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짝잎모자반(S. hemiphyllum)을 95% 에탄올과 물로 각각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짝잎모자반 추출물의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 각각 17.91 mg/g과 13.44 mg/g으로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더 높은 페놀화합물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1, 0.5, 0.1 mg/ml의 농도에서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은 각각 96, 96, 62% 및 92, 90, 44%로 에탄올 추출물이 더 높은 radical 소거능을 보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인 BHT와 유사한 소거능을 보였다. 환원력의 경우 에탄올과 물 추출물 모두 대조구인 ascorbic acid에 비하여 낮은 값을 보였으며 에탄올 및 물 추출물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금속봉쇄력의 경우 1 mg/ml의 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은 9%의 활성을 나타냈으며 물 추출물은 28%의 활성을 보여 에탄올 추출물보다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Rancimat에 의한 유지 산화 억제능의 경우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더 높은 활성을 보였지만 대조구인 BHP에 비해 낮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짝잎모자반 추출물은 뛰어난 DPPH radical 소거능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특히 물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짝잎모자반은 천연 항산화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Sargassum hemiphyllum.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valuated by assessing total phenolic contents, 2,2-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helating effect, reducing power,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짝잎모자반에 대한 연구를 보면 항알러지[13],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증식 억제[14] 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세포 내 지질 과산화물 생성 억제에 관한 연구[15]가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짝잎모자반의 에탄올 및 물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산화능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식품 산업에 항산화 물질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 산소가 과잉 생성될 경우 인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활성산소는 정상적인 대사과정뿐만 아니라, 자외선, 스트레스, 대기오염 및흡연과 같은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도 생성된다. 활성 산소가 과잉 생성될 경우 생체 내에서는 지질 과산화 반응 으로 인한 과산화물질의 생성, 단백질 및 DNA의 산화로 인한 염증 유발, 암, 동맥경화, 고혈압,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각종 질병과 노화를 촉진시킨다[2, 3]. 활성산소와 질병과의 관련성을 보고한 연구가 활발해짐에 따라 free radical의발생을 억제시키고 산화작용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항산화제가 개발되고 있다.
활성산소는 언제 생성되는가? 활성산소는 superoxide radical (O 2− ), hydroxyl radical (· OH), peroxyl radical (ROO·)과 같은 산소 중심의 radical과 singlet oxygen ( 1O2 ), hydrogen peroxide (H2O2 ), hydroperoxide (ROOH)와 같은 비라디칼 종들을 포함한다. 활성산소는 정상적인 대사과정뿐만 아니라, 자외선, 스트레스, 대기오염 및흡연과 같은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도 생성된다. 활성 산소가 과잉 생성될 경우 생체 내에서는 지질 과산화 반응 으로 인한 과산화물질의 생성, 단백질 및 DNA의 산화로 인한 염증 유발, 암, 동맥경화, 고혈압,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각종 질병과 노화를 촉진시킨다[2, 3].
항산화 능력이 우수하면서도 독성이 없는 천연 항산화제에 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이유는? 활성산소와 질병과의 관련성을 보고한 연구가 활발해짐에 따라 free radical의발생을 억제시키고 산화작용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항산화제가 개발되고 있다. BHA, BHT와 같은 합성 항산화제의 경우 탁월한 효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나 다량으로 섭취하거나 체내에 축적이 될 경우 생체효소 및 지방의 변화로 피부자극, 각종 장애, 성 호르몬 감소, 신경 계통의 이상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독성 및 발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4, 5]. 또한 천연 항산화제로 널리 알려진 tocopherol은 안전하기는 하나 단독으로는 산화연 쇄반응 저지 능력이 낮고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6]. 이러한 이유로 천연물로부터 항산화 능력이 우수하면서도 독성이 없는 천연 항산화제에 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ranen A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2. Balavoine GG, Geletii YV. 1999. Peroxynitrite scavenging by different antioxidants. Part I: convenient assay. Nitric Oxide 3: 40-54. 

  3. Squadrito GL, Pryor WA. 1998. Oxidative chemistry of nitric oxide: the roles of superoxide, peroxynitrite, and carbon dioxide. Free Radic. Biol. Med. 25: 392-403. 

  4. Ito N, Fukushima S, Hasegawa A, Shibata M, Ogiso T. 1983. Carcinogenecit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in F344 rats. J. Natl. Cancer Inst. 70: 343-352. 

  5. Jeon YH, Kil JH, Kim Sm, Kim MH, Kim MR. 2008. Analysis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mutagenic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746-752. 

  6. Hatano T. 1995. Constituents of natural medicines with scavenging effects on active oxygen species - 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J. Nat. Med. 49: 357-363. 

  7. Cho SH, Cho JY, Kang SE, Hong YK, Ahn DH.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mojabanchromanol, a novel chromene, isolated from blown alga Sargassum siliquastrum. J. Med. Food 29: 479-484. 

  8. Lee SJ, Song EJ, Lee SY, Kim KBWR, Yoon SY, Lee CJ, et al. 2010.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antioxidant,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argassum thunbergii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431-437. 

  9. Yoon SY, Lee SY, Kim KBWR, Song EJ, Kim SJ, Lee SJ, et al.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Orostachys japonic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4-18. 

  10. Kim SA, Kim J, Woo MK, Kwak CS, Lee MS. 2005.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five kinds of seawee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451-459. 

  11. Kim MJ, Choi JS, Song EJ, Lee SY, Kim KBWR, Lee SJ, et al. 2009. Effects of heat and pH treatments on antioxidant properties of Ishige okamurai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50-56. 

  12. Jeong DH, Ahn NK, Choi YK, Park JH, Bae NY, Park SH, et al. 2015. Inhibitory effect of Sargassum fulvellum water extract on 2,4-dinitrochlorobenzene-induced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 mice. Microbiol. Biotechnol. Lett. 43: 150-157. 

  13. Na HJ, Moon PD, Ko SG, Lee HJ, Jung HA, Hong SH, et al. 2005. Sargassum hemiphyllum inhibits atopic allergic reaction via the regula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J. Pharmacol. Sci. 97: 219-226. 

  14. Choi HJ, Kil JH, Bak SS, Kong CS, Park KY, Seo YW, et al. 2006. Inhibitory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seven brown algae on mutagenicity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J. Life Sci. 16: 1080-1086. 

  15. Choi HJ, Seo YW, Lim SY. 2007. Effect of solvent extracts from Sargassum hemiphyllum on inhibition of growth of human cancer cell lines and antioxidant activity. J. Life Sci. 17: 1533-1538. 

  16. Swain T, Hillis WE. 1959. The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I-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63-68. 

  17.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r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990-2100. 

  18.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7-315. 

  19. Shimada K, Fujikawa K, Yahara K, Nakamura T. 1992. Antioxidative properties of xanthan on the autoxidation of soybean oil in cyclodextrin emulsion. J. Agric. Food Chem. 40: 945-948. 

  20. Chon SU, Yoon JS, Boo HO. 2004. Allelopath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and residues from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leaves. Korean J. Weed Sci. 24: 21-29. 

  21. Oh JY, Choi U, Kim YS, Shin DH. 200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bark of Rhus javanica lin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26-732. 

  22. Cuvelier ME, Richahard H, Berset C. 1998. Antioxidative activity of phenolic composition of pilot plant and commercial extracts of sage and rosemary. J. Am. Oil Chem. Soc. 73: 645-652. 

  23. Choi SY, Kim SY, Hur JM, Choi HG, Sung NJ.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s from Sargassum thunbergi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39-144. 

  24. Lee SJ, Song EJ, Lee SY, Kim KBWR, Kim SJ, Yoon SY, et al.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leaf, stem and root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and their heat and pH stabili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571-1579. 

  25. Kim SJ, Lee GS, Moh SH, Park JB, Auh CK, Chung YJ, et al. 2013.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ix edible seaweeds.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14: 3081-3088. 

  26. Oh JH, Kim EH, Kim JL, Moon YI, Kang YH, Kang JS. 2004. Study on antioxidant potency of green tea by DPPH meth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079-1084. 

  27. Zhou K, Yu L. 2006. Total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mmonly consumed vegetables grown in Colorado. LWT -Food Sci. Technol. 39: 1155-1162. 

  28. Seo YH, Kim IJ, An SY, Hwang KM. 1999.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tocopherols and carotenoids in waxy corn (Zea mays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581-585. 

  29. Arabshahi-Delouee S, Urooj A.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mulberry (Morus indica L.) leaves. Food Chem. 102: 1233-1240. 

  30. Gordon MH. 1990. The mechanism of antioxidant action in vitro, pp. 1-18. In. Hudson BJF (ed.), Food antioxidant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Ltd, London. 

  31. Choi YM, Chung BH, Lee JS, Cho YG. 2006.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rtemisia spp. collections. Korean J. Med. Crop Sci. 51: 209-214. 

  32. Gulcin I, Berashvili D, Gepdiremen A. 2005. Antiradic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otal anthocyanins from Perilla pankinensis decne. J. Ethnopharmacol. 10: 287-293. 

  33. Lee GH. 2014.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diabetic efficacy of the extract of fermented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Ph. D. Thesis, Joongbu University 

  34. Lee YL, Huang GW, Liang ZC, Mau JL.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three extracts from Pleurotus citrinopileatus. LWT -Food Sci. Technol. 40: 823-833. 

  35. Cho SH, Kang SE, Cho JY, Kim AR, Park SM, Hong YK, et al. 2007.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brown seaweed (Sargassum siliquastrum) extracts. J. Med. Food 10: 479-485. 

  36. Kim MJ, Song EJ, Lee SY, Kim KBWR, Kim SJ, Lee SJ, et al. 2008.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antioxidant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shige okamurai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485-1490. 

  37. Martinez-Tome M, Murcia MA, Frega N, Ruggieri S, Jimenez AM, Roses F. 2004. Evalu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of cereal brans. J. Agric. Food Chem. 52: 4690-46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