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and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ursing students attending 3 universities who expressed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rough a questionnaire which surveye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성취해야 할 많은 과업으로 과도한 스트레스와 환경에 대한 부적응적인 인지로 우울증상을 경험하기 쉬운 간호대학생에게 대학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과 우울과의 관련성을 파악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우울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포괄적으로 파악하고, 그 요인들 중에서 간호대학생의 우울을 가장 잘 설명하는 요인을 확인하여 추후 우울 예방 및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스스로 자신의 우울을 인식하고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로서 MDI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 이를 제시함으로써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은 경미한 우울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바, 병리적인 우울증으로 진행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 프로그램을 각 대학 내 보건소, 상담센타 등의 건강증진프로그램과 통합하여 적용하는 것이 실무적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우울 정도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자가 보고식의 질문지를 이용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는 많은 요인들을 고려하여 이들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우울 정도와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사회저지지 및 안녕감 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그런데 국내 간호대학생의 우울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에서 우울 정도는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Park, & Jang, 2010),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cale (DASS-D)(Song, 2011), Depressive Experience Questionaire (DEQ) (Lee, 2006),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Kim, & Kim, 2011) 등 서로 다른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연구결과에 따른 우울의 정도나 특성을 비교하기가 쉽지 않고, 이들 측정도구는 DSM-IV나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 and Related Health Problems, 10th Revision (ICD-10)에서 제시한 우울증상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데 제한이 있다(Konstantinidis, Martiny, Bech, & Kasper, 2011). 이에 본 연구에서는 DSM-IV와 ICD-10에 근거하고, 구조화되어 간단한 Major Depression Inventory (MDI)를 이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우울정도를 측정하고,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추후 간호대학생들이 우울을 주기적으로 자가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활용성도 고려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대학생에서 이 시기에 우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면? 그런데 이와 같은 스트레스는 적절히 관리되지 않으면 우울이 발생할 수 있으며(Shiaki, Shono, & Kitamura, 2009), 우울은 간호대학생의 정신 문제 중 가장 높은 순으로 나타났다(Kim & Kim, 2011). 그런데 대학 시기는 학교에서 직장으로의 이행기로 간호대학생에서 이 시기에 우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면 학업성취도가 저하되거나 의욕상실로 이어질 뿐 아니라 학업을 포기하거나 중도 탈락하는 상황에 이를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O'Donell, 2009; Park & Jang, 2010). 그리고 간호사는 힘들고 스트레스가 많은 전문직으로 고려되며, 간호대학생은 타 학과 학생들에 비해 과중한 학습 뿐 아니라 교과과정 중에 실무현장에 조기 노출되는 임상실습을 경험해야 하므로 스트레스와 우울이 증가될 수 있다(Por, Barriball, Fitzpatrick, & Roberts, 2011).
간호대학생가 스트레스를 받는 이유는? 간호대학생은 엄격한 교과과정, 과중한 학습량, 엄중한 행동규범, 환자에 대한 책임감, 환자의 고통이나 죽음 등과 같은 임상에서의 스트레스,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의 실습수행, 간호사 국가시험에 합격해야 하는 심리적 부담감, 그리고 의료기술의 급격한 변화 등으로 다른 전공의 대학생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경험한다(Jeong, & Shin, 2006; Jimenez, Navia-Osorio, & Diaz, 2010; Reeve, Shumaker, Yearwood, Crowell & Riley, 2013). 그런데 이와 같은 스트레스는 적절히 관리되지 않으면 우울이 발생할 수 있으며(Shiaki, Shono, & Kitamura, 2009), 우울은 간호대학생의 정신 문제 중 가장 높은 순으로 나타났다(Kim & Kim, 2011).
우울은 일반적 특성 중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알 수 있는 연구결과는? 070)는 없었다. 건강상태는 좋다고 응답한 경우에 우울평균이 14.72점,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16.68점, 나쁘다고 응답한 경우가 20.46점으로 건강상태가 나쁘다는 응답자의 우울 점수는 건강상태가 좋거나 보통이라고 응답한 응답자보다 우울점수가 더 높아 유의한 차이(F=7.11, p<.001)가 있었다. 그 밖에 종교, 경제상태, 주거유형, 용돈이나 음주유무 등에 따라서 우울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ch, P., Rasmussen, N. A., Olsen, L, R., Neorholm, V., & Abildgaard, W. (2001).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Major Depression Inventory, using the present state examination as the index of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66, 159-164. 

  2. Choi, H. J., & Lee, E. J. (2012). Mediation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in first year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2), 261-268. 

  3. Chon, K. K. (1998). Development of the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II. Journal of Rehabilitation Science, 14(1), 15-37. 

  4. Cuijpers, P., Boluijt, P., & van Straten, A. (2008). Screening of depression in adolescents through the internet. Europea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17, 32-38 

  5. Gibbons, C., Dempster, M., Moutray, M. (2009). Index of sources of stress in nursing student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5), 1095-1102. 

  6. Jeong, M. H., & Shin, M. A.(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atisfaction in major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2), 170-177. 

  7. Jimenez, C., Navia-Osorio, P. M., & Diaz, C. V. (2010). Stress and health in novice and experienced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 442-455. 

  8. Je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1(1), 107-130. 

  9. Kim, J. I. (1994). An effect of aquatic exercise program with self-help group activities and strategies for promoting self-efficacy on pain,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having rheumatoid arthriti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 1-30. 

  10. Kim, K. H., & Kim, K. H. (2011). Anger, depression and self-esteem among female students in nursing colle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3), 233-241. 

  11. Kim, O. S., & Kim, K. H. (2001). Social support, depression, drinking and smoking in college and working femal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3(3), 363-372. 

  12. Konstantinidis, A., Martiny, K., Bech, P., & Kasper, S. (2011). A comparison of the Major Depression Inventory(MDI)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in severly depressed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iatry in Clinical Practice. 15, 56-61. 

  13. Lee, E. H. (2004). Life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college students : Testing for moderating effects of coping style university students with structural equations. Korean Journal of Health & Psychiatry, 9, 25-52. 

  14. Lee, E. H., Lee, K. S., So, A. Y., & Smith-Stoner, M, S. (2010). Scale development: The personal power of health care(PPHC).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1) 129-139. 

  15. Lee, K-S., Koh, C-K., Kim, J. H., Son, H-M., Song, M. R., Yu, S. J., et al. (2013).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of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2), 112-121. 

  16. Lee, S. H. (2006). Effects of learning motive enhancing program on academic self efficacy, learning habits, and self esteem in underachieve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1), 5-12. 

  17. Olzen, L. R., Jensen, D. V., Noerholm, V., Martiny, K., & Bech, P. (2003). The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of the major depression inventory in measuring severity of depressive states. Psychological Medicine, 33, 351-356. 

  18. O'Donnell, H. (2009). The emotional impact of nursing student attrition rates. The British Journal of Nursing. 18, 745-754. 

  19. Park, H. S., Bae, Y. J., & Jung, S. Y. (2002). A Study on Self-esteem, Self-efficacy, Coping Methods, and the Academic and Job-seeking Stres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1(4), 621-631. 

  20. Park, H. J., & Jang, I. S. (2010). Stress, depression, coping style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1), 14-23. 

  21. Park, J. H., & Kim, K. W. (2011). A review of epidemiology of depress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4(4), 362-369. 

  22. Park, K. H. (2008). Development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estimate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6), 779-788. 

  23. Park, Y. J. (2011). A study on physical status, psychological status of university student gender and dietary stat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24. Park, Y. S. (2002). A crisis model for the early adolescent. Unpublished doctoral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5. Por, J., Barriball, L., Fitzpatrick, J., & Roberts, J. (2011). Emotional intelligence: Its relationship to stress, coping, well-being and professional performance in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31, 855-860. 

  26. Pruchno, R. A., Burnat, C. J., & Peters, N. D. (1997). Understanding the wellbeing of care-receiver. Gerontologist, 37(1), 102-109. 

  27. Reeve, K.L., Shumaker, C. J., Yearwood, E. L., Crowell, N.A., & Riley, J. B. (2013). Perceived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s. Nurse Education Today. 33, 419-424. 

  28. Ross, R., Zeller, R., Srisaeng, P., Yimmee, S., Somchid, S., & Sawatphanit, W. (2005). Depression, stress, emotional support, and self-esteem among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in Thai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2(1), 1-15. 

  29. Shiaki, N., Shono, M., & Kitamura, T. (2009). Effects of coping styles and stressful life events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Japanese nursing students: A longitudi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5, 198-204. 

  30. Song, Y. S. (2011). Depression, stress, anxiety and mindfulness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3(4), 397-4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