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AW 264.7 세포에서 발효 울금 추출물의 면역조절 효과
Immunomodulatory Effects of Fermented Curcuma longa L. Extracts on RAW 264.7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2, 2014년, pp.216 - 223  

유선아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  김옥경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  남다은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  김용재 (한국인스팜(주) 중앙연구소) ,  백흠영 (한국인스팜(주) 중앙연구소) ,  전우진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정민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울금의 선호도 및 이용율을 높이기 위해 Aspergillus oryzae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용매별 추출을 통하여 얻은 발효 울금 추출물들을 사용하여 면역조절 효과를 살펴보았다. MTT assay를 이용하여 실온 추출물 $200{\mu}g/mL$, 열수 추출물 $400{\mu}g/mL$, 20% 주정 추출물 $200{\mu}g/mL$, 80% 주정 추출물 $100{\mu}g/mL$의 농도가 적정하다고 판단되어 추후 실험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면역조절 효과를 보고자 대식세포의 탐식작용 능력, nitric oxide(NO), TNF-${\alpha}$ 생성, NK 세포 활성, SC-1 세포에서 발현되는 LP-BM5 virus의 LP-BM5 eco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였다. NK 세포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NK 세포는 YAC-1 세포에 대한 cytotoxity를 관찰했을 때 20% 주정 추출물이 가장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발효 울금 추출물 중 열수 추출물과 20% 주정 추출물은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탐식능력을 증가시켰다. NO 생성을 관찰했을 때 발효 울금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80% 주정 추출물을 제외한 추출물에서 TNF-${\alpha}$ 생성을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SC-1 세포에 있는 LP-BM5 eco 유전자 발현을 비교하여 바이러스 복제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으며, 특히 20% 주정 추출물이 가장 많이 억제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발효 울금이 면역조절 효과를 가진 천연 기능성 소재로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cuma longa L. (CL) is a well known traditional medicinal plant that is also used in curries and mustards as a coloring and flavoring agent. However, CL is not usually used as a food source due to its bitter taste. We investigated the immunomodulatory effect of CL fermented by Aspergillus oryza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주로 울금의 커큐민 성분에 대해 많은 기능성 연구가 보고되어져 왔으나 발효 울금에 대한 연구로는 간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15), 항비만(24), 피부 관련 생리활성 효과(25) 등으로 미비하게 진행되었으며 면역조절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효 울금의 용매별 추출물을 이용하여 면역 조절에 효능을 확인하고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발효 울금 추출물의 처리만으로 대식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과 NO와 TNF-α의 분비량을 측정함으 로써 면역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 NK 세포는 interferon이나 대식세포 유래 cytokines에 의하여 활성화 되며 MHC class І 발현의 변화를 인식하여 비 감염세포에 대한 활성화를 막음으로써 감염세포만 선택적으로 세포사 멸을 유도시킨다(32). 본 연구에서는 암세포인 YAC-1 세포를 사용하여 NK 세포의 YAC-1 세포 사멸 효능을 측정함으 로써 NK 세포의 활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열수 추출물과 20% 주정 추출물에서 각각 2배, 4배 가까운 유의적 활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울금의 선호도 및 이용율을 높이기 위해 Aspergillus oryzae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용매별 추출을 통하여 얻은 발효 울금 추출물들을 사용하여 면역조절 효과를 살펴보았다. MTT assay를 이용하여 실온 추출물 200 μg/mL, 열수 추출물 400 μg/mL, 20% 주정 추출물 200 μg/mL, 80% 주정 추출물 100 μg/mL의 농도가 적정하다고 판단되어 추후 실험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 이러한 뛰어난 생리적 활성을 지닌 울금은 특유의 맛과 향으로 인해 이용률이 낮아 산업적으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번 연구에서 A. oryzae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각 용매별로 추출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발효 울금 추출물에서도 면역 조절 효능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 다. 따라서 RAW 264.
  • 울금의 뿌리 에서 추출된 커큐민(curcumin)은 가장 대표적인 성분으로 항균활성과 항산화효과(17,19), 항염증(20), 항암(21), 면역조절(14,22,23) 등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울금의 여러 기능성에도 불구하고 쓴맛, 강한 향으로 인해 소비자 선호와 이용률이 낮아지고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는 Aspergillus oryzae를 이용하여 맛과 향을 개선한 발효 울금 추출물의 기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주로 울금의 커큐민 성분에 대해 많은 기능성 연구가 보고되어져 왔으나 발효 울금에 대한 연구로는 간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15), 항비만(24), 피부 관련 생리활성 효과(25) 등으로 미비하게 진행되었으며 면역조절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 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울금은 무엇인가? 이러한 천연물 중 하나인 울금(Curcuma longa L., tumeric)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노란색 향신료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염료와 식품의 착색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중국, 인도, 일본 등 다른 아시아 국가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14-18). 울금의 뿌리 에서 추출된 커큐민(curcumin)은 가장 대표적인 성분으로 항균활성과 항산화효과(17,19), 항염증(20), 항암(21), 면역조절(14,22,23) 등이 보고되고 있다.
면역작용은 어떻게 나눌 수있는가? 인체는 외부 병원체 등의 각종 외부 물질의 침입을 식별하고 이를 제거함으로써 몸을 보호하며 항상성을 유지하는 자기방어체계인 면역작용을 한다(1). 이러한 면역작용은 면역을 억제 조절하는 면역 관용과 면역을 증진하는 면역반응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두 가지의 면역작용에 의하여 면역조절, 즉 항상성이 이루어진다.
울금 추출물 제조 방법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oryzae를 접종한 후 발효조를 20분 회전하여 혼합하고 25±2°C, 습도 50±5%에서 36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추출물 제조는 분말상태인 시료에 용매(정제수, 20% 에탄올, 80% 에탄올)를 첨가하고 실온 추출물(CW) 제조는 실온에서 5시간 추출, 열수 추출물(HW) 제조는 100°C에서 4시간 추출, 20% 주정 추출물(20% EtOH) 제조는 95°C에서 4시간 추출, 80% 주정 추출물(80% EtOH) 제조는 75°C에서 4시간 추출 후, 감압여과 장치에서 뜨거운 상태로 여과한후 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추출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 건조 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Hogquist KA, Baldwin TA, Jameson SC. 2005. Central tolerance: learning self-control in the thymus. Nat Rev Immunol 5: 772-782. 

  2. Banchereau J, Steinman RM. 1998. Dendritic cells and the control of immunity. Nature 392: 245-252. 

  3. Gonzalez-Rey E, Chorny A, Delgado M. 2007. Regulation of immune tolerance by anti-inflammatory neuropeptides. Nat Rev Immunol 7: 52-63. 

  4. Rosenthal AS. 1978. Determinant selection and macrophage function in genetic control of the immune response. Immunol Rev 40: 136-152. 

  5. Huber C, Batchelor JR, Fuchs D, Hausen A, Lang A, Niederwieser D, Reibnegger G, Swetly P, Troppmair J, Wachter H. 1984. Immune response-associated production of neopterin. Release from macrophages primarily under control of interferon- gamma. J Exp Med 160: 310-316. 

  6. Shevach EM, Rosenthal AS. 1973. Function of macrophages in antigen recognition by guinea pig T lymphocytes. II. Role of the macrophage in the regulation of genetic control of the immune response. J Exp Med 138: 1213-1229. 

  7. Ding AH, Nathan CF. 1988. Release of reactive nitrogen intermediates and reactive oxygen intermediates from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comparison of activating cytokines and evidence for independent production. J Immunol 141:2407-2412. 

  8. Sharma JN, Al-Omran A, Parvathy SS. 2007. Role of nitric oxide in inflammatory diseases. Inflammopharmacol 15: 252-259. 

  9. Korhonen R, Lahti A, Kankaanranta H, Molianen E. 2005. Nitric oxide productional and signaling in inflammation. Curr Drug Targets 4: 471-479. 

  10. Medzhitov R, Janeway CA JR. 1997. Innate immunity: impact on the adaptive immune response. Curr Opin Immunol 9: 4-9. 

  11. An CS, Jin HL, Jeon YH, Bak JP, Kim JD, Yoon JH, Lim BO. 2010. Immunoregulatory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Inonotus obliquus i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damage animal model. Kor J Med Cro Sci 18: 1-8. 

  12. Chace JH, Hooker NA, Mildenstein KL, Krieg AM, Cowdery JS. 1997. Bacterial DNA-induced NK cell IFN-gamma production is dependent on macrophage secretion of IL-12. Clin Immunol Immunopathol 84: 185-193. 

  13. Tong H, Song X, Sun X, Sun G, Du F. 2011. Immunomodulatory and antitumor activities of grape seed proanthocyanidins. J Agric Food Chem 21: 11543-11547. 

  14. Gao X, Kuo J, Jiang H, Deeb D, Liu Y, Divine G, Chapman RA, Dulchavsky SA, Gautam SC. 2004.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curcumin: suppression of lymphocyte proliferation, development of cell-mediated cytotoxicity, and cytokine production in vitro. Biochem Pharmacol 68: 51-61. 

  15. Kim YJ, You YH, Jun WJ. 2012.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fermented Curcuma longa L. on galactosamine-intoxicat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790-795. 

  16. Kim MS, Chun SS, Kim SH, Choi JH. 2012. Effect of tumeric (Curcuma longa) on bile acid and UDP-glucuronyl transferase activity in rats fed a high-fat and cholesterol diet. J Life Sci 22: 1064-1070. 

  17. Kim HJ, Lee JW, Kim YD. 2011.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oxidant effect of Curcuma longa, Curcuma aromatica and Curcuma zedoaria. Korean J Food Preserv 18: 219-225. 

  18. An BJ, Lee JY, Park TS, Pyeon JR, Bae HJ, Song MA, Baek EJ, Park JM, Son JH, Lee CH, Choi KI. 2006.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in Curcuma longa 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 168-172. 

  19. Selvam R, Subramanian L, Gayathri R, Angayarkanni N. 1995.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umeric (Curcuma longa). J Ethnopharmacol 47: 59-67. 

  20. Chainani-Wu N. 2003. Safety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urcumin: a component of tumeric (Curcuma longa). J Altern Complement Med 9: 161-168. 

  21. Ryu SR, Han KJ, Jang HD. 2005.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effectiveness components from ulgeum (Curcuma longa) & the test study of anticancer effects that use its. Appl Chem 9: 69-72. 

  22. Varalakshmi Ch, Ali AM, Pardhasaradhi BV, Srivastava RM, Singh S, Khar A. 2008. Immunomodulatory effects of curcumin: in vivo. Int Immunopharmacol 8: 688-700. 

  23. Srivastava RM, Singh S, Dubey SK, Misra K, Khar A. 2011. Immunomodulatory and therapeutic activity of curcumin. Int Immunopharmacol 3: 331-341. 

  24. Ho JN, Jang JY, Yoon HG, Kim Y, Jun W, Lee J. 2012. Anti-obesity effect of a standardized ethanol extract from Curcuma longa L.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in ob/ob mice and primary mouse adipocytes. J Sci Food Agric 92: 1833-1840. 

  25. Oh SJ, Mo JH. 2013. A study on skin related physiological activity of Curcuma longa and fermented Curcuma longa extracts. J Korean Soc Beauty and Art 14: 185-195. 

  26. Ghosh DK, Stuehr DJ. 1995. Macrophage NO synthase: characterization of isolated oxygenase and reductase domains reveals a head-to-head subunit interaction. Biochemistry 34: 801-807. 

  27. Szabo C. 1995. Alterations in nitric oxide production in various forms of circulatory shock. New Horiz 3: 2-32. 

  28. Nam SH, Rhee YK, Hong HD, Lee YC, Kim YC, Shin KS, Cho CW. 2012.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the crude polysaccharide from wild ginseng adventitious root. Korean J Food & Nutr 25: 755-761. 

  29. Kim JJ, Lee HJ, Yee ST. 2012. Effect of Pueraria thunbergiana extracts on the activation of immune cells. J Life Sci 22: 1107-1113. 

  30. Tracey KJ, Cerami A. 1994. Tumor necrosis factor: a pleiotropic cytokine and therapeutic target. Annu Rev Med 45: 491-503. 

  31. Bisht K, Choi WH, Park SY, Chung MK, Koh WS. 2009. Curcumin enhances non-inflammatory phagocytic activity of RAW 264.7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379: 632-636. 

  32. Dokun AO, Kim S, Smith HR, Kang HS, Chu DT, Yokoyama WM. 2001. Specific and nonspecific NK cell activation during virus infection. Nat Immunol 2: 951-956. 

  33. Chattopadhyay SK, Sengupta DN, Fredrickson TN, Morse HC 3rd, Hartley JW. 1991. Characteristics and contributions of defective, ecotropic, and mink cell focus-inducing viruses involved in a retrovirus-induced immunodeficiency syndrome of mice. J Virol 65: 4232-42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