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유아의 귀인오류가 유아의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Mothers' Emotion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Attributional Biases on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 Gender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0 no.1, 2014년, pp.27 - 42  

박서연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송하나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유아의 귀인오류가 유아의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가 유아의 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6세 남아 46명과 여아 40명(총 86명)의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였다.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은 자기 보고식 설문으로 측정되었으며, 유아의 귀인오류는 이야기를 사용한 인터뷰로 측정 되었다. 또한 유아의 공격행동은 Crick등이 개발한 유아 공격행동 체크리스트를 교사가 보고하여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의 관계적 귀인오류가 유아의 외현적 공격행동과 관계적 공격행동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유아의 공격행동은 아무런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성에 따라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부적 정서 표현성이 여아의 관계적 공격행동을 부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성에 따른 어머니 및 유아 변인이 유아의 공격 행동의 차이를 설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others' emotion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attributional biases on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86 children; 46 6-year-old boys and 40 6-year-old girls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유아의 공격행동을 설명하는 귀인오류에 초점을 두고, 이 두 변인이 유아의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하였다. 특히 이러한 관계가 유아의 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유아의 귀인오류가 유아의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가 아동의 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각 연구 문제별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후 대답하지 못하는 아이들을 위해 폐쇄형으로 다시 한 번 제시되었다. 이 질문들은 자극 제공자의 의도에 대한 것으로 이야기속의 또래가 보인 행동이 적대적인지 중립적 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유아의 응답을 분류하여 유아가 적대적 귀인을 한 경우에는 1점, 중립적 귀인을 한 경우에는 0점으로 점수화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유아의 공격행동을 설명하는 귀인오류에 초점을 두고, 이 두 변인이 유아의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하였다. 특히 이러한 관계가 유아의 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서 표현성이란 무엇인가? 정서 표현성이란 어머니가 유아에게 기쁨이나 행복과 같은 긍정적 정서와 화, 슬픔 등의 부정적 정서를 표현하는 패턴으로 개인의 지속적이고 지배적인 특성이다(Halberstadt et al., 1995).
유아는 어머니의 정적 혹은 부적 정서표현에 따라 다른 사람의 기분 및 상황을 해석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대한 자신의 행동을 결정한다는 것에 대한 근거는? , 1995).어머니가 평소 자연스럽게 표현한 정서는 유아의 사회 정서적 능력을 발달시키기 때문에(Eisenberg, Cumberland, & Spinrad, 1998), 일상에서 부모의 정서를 자주 관찰한 유아는 다양한 정서를 경험하게 된다. 이를 통해 유아가 타인의 정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고, 상황에 적절한 행동과 정서표현이 가능하게 된다(Eisenberg, Fabes, Bernzweig, Karbon, Poulin, & Hanich,1993). 즉, 유아는 어머니의 정적 혹은 부적 정서표현에 따라 다른 사람의 기분 및 상황을 해석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대한 자신의 행동을 결정하게 된다.
어머니가 정적 정서표현을 많이 할 때 자녀에게 어떤 장점이 있는가? 구체적으로 보면, 어머니의 정적 정서 표현성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및 정서이해능력을 증가시키는 반면 문제 행동은 감소시킨다고 밝혀져 왔다(김호정, 2001; Lindahl, 1998; Rothbart &Weisz, 1994; Rubin, Hastings, Chen, Stewart, & McNichol, 1998). 또한 Eisenberg 등(1998)은 어머니가 정적 정서표현을 많이 할 때 자녀는 문제해결상황에서 필요한 정보를 잘 처리하고 사회적응적 행동을 하게 된다고 하였다. 이와는 다르게 어머니가 아동에게 부적 정서를 많이 표현할수록 아동의 분노가 높아지며 이로 인해 공격행동이 증가된다(Cummings & Davies,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곽혜경(2008). 중학생 부모의 양육태도 그리고 완벽주의, 공격성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민정(2001). 부모의 양육행동, 부부갈등 및 아동의 형제자매관계와 아동의 공격성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민효(2009). 공격성 감소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격성과 부모의 양육방식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지현(2006).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외적 요인에 대한 구조 방정식 모형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김지현, 박경자(2006).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외적 요인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아동학회지, 27(3), 149-168. 

  6. 김호정(2001).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이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박순천(2006).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박영신(2005). 아동의 공격성 유형과 학교적응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송하나(2006). 부모의 정서 표현성이 아동의 애착 관계에 대한 내적 표상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3(3), 39-55. 

  10. 윤소정, 김민경(2011). 유아의 공격성이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49-68. 

  11. 이양순, 정영숙, 이기영(2006).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 유능성.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1), 41-63. 

  12. 이태경(2005). 공격적 행동의 남녀차이에 대한 아동의 믿음이 회상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한준아(2001). 사회적 정보 처리과정에 있어 공격적 아동과 친사회적 아동의 차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홍상황, 이경연(2013). 또래괴롭힘 피해와 공격성과의 관계에서 또래 거부민감성과 적대적 귀인의 매개효과. 아시아교육연구, 14(2), 283-315. 

  15. Arsenio, W. F., & Lemerise, E. A. (2004). Aggression and moral development: Integrating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moral domain models. Child Development, 75(4), 987-1002. 

  16. Bonica, C., Arnold, D. H., Fisher, P. H., Zeljo, A., & Yershova, K. (2003). Relational aggression, relational victimiza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in preschoolers. Social Development, 12(4), 551-562. 

  17. Boyum, L. A., & Parke, R. D. (1995). The role of family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7(3), 593-608. 

  18. Brown, J. R., & Dunn, J. (1991). 'You can cry, mum': The social and developmental implications of talk about internal states.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9(2), 237-256. 

  19. Card, N. A., Stucky, B. D., Sawalani, G. M., & Little, T. D. (2008). Direct and indirect aggression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A meta-analytic review of gender differences, intercorrelations, and relations to maladjustment. Child Development, 79(5), 1185-1229. 

  20. Cervantes, C. A., & Callanan, M. A. (1998). Labels and explanations in mother-child emotion talk: age and gender differenti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34(1), 88-98. 

  21. Coie, J. D., Dodge, K. A., & Kupersmidt, J. B. (1990). Peer group behavior and social status. In S. R. Asher & J. D. Coie(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 17-59. Cambridge, England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Crick, N. R. (1996). The role of overt aggression, relational agg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 in the prediction of children's future socia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5), 2317-2327. 

  23. Crick, N. R., & Dodge, K. A. (1994). A review and reformulation of social information-processing mechanisms in children's social adjustment. Psychological Bulletin, 115(1), 74-101. 

  24. Crick, N. R., & Grotpeter, J. K. (1995). Relational aggression, gender, and social-psychologica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6(3), 710-722. 

  25. Crick, N. R., & Werner, N. E. (1998). Response decision process in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Child Development, 69(6), 1630-1639. 

  26. Crick, N. R., Casas, J. F., & Ku, H. (1999). Relational and physical forms of peer victimization in preschool. Developmental Psychology, 35(2), 376-385. 

  27. Crick, N. R., Grotpeter, J. K., & Bigbee, M. A. (2002). Relationally and physically aggressive Children's intent attributions and feelings of distress for relational and instrumental peer provocations. Child Development, 73(4), 1134-1142. 

  28. Cummings, E. M., & Davis, P. (1996). Emotional security as a regulatory precess in normal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of psychopatholog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8(1), 123-139. 

  29. Denham, S. A., & Auerbach, S. (1995). Mother-child dialogue about preschoolers' emotions and preschoolers' emotional competence. Genetic, Social, and General Psychology Monographs, 121(3), 313-337. 

  30. Denham, S., & Kochanoff, A. T. (2002). Parental contributions to preschoolers' understanding of emotion. Marriage & Family Review, 34(3), 311-343. 

  31. Dodge, K. A. (1986). A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of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 In M. Perlmutter(Ed.), Minnesota symposium on child psychology (vol. 18, 77-125). Hillsdale, NJ : Erlbaum. 

  32. Dodge, K. A., & Crick, N. R. (1990). Social information-processing bases of aggressive behavior in childre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6(1), 8-22. 

  33. Dodge, K. A., & Frame, C. L. (1982). Social cognitive biases and deficits in aggressive boys. Child Development, 53(3), 620-635. 

  34. Dodge, K. A., Murphy, R. R., & Buchsbaum, K. (1984). The assessment of intention-cue detection skills in children: Implications for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Child development, 55(1), 163-173. 

  35. Dunsmore, J. C., & Karn, M. A. (2001). Mothers' beliefs about children's emotional understanding.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2(1), 117-38. 

  36. Dunsmore, J. C., Her, P., Halberstadt, A. G., & Perez-Rivera, M. B. (2009). Parents' beliefs about emotions and children's recognition of parents' emotion. Journal of Nonverbal Behavior, 33(2), 121-140. 

  37. Eisenberg, N., Cumberland, A., & Spinrad T. L. (1998). Parental socialization of emotion. Psychological Inquiry, 9(4), 241-273. 

  38. Eisenberg, N., Fabes, R. A., Bernzweig, J., Karbon, M., Poulin, R., & Hanich, L. (1993). The relation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o preschoolers' social skills and sociometric status. Child Development, 64(5), 1418-1438. 

  39. Fivush, R. (2007). Maternal reminiscing style and children's developing understanding of self and emotion. Clinical Social Work Journal, 35(1), 37-46. 

  40. Flavell, J. H. (1979). Metacognition and cognitive monitoring: A new area of cognitive-developmental inquiry. American Psychologist, 34(10), 906-911. 

  41. Garner, P. W., Dunsmore, J., & Southam-Gerrow, M. (2008). Mother-child conversations about emotions: Linkages to child agg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s. Social Development, 17(2), 259-277. 

  42. Giles, J. W., & Heyman, G. D. (2005). Young children's belief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aggressive behavior. Child Development, 76(1), 107-121. 

  43. Goldstein, S. E., Tisak, M. S., & Boxer, P. (2002). Preschoolers' normative and prescriptive judgements about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3(1), 23-39. 

  44. Gottman, J. M., Katz, L. F., & Hooven, C. (1996). Parent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emotional life of families: Theoretical models and preliminary data.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0(3), 243-268. 

  45. Graham, S. (2001). An attributional analysis of child abuse among low-income African American mothers.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0(2), 233-257. 

  46. Halberstadt, A., Cassidy, J., Stifer, C., Parke, R., & Fox, N. (1995). Self-expressiveness within the family context: Psychometric support for a new measure. Psychological Assessment, 7(1), 93-103. 

  47. Kawabata, Y., Crick, N. R., & Hamaguchi, Y. (2010). Forms of aggression, social-psychological adjustment, and peer victimization in a Japanese sample: The moderating role of positive and negative friendship quality.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8(4), 471-484. 

  48. King, L. A., & Emmons, R. A. (1990).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rrel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5), 864-877. 

  49. Lindahl, K. M. (1998). Family process variables and children's disruptive behavior problem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2(3), 420-436. 

  50. Mathieson, L. C., Murray-Close, D., Crick, N. R., Woods, K. E., Zimmer-Gembeck, M., Geiger, T. C., & Morales, J. R. (2011). Hostile intent attributions and relational aggression: The moderating roles of emotional sensitivity, gender, and victimizatio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9(7), 977-987. 

  51. McEvoy, M. A., Estrem, T. L., Rodriguez, M. C., & Olson, M. L. (2003). Assessing relational and physical aggression among preschool children: Intermethod agreement.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3(2), 53-63. 

  52. Nelson, D. A., Hart, C. H., Yang, C., Olsen, J. A., & Jin, S. (2006). Aversive parenting in China: Associations with child physical and relational aggression. Child Development, 77(3), 554-572. 

  53. Nesdale, D., & Duffy, A. (2011). Social identity, peer group rejection, and young children's reactive, displaced, and proactive aggression.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9(4), 823-841. 

  54. Orobio de Castro, B., Veerman, J., Koops, W., Bosch, J., & Monshouwer, H. (2002). Hostile attribution of intent and aggressive behavior: A meta-analysis. Child Development, 73(3), 916-934. 

  55. Ostrov, J. M., & Godleski, S. A. (2010). Toward an integrated gender-linked model of aggression subtypes in early and middle childhood. Psychological Review, 117(1), 233-242. 

  56. Perry, D. G., Kusel, S. J., & Perry, L. C. (1988). Victims of peer aggress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4(6), 807-814. 

  57. Rothbart, F., & Weisz, J. R. (1994). Parental caregiving and child externalizing behavior in nonclinical samples: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16(1), 55-74. 

  58. Rubin, K. H., Hastings, P., Chen, X., Stewart, S., & McNichol, K. (1998). Intrapersonal and maternal correlates of aggression, conflict, and externalizing problems in toddlers. Child Development, 69(6), 1614-1629. 

  59. Rys, G. S., & Bear, G. G. (1997). Relational aggression and peer relations: Gender and developmental issues. Merrill-Palmer Quarterly, 43(1), 87-106. 

  60. Schultz, D., Izard, C. E., & Bear, G. (2004). Children's emotion processing: Relations to emotionality and aggressio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6(2), 371-387. 

  61. Tremblay, R. (2000). The development of aggressive behavior during childhood: What have we learned in the past centur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4(2), 129-141. 

  62. Vaillancourt, T., Brendgen, M., Boivin, M., & Tremblay, R. E. (2003). A longitudina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indirect and physical aggression: Evidence of two factors over time? Child Development, 74(6), 1628-1638. 

  63. Wang, Q., & Fivush, R. (2005). Mother-child conversations of emotionally salient events: Exploring the functions of emotional reminiscing in european-american and chinese families. Social Development, 14(3), 473-4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