). The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of supervisors on organizational member's job engage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silence, and turnover intention, Doctoral dissertation. Incheon University, Incheon. 

  33. De Hoogh, A. H. & Den Hartog, D. N. (2008). Ethical and despotic leadership, relationships with leader's social responsibility, top management team effectiveness and subordinates' optimism: A multi-method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9(3), 297-3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