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숙아의 수유 프로토콜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Feeding Protocol for Preterm Infant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0 no.1, 2014년, pp.20 - 29  

이재영 (부산대학교병원) ,  손현미 (부산대학교 간호학과) ,  박경희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미숙아를 위한 수유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미숙아 수유 프로토콜의 개발을 위해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고, 문헌고찰과 협의를 통해 작성된 프로토콜에 대해 내용타당도 검증과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확정하였다. 개발된 프로토콜은 비동등성대조군 전후시차설계로 B시의 P대학교병원에서 태어난 37주 미만의 미숙아 85명에게 적용되었다. 대조군(n=38)에게 2013년 1월부터 4월까지 일반적인 미숙아 수유관리가 시행되었고, 실험군(n=35)에게는 2013년 6월부터 9월까지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미숙아 수유 프로토콜이 적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WIN program을 통하여 t-test와 ${\chi}^2$-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첫 수유시간(t=2.22, p =.029)과 완전장관영양에 이르는 기간(t=2.28, p =.026)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실험군과 대조군의 생후 7일째 체중 감소율(t=-1.23, p =.222)과 합병증 발생률(p >.05)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미숙아 수유 프로토콜 적용을 통하여 미숙아들의 첫 수유시간과 완전장관영양에 이르는 기간이 단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eeding protocol for premature infants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protocol. Methods: The feeding protocol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discussions of an expert group. The developed feeding protocol was tested with 85 preterm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미숙아의 생애초기 성장발달을 증진시키고자 의료진 간에 협의된 수유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이를 실험군에게 4개월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 수유 시간이 짧아졌으며, 완전장관영양에 도달에 하는 기간이 줄어들었다.
  • 본 연구는 미숙아의 수유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의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미숙아들의 수유과정을 체계화하는 미숙아 수유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양질의 간호를 제공함으로써 수유 프로토콜을 적용받은 미숙아의 첫 수유시간과 완전장관영양에 이르는 기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보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숙아 수유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미숙아 수유 프로토콜은 수유의 종류, 영양공급의 방법 및 수유문제시 대처방안의 3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분류에 따라 수행할 지침과 권장사항이 명시되어 있다. 수유의 종류에서는 모유수유를 일차적으로 권장하고, 필요시 사용할 수 있는 분유의 종류와 적응증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영양공급의 방법에서는 장관영양과 위관영양의 적응증, 증감방법 및 주의사항을 명시하였고, 수유문제시 대처방안에 대해서는 수유 불내증에 대한 증상과 관찰사항을 명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미숙아를 위한 수유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궁극적으로 미숙아의 생애초기 성장발달을 증진시키고자 수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미숙아의 수유 시작시점, 수유 종류와 증량 여부 및 수유 불내증의 감시방법에 대해 근거를 기반으로 한 미숙아 수유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실무를 변화시키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미숙아 수유 프로토콜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과 완전장관영양 도달 일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숙아란? 재태기간 37주 미만 또는 최종 월경일로부터 259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미숙아(prematurity) 또는 조산아(preterm infant)라고 하며 (WHO, 2011), 본 연구에서 미숙아란 재태기간 37주 미만으로 태어난 신생아를 말한다
미숙아가 영양부족으로 인하여 영유아기와 청소년기에 유발될 수 있는 질환은? 미숙아의 영양문제는 영아기 이환율과 사망률을 증가시키고, 장기적으로는 아동기와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1). 미숙아가 영양부족으로 인하여 유발될 수 있는 질환은 영·유아기에는 만성폐질환, 신경장애, 뇌성마비, 지능저하, 시력저하·상실, 청각장애, 학습·행동장애 등이 있으며, 청소년기에는 신장이 짧고, 골밀도가 낮은 성장 지연 등이 있다(Shin, 2003). 또한 성인기에는 고혈압이나 당뇨와 같은 대사질환 및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Kim, 2009).
미숙아 수유 프로토콜의 명확한 실무지침이 없으면 어떤 결과가 나타날 수 있는가? 또한 의료인들이 미숙아 수유를 관리할 수 있는 개요를 제공해주며, 안전하게 수유를 관리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준다(McGrath, 2009). 그러나 명확한 실무지침이 없으면 각각의 상황에 따라 의료진의 주관적인 판단이나 경험에 근거하여 미숙아 수유를 진행하게 되고, 이러한 방식은 간호를 제공하는 제공자 간 편차를 증가시킨다. 또한 신규 간호사나 경험이 부족한 수련의는 미숙아 수유에 대한 사정이나 적합한 판단이 곤란할 수 있으며, 교대근무를 하는 간호사나 매달 새로운 파트에서 훈련을 받게 되는 수련의들에게도 미숙아 수유관리에 어려움이 따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05). Breastfeeding and the use of human milk section on breastfeeding. Pediatrics, 115(2), 496-506. http:// dx.doi.org/10.1542/peds.2004-2491 

  2. Academy of Breastfeeding Medicine. (2011). ABM clinical protocol #10: breastfeeding the late preterm infant (340/7 to 366/7 weeks gestation). Breastfeeding Medicine, 6(3), 151-156. http://dx.doi.org/10.1089/bfm. 2011.9990 

  3. An, H. S. (2012). Hongchangui pediatrics (10th ed.). Seoul: Mirae-N. 

  4. Bankhead, R., Boullata, J., Brantley, S., Corkins, M., Guenter, P., Krenitsky, J., et al. (2009). Enteral nutrition administration. In: A.S.P.E.N. enteral nutrition practice recommendations. Journal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33(2), 149-158. http://dx.doi.org/10.1177/0148607108330314 

  5. Bertoncelli, N., Cuomo, G., Cattani, S., Mazzi, C., Pugliese, M., Coccolini, E., et al. (2012, March 17). Oral feeding competences of healthy preterm infants: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s, Article 896257. Received February 6, 2012, from http://dx.doi.org/10.1155/2012/896257 

  6. Dawes, M., Davies, P., Gray, A., Mant, J., Seers, K., & Snowball, R. (2005). Evidence-based practice: A primer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2th ed.).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7. Grossman, S., & Bautista, C. (2002). Collaboration yields cost-effective, evidence-based nursing protocols. Orthopaedic Nursing, 21(3), 30-36. 

  8. Jung, J. M., Han, S. W., Chung, M. L., Koo, S. H., Jeon, G. W., & Sin, J. B. (2011). The clinical effects of early trophic feeding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22(2), 122-128. 

  9. Keogh, S. J., & Courtney, M. (2001). Developing and implementing clinical practice tools: The legal and ethical implications. Australi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2), 14-19. 

  10. Kim, H. Y. (2005). Effects of a massage program on growth of premature infants and on 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the mothering role.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1(4), 381-389. 

  11. Kim, M. J. (2009). Fluid therapy and nutrition in micropremies. Hanyang Medical Reviews, 29(4), 306-314. 

  12. Kim, M. S., Kim, J. U., An Y. M., Bae, S. M., & Kim, M. J. (2003). The research on the breast feeding and its related factors of premature infant.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9(3), 272-284. 

  13. Kleinman, R. E. (2009). Pediatric nutrition handbook (6th ed.). USA: American Academy Pediatrics Committee on Nutrition. 

  14.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02). Mosby's medical, nursing, and allied health dictionary (6th ed.). Seoul: Hyunmoonsa. 

  15.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3, August 26). Internal statistics: Statistical Database: Population/Household: Population survey: Bitrh. Retrieved November 29, 2013,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 01List.jsp?vwcdMT_ZTITLE&parmTabIdM_01_01 

  16. Lee, W. R. (2000). Parenteral nutrition for the preterm infant.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11(2), 142-148. 

  17. Medhurst, A. (2005). Feeding protocols to improve the transition from gavage feeding to oral feeding in healthy premature infants: A systematic review. Evidence in Health Care Reports, 3(1), 1-25. 

  18. McCain, G. C., Gartside, P. S., Greenberg, J. M., & Lott, J. W. A. (2001). A feeding protocol for healthy preterm infants that shortens time to oral feeding. The Journal of Pediatrics, 139(3), 374-379. 

  19. McGrath, J. M. (2009). Working together to decrease neonatal complications. The Journal of Perinatal & Neonatal Nursing, 23(1), 6-7. http:// dx.doi.org/10.1097/JPN.0b013e31819685de 

  20. Park, H. R., & Park S. N. (2001). Effects of nonnutritive sucking on lingual lipase activity and body weight of low birth weight infants with bottle feeding.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7(2), 236-244. 

  21. Sankar, M. J., Agarwal, R., Mishra, S., Deorari, A. K., & Paul, V. K. (2008). Feeding of low birth weight infants. The Indian Journal of Pediatrics, 75(5), 459-469. 

  22. Schanler, R. J., Shulman, R. J., Lau, C., Smith, O., & Heitkemper, M. M. (1999). Feeding strategies for premature infants: Randomized trial of gastrointestinal priming and tube-feeding method. Pediatrics, 103(2), 434-439. 

  23. Shin, Y. H. (2003). Current status of Korean premature infant care and its prospective.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9(1), 96-106. 

  24. Simpson, C., Schanler, R. J., & Lau, C. (2002). Early introduction of oral feeding in preterm infants. Pediatrics, 110(3), 517-522. 

  25. The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2008). Manual of neonatal care (2th ed.). Seoul: Gwangmunsa. 

  26. Thoyre, S. M., Shaker, C. S., & Pridham, K. F. (2005). The early feeding skills assessment for preterm infants. Neonatal Network, 24(3), 7-16. 

  27. Tillett, J. (2009). Evidence-based medicine, guidelines, protocols, and optimal decision making. The Journal of Perinatal & Neonatal Nursing, 23(1), 3-5, http://dx.doi.org/10.1097/JPN.0b013e31819652a0 

  28. Villa, G., Manara, D., & Palese, A. (2012). Nurses' near-decision-making process of postoperative patients' cardiosurgical weaning and extubation in an Italian environment.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8, 41-49, http://dx.doi.org/10.1016/j.iccn.2011.10.007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Guidelines on optimal feeding of low birth-weight infants in low-and middle-income countries. Retrieved November 3, 2013, from http://www.who.int/maternal_child_adolescent/ documents/9789241548366.pdf 

  30. Yoon, H. S. (2009). Statistics and medical cost of preterm in Korea. Hanyang Medical Reviews, 29(4), 155-1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