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머와 관련된 국내 간호연구의 통합적 고찰
An Integrative Review on Nursing Studies Related to Humor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0 no.1, 2014년, pp.58 - 66  

김신정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김성희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이정은 (동남보건대학 응급구조과) ,  김혜영 (가톨릭상지대학교 간호학과) ,  유소영 (백석대학교 간호학과) ,  오진아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보고된 유머와 관련된 간호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고찰, 비평, 탐색, 논의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통합함으로써 유머와 관련된 간호연구의 속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아동을 대상으로 간호현장에서 유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과학적인 근거와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최근 20년간 유머와 관련된 국내 간호연구논문을 통합적 고찰 방법으로 분석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결과 유머와 관련된 국내 간호연구논문 13편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유머와 관련된 간호의 속성을 긴장완화를 위한 구체적인 도구의 사용, 즐거운 기분 유발로서 환자의 증상 완화, 유머를 활용한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업무향상이라는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유머는 스트레스, 질병 등의 위기상황에 놓인 아동을 도울 수 있는 간호중재로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임상상황에서 간호사들이 아동간호 시, 유머의 기능을 충분히 활용한다면 대상자의 안녕과 건강증진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유머란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며 시대와 사회 문화적 특성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되고 발달되어 간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scribe the attributes of nursing with humor based on an integrative review and to present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humor intervention programs for children. Methods: Using combinations of the terms 'nursing' and 'humor' as key words, the research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하여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국내에서 보고된 유머와 관련된 간호연구의 동향은 어떠한가?’, ‘유머와 관련된 간호의 속성은 무엇인가?’로 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간호현장에서 유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 그리하여본 연구는 급 · 만성질환이나 입원 아동을 대상으로 한 유머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까지의 유머와 관련된 국내 간호연구논문 13편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유머와 관련된 간호의 속성을 도출하였다.
  • 즉, 특정 주제에 대한 간호연구가 편향적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고, 체계적이고 명확하게 간호현상에 대한 개요와 결론을 속성이나 주제로 도출하여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에서 유머중재뿐만 아니라, 유머를 주제로 한 연구들을 분석하고 통합적으로 고찰하여 유머가 국내 간호연구에서 어떠한 속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아동간호 분야에서 유머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자료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또한 입원아동의 간호현장에서 유머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의미를 인식하고 있는 단계이므로 아동 대상의 유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먼저 유머와 관련된 연구를 고찰하고 그 속성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현재까지 국내 간호현장에서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유머를 다루었으며, 유머를 사용하였을 경우 어떤 효과가 있었는지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그 속성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체 분석 대상 연구논문에 대한 매트릭스를 Table 1에 제시하였다. 또한 보다 높은 추상적인 개념화를 위하여 각각의 내용이 다시 고찰되어 새로운 개념이 주요 자료들과 적절한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 본 연구는 유머와 관련된 국내 문헌을 바탕으로 유머 간호중재의 속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통합적 고찰을 실시한 것으로서 연구결과 나타난 유머 간호의 세 가지 속성을 중심으로 논의하면서 추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유머 간호중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근 20년간 유머와 관련된 국내 간호연구논문을 통합적 고찰 방법으로 분석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 이는 Whittmore와 Knafl (2005)이 제시한 4단계를 엄격하게 적용하여 연구의 부정확성이나 편향성, 혹은 엄밀성의 부족과 같은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노력한 결과라고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추후 유머를 아동을 위한 간호중재로 사용하는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되었다고 생각하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차적으로 국내에서 보고된 유머와 관련된 간호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고찰, 비평, 탐색, 논의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통합함으로써 유머와 관련된 간호연구의 속성을 도출하고자 함이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국내 간호현장에서 유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과학적인 근거와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연구자들은 초기 연구모임을 통해 연구의 범위와 연구의 목적을 명확히 기술하고 모든 연구자가 합의하는 과정을 거쳤는데, 유머는 시대와 국가, 문화와 정서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근거에 따라(Sim & Han, 2006) 국내의 유머관련 연구에 제한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차적으로 국내에서 보고된 유머와 관련된 간호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고찰, 비평, 탐색, 논의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통합함으로써 유머와 관련된 간호연구의 속성을 도출하고자 함이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국내 간호현장에서 유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과학적인 근거와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머를 정의한 모든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유머의 본질은? 유머는 사회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발달된 심리적 기술로서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이래로 철학자들의 관심 대상이었으며, 철학, 심리학, 인류학, 사회학 등 각 학문분야에서 다양하게 정의되었다. 유머를 정의한 모든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유머의 본질은 정신적인 자극으로부터 마음을 기쁘게 하는 의사소통의 한 형태라고 밝히고 있다 (Choi, Hwang, & Park, 2011). 특히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유머가 대처하고 적응하는 능력에 깊게 영향을 미친다고 하여 치료적 목적으로 도입되었다는 기록이 있다(Sim & Han, 2006).
유머가 아동을 간호하는 간호사들에게 비교적 쉽고 유용하며 입원 아동에게 매우 효과적인 중재방법인 이유는? 그 중 하나로 대상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입원 아동의 심리적 적응을 돕기 위한 유머중재가 관심을 받고 있다(Sim & Han, 2006). 아동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이들은 유머와 웃는 것을 좋아하며 즐거운 상황을 요하기 때문에 유머는 간호현장에서 아동을 간호하는 간호사들에게는 비교적 쉽고 유용하며 입원 아동에게는 매우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고려된다.
Whittemore와 Knafl의 통합적 고찰이 가지는 이점은 무엇인가? Whittemore와 Knafl (2005)의 통합적 고찰은 다양한 연구를 포괄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유일한 문헌고찰 연구방법이며 근거기반 간호 실무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하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즉, 특정 주제에 대한 간호연구가 편향적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고, 체계적이고 명확하게 간호현상에 대한 개요와 결론을 속성이나 주제로 도출하여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에서 유머중재뿐만 아니라, 유머를 주제로 한 연구들을 분석하고 통합적으로 고찰하여 유머가 국내 간호연구에서 어떠한 속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아동간호 분야에서 유머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자료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stedt-Kurki, P., & Liukkonen, A. (1994). Humor in nursing ca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 183-188. 

  2. Choi, J. Y., Hwang, I. Y., & Park, Y. M. (2012). Relationship among sense of humor, self-esteem, and performance in Nurs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1(1), 10-17, http://dx.doi.org/10.5807/kjohn. 2012.21,1,10 

  3. Dowling, J. S. (2002). Humor: A coping strategy for pediatric patients. Pediatric Nursing, 28(2), 123-131. 

  4. Hsieh, C., Hsiao, Y., Liu, S., & Chang, C. (2005). Positive psychological measure: Constructing and evaluat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chinese humor scale applicable to professional nursing.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3(3), 206-215. 

  5. Jang, H. J. (2011). Development of a respiratory nursing program using recorder playing for the patients with asthma and measurement of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1), 19-27. 

  6. Ju, S., Choi, S., & Nam, O. (2007). The effects of a music therapy program for autistic children in child day care cente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1), 114-122. 

  7. Jun, J., & Kim, M. (2004). A study on the nurses' appreciation and use of hum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6(3), 366-377. 

  8. Kim, H. J., & Suh, M. J. (1996). Effect of humor video tape on an anxiety, depression and coping of the impaired mobility patients.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0(2), 203-217. 

  9. Kim, J. (2013).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humor,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intention to turnov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2), 265-272, http://dx.doi.org/10.11111/jkana. 2013,19,2,265 

  10. Kim, K. H., & Lee, M. H. (1999). Effect of humor intervention program on anxiety, depression and coping of humor in hemodialysis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1), 95-108. 

  11. Lee, H. Y., & Kim, S. Y. (2010). The trends of nursing research on aromatherapy in Korea.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6(2), 85-95. 

  12. Lim, D. G. (2012). A study on fair use doctrine. Journal of institute for Culture, Media, and Entertainment Laws, 6(2), 3-33. 

  13. Littell, J. H., Corcoran, J., & Pillai, V. (2008). Systemic reviews and meta analysi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nc. 

  14. Martin, R. A. (2006). Psychology of Humor: An integrative approach. Amsterdam: Elsevier. 

  15. Min, S., Jung, Y., & Kim, H. (2004). Correlation between a sense of humor in nurses and their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17(4), 1427-1444. 

  16. Park, M. S.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humor, coping with humor, perceived stress and self-esteem in the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2(4), 418-429. 

  17. Perry, T. R. (2005). The certified registered nurse anesthetist: Occupational responsibilities, perceived stressors, coping strategies, and work relationships.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Nurse Anesthetists, 73(5), 351-356. 

  18. Robinson, V. M. (1978). Humor in nursing. In carson, C. E., & Blackwell, B. (Ed.). Behavioral concepts and nursing intervention (2nd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Williams and Wilkins. 

  19. Shin, B., Kim, H., & Lee, M. (2010). Effect of humorous video tape on depression and stress response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6(1), 35-43. 

  20. Sim, I. O., & Han, K. J. (2006). A study of humor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hospitalization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2(1), 114-121. 

  21. Sim, K. H., & Hwang, M. S. (2013). Effect of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based diabetes self management education on glycemic control in type 2 diabet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2), 127-136,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2,127 

  22. Song, S. L., Cho, M. S., Kim, J. H., Han, Y. K., & Yang, H. M. (2012). Evaluation of applications of adaptation of the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s patients with acute stroke.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1), 87-97, http://dx.doi.org/10.7739/jkafn.2012,19, 1,087 

  23. Suh, M. J., & Kim, K. S. (1993). A study on the sense of humor of the hospitalized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5(1), 72-84. 

  24. Suh, M. J., & Kim, K. S. (1994). Effect of humor nursing intervention on the stress response for the cancer patient undergoing chemotherapy.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2), 193-206. 

  25. Summers, A. D. (1990). Professional nurses' attitudes towards humour.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5, 196-200. 

  26. Whittmore, R., & Knafl, K. (2005).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2(5), 546-553. 

  27. You, E., & Choi, Y. H. (2012). The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pain and anxiety among patients with postmastectom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8(1), 47-52. 

  28. Yu, S. J., Yang, S., & Lee, J. E. (1999). Effects of humorous video tapes on mental health statu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psychiatric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8(2), 319-330. 

  29. Yu, S. J., & Yang, S., Lee, J. E., & Sohng, K. Y. (1996). Effects of humor intervention on anxiety and performance of administering injections in nursing students. Catholic Nursing, 17, 94-101. 

  30. Yu, S. J., Lee, J. E., & Lee, K. R. (2005). The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vital sign and emotional state in homes for the age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4(1), 55-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