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아상호작용 중재에 관한 국내 연구논문의 통합적 고찰
Integrative Review of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on Mother-Infant Interaction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0 no.2, 2014년, pp.75 - 86  

박선정 (삼육대학교 대학원) ,  김신정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강경아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기존 문헌의 체계적인 고찰을 통해 국내에서 영유아를 대상으로 수행된 모아상호작용에 관해 보고된 중재 연구의 특성과 중 재내용을 분석, 평가하여 최적의 중재를 적용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모아상호작용 중재 효과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결과 19편의 논문 중 18편(94.7%)이 비 무작위 대조연구(NRCCT)였고 1편은 단일군 사전사후설계연구이었다. 신생아 대상 논문이 9편, 미숙아 대상 논문이 5편, 장애 영아 대상 논문이 1편, 중환자실에 입원한 영아 대상 논문이 1편,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3편이었다. 모아상호작용에 적용한 중재연구를 내용 분석한 결과, 전신 마사지를 포함하여 총 6종류의 중재가 적용되었으며, 감각자극을 적용한 논문이 8편으로 가장 많았고, 교육 및 증진프로그램을 적용한 중재연구는 4편, 전신 마사지를 적용한 중재연구 3편, 캥거루식 돌보기를 적용한 논문 2편, 방문지원 1편, 음악요법 1편이었다. 결론 추후 연구에서는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통합적 문헌고찰에 적합한 연구설계를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모아상호작용 중재효과의 지속시기에 대한 연구가 수행됨으로 모아상호작용 증진에 보다 적합한 간호 중재임을 증명할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가 축적될 수 있어야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omponents and content of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on mother-infant interactions and to present strategies for future studies. Methods: Four electronic databases in the Korean language were searched to identify studies done between January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서 미숙아, 장애 영아,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 영아, 영유아를 대상으로 수행한 모아상호작용 중재연구의 특성과 내용을 분석하여 통합적 고찰을 실시함으로 아동간호 분야에서 모아상호작용영역에서 최적의 중재를 적용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진행되었다. 2000년 이후부터 국내에서 모아상호작용 중재를 내용으로 한 학위논문과 주요 학회지에 논문은 매년 증가하였으며 이는 아동의 건강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모아 관계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에 관심을 두면서 이에 대한 실험 연구가 점차 활발해진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관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실무 적용에 대한 연구가 점차 활발해진 것은 연구와 실무가 연계성을 가지고 발전되어야 하는 긍정적인 현상으로 여겨진다(OH & Lee, 2003).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모아상호작용 중재 효과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통합적 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기존 문헌의 체계적인 고찰을 통해 국내에서 영유아를 대상으로 수행된 모아상호작용에 관해 보고된 중재 연구의 특성과 중재내용을 분석, 평가하여 최적의 중재를 적용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기존 문헌의 통합적인 고찰을 통해 국내에서 수행된 모아상호작용에 관해 보고된 중재 연구를 분석, 평가하여 국내 모아상호작용 중재연구의 발전방향 제시를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모아상호작용 중재 효과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 각 연구의 의미 있는 결과를 통합한 결과 모아상호작용은 영유아의 최적의 성장 발달에 가장 기초가 되는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형태이며 모아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간호중재로 6가지 중재(감각자극, 교육 및 증진프로그램, 전신 마사지, 캥거루식 돌보기, 방문지원, 음악 요법)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각각의 중재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간호사의 역할이 필요하며 주 양육자에게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신생아, 미숙아, 중환자실의 입원 환아, 영유아 까지 다양한 발달단계에서 관찰이 중요하기 때문에 각각의 발달단계에 따른 교육은 일회성이 아니라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 2009). 본 연구에서 전신마사지 중재연구 분석결과 전신마사지는 모아상호작용 증진에 매우 유의한 효과가 있는 중재라는 근거자료가 제시되었다고 본다
  • 본 연구에서는 심사위원의 심사를 거쳐 학술지에 게재되었거나 학위논문으로 발표된 논문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Whittemore & Knafl, 2005), 연구자와 2인의 교수가 통찰력과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선정과 제외기준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질 평가의 목적은 분석대상 논문의 구체적 선정기준에 부합되는 연구를 대상으로 다양한 편향에 대한 안전성과 취약성을 확인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 과학적인 근거중심 간호 실무의 발전을 위해서는 연구결과를 축적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결과들을 체계적, 객관적으로 간호에 접목시켜야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모아상호작용 근거중심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통합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15년간 국내의 모아상호작용 중재방법 연구를 확인하여 그 결과들을 통합, 분석함으로써 근거중심 실무 프로그램 개발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첫째, 국내의 모아상호작용 중재 연구의 특성을 파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아 관계가 중요한 이유는? 모아 관계는 인간관계 중에서 가장 의미 있고 밀접한 최초의 관계이다(Kim, 2005). 양육의 일차적인 책임을 맡고 있는 어머니는 자녀의 성장, 발달에 필요한 도움을 제공하고 새로운 역할전환의 기회가 되며, 아동 입장에서는 생존에 필요한 여러 가지 욕구의 충족과 성장발달에 필요한 기본적 관계를 습득하는 기회가 된다(Kim, 2002)
모아 관계란? 모아 관계는 인간관계 중에서 가장 의미 있고 밀접한 최초의 관계이다(Kim, 2005). 양육의 일차적인 책임을 맡고 있는 어머니는 자녀의 성장, 발달에 필요한 도움을 제공하고 새로운 역할전환의 기회가 되며, 아동 입장에서는 생존에 필요한 여러 가지 욕구의 충족과 성장발달에 필요한 기본적 관계를 습득하는 기회가 된다(Kim, 2002)
모아상호작용의 특징은? 모아상호작용은 모아체계의 균형과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모아가 행동의 상호교류를 통해 끊임없이 반응하는 역동적 상호조절과정(Whitt & Casey, 1982)으로 아동과 어머니 사이의 성공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상호 이해도를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면서, 아동의 인지적, 사회 정서적 발달의 기본이 된다(Kim, 2005). 모아상호작용 과정은 긍정적인 것뿐 아니라 부정적 정서 교류도 나타나고 언어표현도 포함된다(Park & Park,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Y. M., & Lee, S. M. (2004).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NICU hospitalization education on maternal attachment, maternal self-esteem, and postpartum depression in the mothers of high-risk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0(3), 340-349. 

  2. Bang, K. S. (2001). Effects of maternal role education program on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infant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7(1), 21-34. 

  3. Barnard, K. E. (1978). NCAST: Nursing child assessment satellite training: Learning resource manual. Seattle, WA: University of Washington. 

  4. Cho, K. J., Lee, S. N., Lee, M. H., & Ji, E. S. (2009). Effects of group meridian massage on infants growth and on mother-infant interaction, mother-infant attachment, and mothering role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1), 88-96. http://dx.doi. org/10.4094/jkachn.2009.15.1.88 

  5. Choi, S. Y., & Kim, Y. H. (2003). The effect of infant massage on motherinfant play intera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6), 823-831. 

  6. Cochrane. (2010, April 16). Arailable. Retrieved July 20, 2010, from http:// www.cc-ims.net/revman/download 

  7. Coleman, P., & Karraker, K. (1998). Self-efficacy parenting quality: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 Developmental Review, 18(1), 47-85. http:// dx.doi.org/10.1006/19970448 

  8. Han, K. J., & Kwon, M. K. (2007). Effects of a mother-fetus interaction promotion program on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during feed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2), 191-200. 

  9. Hertenstein, M. J. (2002). Touch: Its communicative functions ininfancy. Human Development, 45, 70-94. http://dx.doi.org/10.1159/000048154 

  10. Higgins, J. P. T., & Green, S. (2008). Cochrane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The Cochrane collaboration. Retrieved December 27, 2011, from http://www.cochrane-handbook.org. 

  11. Im, H. S., & Park, E. S. (2006). Effects of yakson therapy on maternal attachment and attachment behavior in mother of preterm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2(2), 204-214. 

  12. Jang, G. J. (2005). The effects of sensory stimulation on mother-infant interaction, maternal self-esteem and infant tempera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1(1), 117-124. 

  13. Jang, G. J. (2007). The effects of multimodal sensory stimulation combined with chiropractic therapy on growth and mother-infant interaction in low birth weight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1), 33-42. 

  14. Jang, M. Y. (2009). Effects of kangaroo care on growth in premature infants and on maternal attach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4), 335-342. DOI: 10.4094/jkachn.2009.15.4.335 

  15. Kim, J. S. (2002). The effect of mother-fetus interaction promotion program of talking and tactual stimulation on mother-fetus interaction and mother-infant play interaction.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5(2), 253-276. 

  16. Kim, M. Y., Jang, G. J., & Kim, S. H. (2004). Effects of sensory stimulation program conducted by primipara on the physical growth and motherinfant feeding interaction for full term infa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5), 820-828. 

  17. Kim, M. Y., Kim, S. H., & Jang, G. J. (2004). The effect of sensory stimulation on mother-infant interaction in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0(2), 180-187. 

  18. Lee, K. J., Chang, C. J., & Jo, H. S. (2003). The effects of a full body massage on Apgar score, postparturm mother's childbirth experience and mother-infant attachment.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9(4), 359-367. 

  19. Lee, S. B., & Shin, H. S. (2007). Effects of kangaroo care on anxiety,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maternal infant attachment of mothers who delivered preterm infants. Journal of Korea Academy of Nursing, 37(6), 949-956. 

  20. Lee, S. M. (2010).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postpartum blues and maternal attachment of puerperal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1), 60-68. http://dx.doi.org/10.4040/jkachn.2010.40.1.60 

  21. Oh, J. N., & Lee, J. H. (2003). An analysis of nursing research related to the mother-child interac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9(2), 149-161. 

  22. Park, S. S., & Park, J. Y. (2007). The effects of a home visit family support program for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the child-mother interaction behaviors. 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7(3), 93-110. 

  23. Snyder, M., Egan, E. C., & Burns, K. R. (1995). Efficacy of hand massage in decreasing agitation behaviors associated with care activities in persons with dementia. Geriatric Nursing, 16(2), 60-63. http://dx.doi. org/10.101650197-4572(Q5)800005-9 

  24. Sung, M. H., Choi, M. R., & Um, O. B. (2010). Effects of early contact on maternal infant attachment.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6(2), 177-185. http://dx.doi.org/10.4069/kjwhn.2010.16.2.177. 

  25. Sung, M. H., & Kim, M. K. (2005). A study of the effects of behavior contact in early mother-infant attach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5), 842-849. 

  26. Sung, Y. H. (2004). Enhancing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through theraplay: Analysis the MIM (Marschak interaction method).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Earth Childhood Education, 9(4), 375-390. 

  27. Whitt, J. K., & Casey, P. H. (1982). The mother-infant relationship and development: The effect of pediatric intervention. Child Development, 53, 948-956. http://dx.doi.org/10.2307/1129133 

  28. Whittemore, R., & Knafl, K. (2005).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2(5), 546-551. http:// dx.doi.org/10.1111/j.1365-2648.2005.036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