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연안 갈조류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효과
Cytoprotective Effects of Phaeophyta Extracts from the Coast of Jeju Island in HT-22 Mouse Neuronal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2, 2014년, pp.224 - 230  

신동범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은혜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성수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암, 항염증 및 비만억제 등의 생리활성을 지닌 해조류는 최근 건강기능 식품, 기능성 화장품 그리고 의약품 산업 분야에서 미용과 건강식품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0종의 갈조류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능과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A{\beta}$)의 신경독성에 대한 HT-22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조사함으로써 천연물로부터 안전하고 새로운 신경세포 보호소재를 개발해내고자 한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미역쇠를 포함한 8종의 갈조류에서는 비교적 낮은 활성산소 소거능을 보인 반면, 감태와 패에서 강력한 활성산소 소거능이 나왔다. $A{\beta}$의 신경독성에 대해 10종의 갈조류 추출물이 갖는 HT-22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분석과 APP, BACE1, iNOS 단백질의 발현양상 및 ERK1/2, p38, JNK1/2 단백질의 활성화 양상을 분석했다. MTT 분석 결과, $A{\beta}$의 신경독성으로부터 미역쇠가 $25{\mu}g/mL$의 농도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세포를 보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알쏭이모자반, 불레기말, 바위수염, 짝잎모자반도 세포 보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보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5종의 갈조류를 가지고 수행한 단백질 발현분석 결과, 미역쇠는 $A{\beta}$의 신경독성에 의해 HT-22 신경세포에서 발현되는 단백질인 BACE1과 iNOS의 발현을 저해하였다. 이는 미역쇠의 세포보호효과가 $A{\beta}$의 신경독성으로부터 일어난 ERK와 p38의 활성화에 연관된 세포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특히 식용 갈조류인 미역쇠는 $A{\beta}$에 의해 유도된 신경독성에 대해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갖는 건강기능 식품 소재로서의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rine algae have long been recognized as a health and beauty food, based on its anti-tumor, anti-inflammatory and anti-obesity activities. In this study, methanol extracts were prepared from 10 different phaeophyta, after which DPPH radical scavenging and cytoprotective activities of HT-22 cells 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제주 연안에서 자생하는 해조류 중 갈조류 10종의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활성산소 소거능과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Aβ)이라는 신경독성 유발물질에 대한 HT-22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관찰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10종의 갈조류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능과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Aβ)의 신경독성에 대한 HT-22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조사함으로써 천연물로부터 안전하고 새로운 신경세포 보호소재를 개발해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Aβ의 신경독성으로 인해 신경세포에서 활성화된 MAP kinase의 저해양상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갈조류 10종의 메탄올 추출물과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합성 항산화제인 BHA를 대조군으로 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해 보았다(Fig. 1). 그 결과 대 조군은 8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태의 분획물에서는 어떤 효과를 나타내었는가? 그리고 제주도 연안에서 서식하는 갈조류를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을 탐색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고리매 추출물이 인간 혈액암 세포주인 HL-60 세포 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나타났고(5), 미역쇠 추출물은 생쥐의 3T3-L1 세포와 B16/F10 세포에서 각각 항비만 및 미백활성이 밝혀져 미용 기능성 식품으로의 가능성도 제기 되고 있다(6,7). 또한 갈조류의 효소적 가수분해 방법을 이 용한 추출물에 관한 연구에서는 과산화수소로부터의 활성 산소 소거능이 90%로 높게 나타났고 50%의 DNA 손상을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냈으며(8), 감태의 분획물에서는 암세 포의 증식억제 효과가 있었고 항산화 효과도 합성 항산화제 인 BHA, BHT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9). 비틀대모자반으로부터 얻은 farnesylacetone 유도체는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저하시키는 cholinesterase의 두 가지 형태인 acetylcholinesterase와 butyrylcholinesterase를 억제시켜 치매 예방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10).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병리학적 특징은 무엇인가? 알츠하이머병의 병리학적 특징으로는 신경세포 외부에 축적되는 노인반점(senile plaques)과 신경세포의 세포체 내에 엉켜진 신경섬유덩어리(neurofibrilary tangles)를 들 수 있다. 이 중 노인반점의 생성은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amyloid precursor protein; APP)의 용해과정에서 유래된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β-amyloid protein; Aβ)의 축적에 의하며 축적된 Aβ가 신경세포에 독성으로 작용하여 신경세포에서 염증반응이 촉진되고 결국 신경세포의 사멸을 일으키게 된다.
제주도 연안에서 서식하는 갈조류를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특히 갈조류는 항암과 항염증 생리활성을 갖는 fucoidan과 laminarin이라는 각각의 성분이 알려져 있다(3,4). 그리고 제주도 연안에서 서식하는 갈조류를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을 탐색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고리매 추출물이 인간 혈액암 세포주인 HL-60 세포 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나타났고(5), 미역쇠 추출물은 생쥐의 3T3-L1 세포와 B16/F10 세포에서 각각 항비만 및 미백활성이 밝혀져 미용 기능성 식품으로의 가능성도 제기 되고 있다(6,7). 또한 갈조류의 효소적 가수분해 방법을 이 용한 추출물에 관한 연구에서는 과산화수소로부터의 활성 산소 소거능이 90%로 높게 나타났고 50%의 DNA 손상을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냈으며(8), 감태의 분획물에서는 암세 포의 증식억제 효과가 있었고 항산화 효과도 합성 항산화제 인 BHA, BHT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Lee YP, Kang SY. 2001. A catalogue of the seaweeds in Korea. Jeju National University Press, Jeju, Korea. p 477. 

  2. Cha SH, Ahn GN, Heo SJ, Kim KN, Lee KW, Song CB, Cho SK, Jeon YJ. 2006. Screening of extracts from marine green and brown algae in Jeju for potential marine angiotensin-1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307-314. 

  3. Noda H, Amano H, Arshima K, Hashimoto S, Nisizawa W. 1989. Studies on the antitumor activity of marine algae. Bull Japan Soc Sci Fish 55: 1259-1264. 

  4. Schwartsmann G, Brondani da Rocha A, Berlinck RG, Jimeno J. 2001. Marine organisms as a source of new anticancer agents. Lancet Oncol 2: 221-225. 

  5. Kim SC, Park SY, Hyoun JH, Cho H, Kang JH, Lee YK, Park DB, Yoo ES, Kang HK. 2004. The cytotoxicity of Scytosiphon lomentaria against HL-60 promyelocytic leukemia cells. Cancer Biother Radiopharm 19: 641-648. 

  6. Kang SI, Kim MH, Shin HS, Kim HM, Hong YS, Park JG, Ko HC, Lee NH, Chung WS, Kim SJ. 2010. A water- soluble extract of Petalonia binghamiae inhibits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regulators in 3T3-L1 preadipocytes and reduces adiposity and weight gain in rats fed a high-fat diet. J Nutr Biochem 21: 1251-1257. 

  7. Yoon HS, Koh WB, Oh YS, Kim IJ. 2009. The anti-melanogenic effects of Petalonia binghamiae extracts in $\alpha$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induced B16F10 murine melanoma cell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2: 564-567. 

  8. Heo SJ, Park EJ, Lee KW, Jeon YJ. 2005. Antioxidant activities of enzymatic extracts from brown seaweeds. Bioresour Technol 96: 1613-1623. 

  9. Athukorala Y, Kim KN, Jeon YJ. 2006. Antiproliferative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an enzymatic hydrolysate from brown alga, Ecklonia cava. Food Chem Toxicol 44: 1065-1074. 

  10. Ryu G, Park SH, Kim ES, Choi BW, Ryu SY, Lee BH. 2003. 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of two farnesylacetone derivatives from the brown alga Sargassum sagamianum. Arch Pharm Res 26: 796-799. 

  11. Panayi AE, Spyrou NM, Iversen BS, White MA, Part P. 2002. Determination of cadmium and zinc in Alzheimer's brain tissue us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Neurol Sci 195: 1-10. 

  12. Selkoe DJ. 2001. Alzheimer's disease: genes, proteins, and therapy. Physiol Rev 81: 741-756. 

  13. Selkoe DJ. 1999. Translating cell biology into therapeutic advances in Alzheimer's disease. Nature 399: A23-A31. 

  14. Hardy J, Duff K, Hardy KG, Perez-Tur J, Hutton M. 1998. Genetic dissection of 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ementias: amyloid and its relationship to tau. Nat Neurosci 1: 335-338. 

  15. Law A, Grauthier S, Quirion R. 2001. Say NO to Alzheimer's disease: the putative links between nitric oxide and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Brain Res Rev 35: 73-96. 

  16. Jang JH, Surh YJ. 2005. AP-1 mediates $\beta$ -amyloid-induced iNOS expression in PC12 cells via the ERK2 and p38 MAPK signaling pathways. Biochem Biophys Res Commun 331: 1421-1428. 

  17. Yankner BA, Duffy LK, Kirschner DA. 1990. Neurotrophic and neurotoxic effects of amyloid (beta) protein: reversal by tachykinin neuropeptides. Science 250: 279-282. 

  18. Lehericy S, Hirsch EC, Cervera-Pierot P, Hersh LB, Bakchine S, Piette F, Duyckaerts C, Hauw JJ, Javoy-Agid F, Agid Y. 1993. Heterogeneity and selectivity of the degeneration of cholinergic neurons in the basal forebrain of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J Comp Neurol 330: 15-31. 

  19. Nunan J, Small DH. 2000. Regulation of APP cleavage by alpha-, beta- and gamma-secretases. FEBS Lett 483: 6-10. 

  20. Ling Y, morgan K, Kalsheker N. 2003.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and the biology of proteolytic processing: relevance to Alzheimer's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5: 1505-1535. 

  21. Fukumoto H, Cheung BS, Hyman BT, Irizarry MC. 2002. Beta-secretase protein and activity are increased in the neocortex in Alzheimer disease. Arch Neurol 59: 1381-1389. 

  22. Vassar R, Bennett BD, Babu-Khan S, Kahn S, Mendiaz EA, Denis P, Teplow DB, Ross S, Amarante P, Loeloff R, Luo Y, Fisher S, Fuller J, Edenson S, Lile J, Jarosinski MA, Biere AL, Curran E, Burgess T, Louis JC, Collins F, Treanor J, Rogers G, Citron M. 1999. Beta secretase cleavage of Alzheimer's amyloid precusor protein by the transmembrane aspartic protease BACE. Science 286: 735-741. 

  23. Hartlage-Rubsamen M, Zeitschel U, Apelt J, Gartner U, Franke H, Stahl T, Gunther A, Schliebs R, Penkowa M, Bigl V, Rossner S. 2003. Astrocytic expression of the Alzheimer's disease beta-secretase (BACE1) is stimulusdependent. Glia 41: 169-179. 

  24. Jang CH, Jung MW, Mook-Jung I. 2001. Enzymes for beta amyloid generation and their therapeutic applications for Alzheimer's disease. Kor J Brain Sci Tech 1: 45-52. 

  25. Robinson MJ, Cobb MH. 1997.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athways. Curr Opin Cell Biol 9: 180-186. 

  26. English JM, Cobb MH. 2002. Pharmacological inhibitors of MAPK pathways. Trends Pharmacol Sci 23: 40-45. 

  27. Harper SJ, LoGrasso P. 2001. Signaling for survival and death in neurones: the role of stress-activated kinases, JNK and p38. Cell Signal 13: 299-310. 

  28. Swaton JE, Sellers LA, Faull RLN, Holland A. 2004. Increased MAP kinase activity in Alzheimer's and Down syndrome but not in schizophrenia human brain. Eur J Neurosci 19: 2711-2719. 

  29. Frasca G, Chiechio S, Vancheri C, Nicoletti F, Copani A, Angela Sortino M. 2004. Beta-amyloid-activated cell cycle in SH-SY5Y neuroblastoma cells: correlation with the MAP kinase pathway. J Mol Neurosci 22: 231-236. 

  30. Rinaldi P, Polidori MC, Metastasio A, Mariani E, Mattioli P, Cherubini A, Catani M, Cecchetti R, Senin U, Mecocci P. 2003. Plasma antioxidants are similarly depleted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in Alzheimer's disease. Neurobiol Aging 24: 915-919. 

  31. Mary S. 2002. Do dietary antioxidants prevent Alzheimer's disease? The Lancet Neurology 1: 342. 

  32. Michael H, Bernd LF, Gunter S, Klaus L, Joachim B. 1999. Anti-inflammatory substances - a new therapeutic option in Alzheimer's disease. Drug Discovery Today 4: 275-282. 

  33. Pasinetti GM, Aisen PS. 1998. Cyclooxygenase-2 expression is increased in frontal cortex of Alzheimer's disease brain. Neuroscience 87: 319-324. 

  34. Blois M.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35. Carm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Minna JD, Mitchell J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radiosensitivity. Cancer 47: 943-946. 

  36. Schagger H, Jagow G. 1989. Tricine-sodium dodes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for the separation of proteins in the range from 1 to 100 kDa. Anal Biochem 66:368-379. 

  37. Ruperez P, Ahrazem O, Leal JA. 2002. Potential antioxidant capacity of sulfated polysaccharides from the edible marine brown seaweed Fucus vesiculosus. J Agric Food Chem 50:840-845. 

  38. Yon XJ, Li XC, Zhou CX, Fan X. 1996. Prevention of fish oil rancidity by phlorotannins from Sargassum kjellmanianum. J Appl Phycol 8: 201-203. 

  39. Park KE, Jang MS, Lim CW, Kim YK, Seo Y, Park HY. 2005. Antioxidant activity on ethanol extract from boiledwater of Hizikia fusiformi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435-439. 

  40. Kim JA, Lee JM. 2004. The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Ecklonia cava according to the drying methods. J Korean Home Econom Assoc 42: 193-203. 

  41. Kim ES, Choi SJ, Ryu BH, Choi JH, Oh MS, Park WJ, Choi YW, Paik DH, Ha KC, Kang DO, Cho YK, Park KT, Moon JY. 2006. Protective effects of Hemerocallis fulva extracts on amyloid $\beta$ -protein-induced death in neuronal cells. J Korean Oriental Med 27: 122-133. 

  42. Park JC, Choi JS, Song SH, Choi MR, Kim KY, Choi JW. 1997. Hepatoprotective effect of extracts and phenolic compound from marine algae in bromobenzene-treatead rats. Kor J Pharmacogn 28: 239-246. 

  43. Kang KA, Lee KH, Chae S, Zhang R, Jung MS, Lee Y, Kim SY, Kim HS, Joo HG, Park JW, Ham YM, Lee NH, Hyun JW. 2005. Eckol isolated from Ecklonia cava attenuates oxidative stress induced cell damage in lung fibroblast cells. FEBS Lett 579: 6295-6304. 

  44. Jeon SY, Bae KH, Seong YH, Song KS. 2003. Green tea catechin as a BACE1 ( $\beta$ -secretase) inhibitor. Bioorg Med Chem Lett 13: 3905-3908. 

  45. Kim YJ, Jung IS, Choi IS, Gil SW, Choi YJ. 2006. Studie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of nitric oxide synthesis from Codium fragile. J Life Sci 16: 788-793. 

  46. Han BH, Holtzman DM. 2000. BDNF protects the neonatal brain from hypoxic-ischemic injury in vivo via the ERK pathway. J Neurosci 20: 5775-5781. 

  47. Harper SJ, LoGrasso P. 2001. Signalling for survival and death in neurones: the role of stress-activated kinases, JNK and p38. Cell Signal 13: 299-310. 

  48. Irving EA, Bamford M. 2002. Role of mitogen- and stressactivated kinases in ischemic injury. J Cereb Blood Flow Metab 22: 631-6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