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교결합형 poly(POEM-co-AMPSLi-co-GMA) 전해질의 합성과 물리화학적 특성
Synthesis of Crosslinked Poly(POEM-co-AMPSLi-co-GMA) Electrolyte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원문보기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17 no.1, 2014년, pp.65 - 70  

최다인 (충북대학교 공업화학과) ,  류상욱 (충북대학교 공업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에서는 다양한 조성의 AMPS, POEM 및 GMA를 함유하는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AMPS의 술폰산기와 $Li_2CO_3$와의 산염기 반응 및 에폭시기의 가교반응을 유도하여 가교결합된 poly(POEM-co-AMPSLi-co-GMA)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POEM의 결정융점은 AMPS 및 POEM의 몰분율에 따라 변화되는 특징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리튬이온이 도입된 이후 대체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가교된 고분자의 이온전도도는 GMA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다소 감소되는 결과가 나타났지만, 16 mol%까지는 $1.0{\times}10^{-6}S\;cm^{-1}$ 이상의 값을 보여주었다. 특히, 자기-도핑형 전해질임에도 불구하고 2 mol%에서 최대 $4.08{\times}10^{-6}S\;cm^{-1}$의 높은 상온이온전도도가 얻어졌으며, 상온에서 6 V까지 우수한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가교된 고분자전해질은 필름성형이 가능하며, 0.11 MPa의 탄성계수 및 270%의 변형율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crosslinked poly(POEM-co-AMPSLi-co-GMA)s were prepared by epoxy coupling of GMA after radical copolymerization of AMPS, POEM and GMA followed by acid-base titration reaction between sulfonic acid of AMPS and $Li_2CO_3$. It was observed that the crystalline melting tempera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음이온이 고정된 자기-도핑형 전해질로서 상온에서 6V까지 우수한 전압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도핑을 통한 이온의 분극현상 억제와 고전압 안정성을 확보하고, 가교결합을 통한 고온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는 재료를 제시하였다. 또한 자기-도핑과 가교결합의 특징에도 불구하고 유동성있는 재료를 제조함으로서 높은 상온 이온전도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조성의 가교형 poly(POEM-coAMPSLi-co-GMA)를 제조하여 GMA성분이 POEM의 결정용융온도 및 이온전도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먼저 공중합체에서 GMA는 고분자사슬에 불규칙하게 존재함으로서, 그 양이 증가하면 POEM의 결정형성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리튬염 분극을 억제하기 위한 자기도핑 특성과 형태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가교 특성이 동시에 확보된 고체 고분자전해질을 합성하고 조성이 물리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POEM), 2-acrylamido-2-methyl-1-propane sulfonic acid(AMPS) 및 glycidyl methacrylate(GMA)를 기반으로 하는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AMPS와 Li2CO3와의 산염기 반응 및 GMA의 에폭시 가교결합을 유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체 고분자전해질의 특징을 설명하시오. 고체 고분자전해질은 3차원의 기질내에 다량의 이온을 안정적으로 함유하고 있는 재료로서 누액의 위험이 없고, 필름으로 가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세대 고안전성 리튬 에너지저장 장치의 주요 소재로 인식 되고 있다.1-4) 고분자전해질은 이처럼 많은 기대를 하게 하지만, 동시에 낮은 이온전도도,5-6) 이온의 분극현상,7) 고온에서의 용융성8) 등, 해결해야하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고체 고분자전해질이 크게 관심 받지 못하는 이유는? 특히 상업적으로 응용되는 액체전해질에 비하여 100배 정도 낮게 관찰되는 이온전도도 는 블록공중합체,9-10) 가지형 고분자,11-13) 초저점도 고분자14-15) 등을 통해 다소 향상된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리튬염의 분극현상 및 고분자기질의 고온 불안정성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큰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고분자기질에서 발생하는 리튬염 분극현상은 이온의 대류현상이 어려운 구조적 문제점에 기인하며 전지의 수명특성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고분자전해질의 문제점은? 고체 고분자전해질은 3차원의 기질내에 다량의 이온을 안정적으로 함유하고 있는 재료로서 누액의 위험이 없고, 필름으로 가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세대 고안전성 리튬 에너지저장 장치의 주요 소재로 인식 되고 있다.1-4) 고분자전해질은 이처럼 많은 기대를 하게 하지만, 동시에 낮은 이온전도도,5-6) 이온의 분극현상,7) 고온에서의 용융성8) 등, 해결해야하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상업적으로 응용되는 액체전해질에 비하여 100배 정도 낮게 관찰되는 이온전도도 는 블록공중합체,9-10) 가지형 고분자,11-13) 초저점도 고분자14-15) 등을 통해 다소 향상된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J. MacCallum, and C. Vincent, 'Polymer Electrolyte Reviews-1' 69, Elsevier Applied Science, New York (1987). 

  2. G.-A. Nazri, and G. Pistoia, 'Lithium Batteries Science and Technology' 574, Kluwer Academic Publishers, New York (2004). 

  3. M. Yosho, R. Brodd, and A. Kozawa, 'Lithium-ion Batteries' 413, Springer, New York (2009). 

  4. J. Saunier, F. Alloin, J. Sanchez, and G. Caillon, 'Thin and flexible lithium-ion batteries: investigation of polymer electrolytes' J. Power Sources, 119-121, 454 (2003). 

  5. S. Zhang, L. Yang, and Q. Liu, 'Single-ion conductivity and carrier generation of polyelectrolytes' Solid State Ionics, 76, 121 (1995). 

  6. F. Dias, L. Plomp, and J. Veldhuis, 'Trends in polymer electrolytes for secondary lithium batteries' J. Power Sources, 88, 169 (2000). 

  7. M. Watanabe, H. Tokuda, and S. Muto, 'Anionic effect on ion transport properties in network polyether electrolytes' Electrochimica Acta, 46, 1487 (2001). 

  8. L. Sperling, 'Introduction to Physical Polymer Science' 201, Wiley Interscience, New York (2001). 

  9. E. Gomez, A. Panday, E. Feng, V. Chen, G. Stone, A. Minor, C. Kisielowski, K. Downing, O. Borodin, G. Smith, and N. Balsara, 'Effect of ion distribution on conductivity of block copolymer electrolytes' Nano Letters, 9, 1212(2009). 

  10. W. Young, and T. Epps, III, 'Ionic conductivities of block copolymer electrolytes with various conducting pathways: sample preparation and processing considerations' Macromolecules, 45, 4689(2012). 

  11. A. Nishimoto, M. Watanabe, Y. Ikeda, and S. Kohjiya, 'High ionic conductivity of new polymer electrolytes based on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er comb polymers' Electrochimica Acta, 43, 1177 (1998). 

  12. Y. Ikeda, Y. Wada, Y. Matoba, S. Murakami, and S. Kohjiya, 'Characterization of comb-shaped high molecular weight poly(oxyethylene) with tri(oxyethylene) side chains for a polymer solid electrolyte' Electrochimica Acta, 45, 1167 (2000). 

  13. P. Jannasch, 'Ion conducting electrolytes based on aggregating comblike poly(propylene oxide)' Polymer, 42, 8629 (2001). 

  14. D. Kim, J. Song, and J. Park,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novel polymer electrolytes based on polyesters containing ethylene oxide moiety' Electrochimica Acta, 40, 1697 (1995). 

  15. J. Acosta, and E. Morales, 'Structural, morpholog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zation of polymer electrolytes based on PEO-PPO blends' Solid State Ionics, 85, 85 (1996). 

  16. Y. Kato, S. Yokoyama, T. Yabe, H. Ikuta, Y. Uchimoto, and M. Wakihara, 'Ionic conductivity and transport number of lithium ion in polymer electrolytes containing PEG-borate ester' Electrochimica Acta, 50, 281 (2004). 

  17. J. Cowie, and G. Spence, 'Novel single ion, combbranched polymer electrolytes' Solid State Ionics, 123, 233 (1999). 

  18. X. Sun, and C. Angell, 'New single ion conductors ("polyBOP" and analogs)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Solid State Ionics, 175, 743 (2004). 

  19. H. Allcock, D. Welna, and A. Maher, 'Single ion conductors-polyphosphazenes with sulfonimide functional groups' Solid State Ionics, 177, 741 (2006). 

  20. N. Byrne, D. MacFarlane, and M. Forsyth, 'Composition effects on ion transport in a polyelectrolyte gel with the addition of ion dissociators' Electrochimica Acta, 50, 3917 (2005). 

  21. X. Sun, J. Hou, and J. Kerr, 'Comb-shaped single ion conductors based on polyacrylate ethers and lithium alkyl sulfonate' Electrochimica Acta, 50, 1139 (2005). 

  22. D. Sadoway, B. Hyang, P. Trapa, P. Soo, P. Bannerjee, and A. Mayes, 'Self-doped block copolymer electrolytes for solid-state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J. Power Sources, 97-98, 621 (2001). 

  23. J. Travas-Sejdic, R. Steiner, J. Desilvestro, and P. Pickering, 'Ionic conductivity of novel polyelectrolyte gels for secondary lithium-ion polymer batteries' Electrochimica Acta, 46, 1461 (2001). 

  24. J. Sun, D. MacFarlane, and M. Forsyth, 'Lithium polyelectrolyte-ionic liquid systems' Solid State Ionics, 147, 333 (2002). 

  25. P. Park, Y. Sun, and D. Kim, 'Blended polymer electrolytes based on poly(lithium 4-styrene sulfonate) for the rechargeable lithium polymer batteries' Electrochimica Acta, 50, 375 (2004). 

  26. S. Ryu, 'Effect of lithium ion concentration on thermal properties in novel single-ion polymer electrolyte' Polymer Journal, 40, 688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