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적 실재감이 온라인 커뮤니티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cial Presence on Online Community Users' Continuance Intention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2, 2014년, pp.131 - 145  

김광모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최희원 (농협경제연구소) ,  권성일 ((주)태산LCD)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개인화된 SNS(Social Network Service)가 보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e-Learning 시스템과 일부 대형 온라인 커뮤니티는 아직까지도 많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 지속적 사용의 기대확증모형을 바탕으로 사회적 실재감의 영향력을 연구하고자 했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사회적 실재감은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고, 둘째, 만족에는 인지된 즐거움을 통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된 유용성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인지된 즐거움은 지속사용의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으로는 매개효과 분석을 이용한 사회적 실재감의 영향력 검증과, 장기간의 온라인 커뮤니티 지속 사용 의도에는 실용적 특성이 헤도닉 특성보다 더 강한 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에 대한 검증을 들 수 있고, 이를 통해 온라인 커뮤니티 운영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 점 역시 실무적인 시사점으로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and online community users' continuance intention. Based on Bhattacherjee(2001)'s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ECM) of IT continuance model, we test the influence of social presence on one's intention to continue us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지속적 사용의 기대확증모형을 제시한 연구[17]를 바탕으로 온라인 커뮤니티의 지속 사용 의도를 종속 변수로 두고 사회 현상에 있어 순기능 혹은 역기능에 영향을 주는 영향요인으로 지목되는 사회적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을 매개효과 검증 연구[16]을 참고해 보다 더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몇몇 연구[8][41]에서 언급한 정보시스템의 구분(실용적, 헤도닉 특성)에서 온라인 커뮤니티의 성격을 찾아내고자 하는 것 또한 본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커뮤니티의 지속 사용 의도에 대해 사회적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 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그러나 온라인 커뮤니티는 계속해서 “이슈”가 생기고, 그에 따라 커뮤니케이션이 이뤄지는 측면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사회생활에 필요한 통찰력을 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게임보다는 복잡성이 높기에 사용 경험이 길어질수록 지속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 그리고 온라인 커뮤니티 몰입형성 영향요인 연구[4]에서는 사회적 실재감과 기술수용모형[21]을 바탕으로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했다. 그리고 커뮤니티 몰입형성과 만족에 커뮤니티 신뢰가 주는 요인도 함께 검증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사회적 실재감,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만족, 커뮤니티 신뢰가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음을 검증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지속적 사용의 기대확증모형을 제시한 연구[17]를 바탕으로 온라인 커뮤니티의 지속 사용 의도를 종속 변수로 두고 사회 현상에 있어 순기능 혹은 역기능에 영향을 주는 영향요인으로 지목되는 사회적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을 매개효과 검증 연구[16]을 참고해 보다 더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몇몇 연구[8][41]에서 언급한 정보시스템의 구분(실용적, 헤도닉 특성)에서 온라인 커뮤니티의 성격을 찾아내고자 하는 것 또한 본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속사용의도에 대한 외부효과 방지 및 정확한 변인 통제를 위해 기존 연구[40]에서 사용된 바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표본을 통해 수집된 자료인 온라인 커뮤니티 사용 기간을 통제 변수로 설정해 실제로 수집된 표본이 본 연구의 자료 검증에 적합한 집단 인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 그리고 몇몇 연구[8][41]에서 언급한 정보시스템의 구분(실용적, 헤도닉 특성)에서 온라인 커뮤니티의 성격을 찾아내고자 하는 것 또한 본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커뮤니티의 지속 사용 의도에 대해 사회적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 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0: 사회적 실재감은 인지된 즐거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 만족은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기대일치는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인지된 유용성은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인지된 유용성은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인지된 즐거움은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 인지된 즐거움은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7: 기대일치는 인지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8: 기대일치는 인지된 즐거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9: 사회적 실재감은 인지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본 연구는 연구 모형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모두 6개의 측정변수에 대해 총 10가지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라인 커뮤니티 몰입형성 영향요인 연구로 어떠한 결과가 나타났는가? 그리고 커뮤니티 몰입형성과 만족에 커뮤니티 신뢰가 주는 요인도 함께 검증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사회적 실재감,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만족, 커뮤니티 신뢰가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음을 검증했다. 그리고 사회적 실재감은 즐거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파악했고, 모바일 환경 뿐 아니라 커뮤니티 환경에서도 즐거움은 중요한 영향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사회적 실재감은 무엇인가? 사회적 실재감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면대면이 아닌 비대면적 매체가 가져야 할 중요한 요인이고, “미디어 매개 커뮤니케이션의 인지된 실재감 정도”로 정의되어진다[43]. 사회적 실재감은 컴퓨터, 쌍방향 TV, 오디오 테이프, 전화 등과 같이 다양한 비대면적 매체에 의해 체감이 가능하고, 실재감의 정도에 따라 미디어 사용의향이 달라지며, 더 많이 사용하고 싶은 미디어/그렇지 못한 미디어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온라인 커뮤니티의 정의와 특징, 기능은 무엇인가? 그러나 아직까지도 언론을 통해 언급되고 있는 일부의 대형 온라인 커뮤니티(DC인사이드, SLR 클럽, 일베저장소, 오늘의 유머, 82cook 등)의 경우에는 아직까지도 개인화 된 서비스가 계속해서 약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회 성원들의 여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렇듯 온라인 커뮤니티는 온라인상에서 사람들 간 참여가 가능한 가상 커뮤니티 [51]로 정의할 수 있는데 사람과 사람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1대 1이 아닌 다양한 형태(다대다, 1대다 형태)로 제공하고 있으며, 지리적인 공간을 넘어 사회 성원들의 지속적인 글 작성, 댓글 달기 등의 대화 채널을 통한 사회적 교류, 인맥 증대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아직까지도 여전히 몇몇 사회적 이슈(다중의 참여 유도, 문제 행동 등)의 중심에 서 있을 정도[48-50]로 많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e-Learning 등에 있어서도 학습자간의 성과 창출[18] 및 협업을 제공하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강명희, 김민정, "e-Learning 환경에서 인식되는 사회적 실제감과 성취도, 만족도, 학습지속도 관계 규명", 교육공학연구, 제22권, 제4호, pp.1-27, 2006. 

    인용구절

    인용 구절

    e-Learning 환경에 대해서는 사회적 실재감이 팀 관련 성취도 변인(팀원에 대한 신뢰성, 팀 과제 성취도, 팀 토론 성취도)과 감정교류의 원활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있었다[1].

  2. 김연정, 전방지, 김유정, 강소라, "UCC 서비스 사용자의 참여수준 결정요인분석", 기술혁신학회지, 제10권, 제3호, pp.486-508, 2007, 

    원문보기 상세보기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와 같은 맥락에서 사회적 실재감은 UCC 서비스, e-Learning, 온라인 사회 상호작용과 같은 분야에서 꾸준히 연구되어 왔고, 실제로 UCC 서비스 사용자의 참여수준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2]에서는 사회적 실재감이 온라인 커뮤니티의 몰입, 인터넷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김주환, 김양하, 장주영, 김민규, "텍스트 기반 온라인 사회 상호작용(TOSI)의 습관적 이용에 대한 연구-중학생의 인터넷 자기효능감, 사회적 실재감, 친밀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38호, pp.120-146, 2007.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외에도 온라인 사회 상호작용에서는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사회에서의 상호작용에 대한 습관적 이용을 연구한 연구[3]가 있으며,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 실재감이 친밀감과 습관적 이용에 정의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발견한 바 있다.

  4. 문영주, 이종호, "온라인 커뮤니티 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만족과 커뮤니티 신뢰를 매개로", 정보시스템연구, 제16권, 제1호, pp.23-45, 2007. 

    원문보기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온라인 커뮤니티와 관련된 정보시스템 연구에서는 정보기술을 받아들이는 기술수용모형[21]을 이용해 기업의 경우에도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해 고객과의 관계를 형성하고자 하는 연구[4]가 있었으나, 이 연구의 기반이 되는 기술수용모형은 “수용 이전의 변수로는 수용 이후의 단절 현상 설명이 어렵다”고 주장한 연구[17] 가 있을 정도로 기술 수용 이후의 현상을 설명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온라인 커뮤니티 몰입형성 영향요인 연구[4]에서는 사회적 실재감과 기술수용모형[21]을 바탕으로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했다.

    인지된 즐거움은 쾌락과 관련이 있는 헤도닉 특성을 반영하는 변수로 여러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다 [4][8][27][37][41].

    실제 사회적 실재감이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4]도 있고, 실재감이 높은 미디어를 더욱 더 많이 사용하고자 한다는 주장[43]도 있다.

    이는 기존 연구[4]에서 제기된 결론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사회적 실재감의 인과관계가 헤도닉 측면에서 더 강하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실재감이 인지가 되는 요인(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즐거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인지된 즐거움을 통해 만족에도 간접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사회적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존 연구 [4][25][26][36][41][44]에서 주장한 바를 다시 한 번 검증함과 동시에 기존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사회적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을 보다 더 이론적으로 더 공고히 할 수 있었던 점은 본 연구가 가지는 이론적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

  5. 박기운, 포털사이트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 연구모형은 웹 포털 사이트[5][37]와 헤도닉 정보시스템[8], 가상 세계[41], 인터넷 쇼핑몰[9], e-Learning [18][32], 모바일 뱅킹[31]등에 사용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사용 의도와 관련된 여러 연구[5][8][17][37]를 토대로 만족과 지속사용 의도를 검증하고자 했고, 따라서 만족에 대해서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사용한 경험을 통해 형성된 만족감으로 정의하고 아래와 같은 가설을 세웠다.

  6. 박승한, 양춘호, "스포츠 웹사이트의 흥미요인과 몰입의 관계에 있어 만족과 신뢰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7권, 제6호, pp.557-564, 2006. 

  7. 서문식, 이지은, 조상현,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에서의 관계단절행동,"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2호, pp.352-365, 2010. 

    원문보기 상세보기 crossref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온라인상에서 사람들 간 참여가 가능한 가상 커뮤니티[51]로 앞서 정의한 바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사회적 행동은 앞서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에 대한 연구로는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7][11]에서의 반응을 들 수 있다.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에서의 실망감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이 형성될 경우 부정적인 구전을 통해 잠재 고객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7]와 공동체 의식을 통한 동일시 현상은 방문 충성도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11]는 온라인 커뮤니티의 영향력이 가볍지 않다는 시사점을 제시했다.

  8. 서호철, 안중호, 양지윤, "헤도닉 정보시스템의 지속적인 사용에 관한 연구: UCC를 중심으로," 경영정보학연구, 제17권, 제3호, pp.26-53, 2007.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외에도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에서 사회적 실재감과는 다소 거리가 있으나 불만족의 표출 방법으로 부정적인 구전 활동을 벌인다는 연구[8],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에서 공동체 의식을 통한 동일시가 방문 충성도를 거쳐 구매 충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16] 등이 진행되었을 정도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행동이 실제 사회에서의 결과물로 나타난다는 것 또한 본 연구의 목표인 사회적 실재감의 영향에 대한 검증에 있어 중요한 배경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몇몇 연구[8][41]에서 언급한 정보시스템의 구분(실용적, 헤도닉 특성)에서 온라인 커뮤니티의 성격을 찾아내고자 하는 것 또한 본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모형은 웹 포털 사이트[5][37]와 헤도닉 정보시스템[8], 가상 세계[41], 인터넷 쇼핑몰[9], e-Learning [18][32], 모바일 뱅킹[31]등에 사용된 바 있다.

    정보시스템의 지속적 사용에서 정보시스템의 특성을 구분하는 기준은 크게 실용적 특성과 헤도닉 특성으로 나눠본 연구[8]를 토대로 구분할 수 있다.

    헤도닉 정보시스템, 웹 포털과 같은 정보시스템의 특성을 구분함에 있어 실용적 특성과 헤도닉 특성을 모두 고려한 연구[8][37][41]에서는 인지된 즐거움(헤도닉 특성)이 인지된 유용성(실용적 특성)보다 더 만족,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제시했다.

    즉, 인지보다는 쾌락이 지속사용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며, 인지된 유용성이 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연구[8]도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사용 의도와 관련된 여러 연구[5][8][17][37]를 토대로 만족과 지속사용 의도를 검증하고자 했고, 따라서 만족에 대해서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사용한 경험을 통해 형성된 만족감으로 정의하고 아래와 같은 가설을 세웠다.

    인지된 즐거움은 쾌락과 관련이 있는 헤도닉 특성을 반영하는 변수로 여러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다 [4][8][27][37][41].

    기대일치는 몇몇 연구[8][17][37]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만족, 인지된 유용성 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GFI의 경우 0.8 이상의 수치라면 정보시스템 연구에서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는 주장[8]이 있고, AGFI가 권장 수치를 충족시켰고, GFI를 제외한 나머지 수치들이 다 권장 수용치를 충족했기 때문에 본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문제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인지된 즐거움과 같은 헤도닉 특성이 인지된 유용성과 같은 실용적 특성보다 더 강하다는 것과 기존의 연구 결과[8][37][41]와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UCC 및 게임, 포털사이트의 지속사용 의도[8][37][41]를 비롯해 일반적으로 헤도닉 특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정보 시스템의 지속사용의도 관련 연구에서 온라인 커뮤니티의 경우에는 이와는 반대로 실용적 특성이 헤도닉 특성에 비해 온라인 커뮤니티의 지속사용의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검증한 점도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으로 볼 수 있다.

  9. 이건창, 정남호, 이종신, "국내 인터넷 뱅킹 사용자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간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경영정보학연구, 제12권, 제3호, pp.192-212, 2002.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 연구모형은 웹 포털 사이트[5][37]와 헤도닉 정보시스템[8], 가상 세계[41], 인터넷 쇼핑몰[9], e-Learning [18][32], 모바일 뱅킹[31]등에 사용된 바 있다.

  10. 이선로, 정연오, "가중화된 기대충족모형을 이용한 인터넷 쇼핑 사이트의 지속적 사용에 관한 연구", 경영과학, 제25권, 제3호, pp.135-156, 2008. 

  11. 이종호, 옥정원, 윤대홍,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에서 콘텐츠 특성, 동일시, 충성도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2호, pp.385-396, 2011. 

    원문보기 상세보기 crossref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온라인상에서 사람들 간 참여가 가능한 가상 커뮤니티[51]로 앞서 정의한 바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사회적 행동은 앞서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에 대한 연구로는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7][11]에서의 반응을 들 수 있다.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에서의 실망감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이 형성될 경우 부정적인 구전을 통해 잠재 고객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7]와 공동체 의식을 통한 동일시 현상은 방문 충성도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11]는 온라인 커뮤니티의 영향력이 가볍지 않다는 시사점을 제시했다.

  12. 이학식, 임지훈,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6.0, 법문사, 2007.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어서 합성 신뢰성은 0.7을 기준치로 하고, 평균 분산 추출 값도 0.5를 기준치로 보고 있다[12].

  13. 전명남, 박혜숙, "온라인 커뮤니티 보조의 팀 학습이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공유된 정신모형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541-552, 2012. 

  14. J. E. Amoli and A. F. Farhoomand, "A Structural model of End User Computing Satisfaction and User Performance," Information and Management, Vol.30, No.2, pp.65-73, 1996. 

  15. Banphot Vatanasombut., Magid Igbaria., Antonis C. Stylianou, and Waymond Rodgers.,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intention of web-based applications customers: The case of online banking," Information & Management, Vol.45, pp.419-428, 2008. 

  16. R. M. Baron and A. D.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외에도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에서 사회적 실재감과는 다소 거리가 있으나 불만족의 표출 방법으로 부정적인 구전 활동을 벌인다는 연구[8],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에서 공동체 의식을 통한 동일시가 방문 충성도를 거쳐 구매 충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16] 등이 진행되었을 정도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행동이 실제 사회에서의 결과물로 나타난다는 것 또한 본 연구의 목표인 사회적 실재감의 영향에 대한 검증에 있어 중요한 배경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지속적 사용의 기대확증모형을 제시한 연구[17]를 바탕으로 온라인 커뮤니티의 지속 사용 의도를 종속 변수로 두고 사회 현상에 있어 순기능 혹은 역기능에 영향을 주는 영향요인으로 지목되는 사회적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을 매개효과 검증 연구[16]을 참고해 보다 더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추가 분석을 위해 매개 효과 분석 연구[16]에서 [그림 3]의 개념을 이용해 [그림 4]의 방법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Aroian test 방법의 공식을 이용하였다.

  17. Bhattacherjee. Anol., "Understanding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an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MIS Quarterly, Vol.25, No.3, pp.351-370, 2001.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온라인 커뮤니티와 관련된 정보시스템 연구에서는 정보기술을 받아들이는 기술수용모형[21]을 이용해 기업의 경우에도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해 고객과의 관계를 형성하고자 하는 연구[4]가 있었으나, 이 연구의 기반이 되는 기술수용모형은 “수용 이전의 변수로는 수용 이후의 단절 현상 설명이 어렵다”고 주장한 연구[17] 가 있을 정도로 기술 수용 이후의 현상을 설명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지속적 사용의 기대확증모형을 제시한 연구[17]를 바탕으로 온라인 커뮤니티의 지속 사용 의도를 종속 변수로 두고 사회 현상에 있어 순기능 혹은 역기능에 영향을 주는 영향요인으로 지목되는 사회적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을 매개효과 검증 연구[16]을 참고해 보다 더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정보시스템 지속적 사용의 기대확증모형[17]은 기술 수용모형[21] 관점에 기대 확증 이론[38]을 기반으로 제시한 연구모형이다.

    이 연구모형을 제시한 연구[17]에서는 지속 사용 관점에서 예상-확증 모형과 기술 수용 모형을 비교한 연구가 없었고, 예상 확증 모형의 변수(만족, 확증)가 기술 수용 모형보다는 이론적으로 지속사용이라는 개념을 더 잘 설명해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대만에서 유명한 것으로 알려진 바 있는 가상 세계(Secondlife)의 지속사용의도를 파악하고자 한 연구[41]에서는 정보시스템의 지속 사용 의도 연구[17]에서 제시된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가상 세계에서의 지속사용의도를 파악하고자 했다.

    정보시스템 지속적 사용의 기대확증모형[17]에서는 만족이 자신의 기대와 일치하는 기대일치, 인지된 유용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언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사용 의도와 관련된 여러 연구[5][8][17][37]를 토대로 만족과 지속사용 의도를 검증하고자 했고, 따라서 만족에 대해서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사용한 경험을 통해 형성된 만족감으로 정의하고 아래와 같은 가설을 세웠다.

    한편 정보시스템의 지속 사용 의도 연구모형[17]을 바탕으로 대만에서 유명한 것으로 알려진 바 있는 가상 세계(Secondlife)의 지속사용의도 연구[41]에서는 인지된 유용성이 정보시스템 지속 사용 의도와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난다고 주장한 바 있다.

    기대일치는 몇몇 연구[8][17][37]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만족, 인지된 유용성 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18. C. M. Chiu and Eric T. G. Wang, "Web-based learning continuance intention: The role of subjective task value," Information & Management, Vol.45, pp.194-201, 2008.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아직까지도 여전히 몇몇 사회적 이슈(다중의 참여 유도, 문제 행동 등)의 중심에 서 있을 정도[48-50]로 많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e-Learning 등에 있어서도 학습자간의 성과 창출[18] 및 협업을 제공하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모형은 웹 포털 사이트[5][37]와 헤도닉 정보시스템[8], 가상 세계[41], 인터넷 쇼핑몰[9], e-Learning [18][32], 모바일 뱅킹[31]등에 사용된 바 있다.

  19. D. Cyr, K. Hassanein, M. Head, and A. Ivanov, "The role of social presence in establishing loyalty in e-service environments," Interacting with computers, Vol.9, No.1, pp.43-56, 2007.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렇듯 가상의 공간을 통한 개인화 서비스 혹은 다중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은 현실 세계에서도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는 가상공간의 현실 세계화가 사용자의 사회적 실재감을 형성한다고 주장을 찾아볼 수 있고[43], 실제 사람(real people)과의 상호 작용을 강조하는 연구[24], 인터넷 커뮤니티 상에서 그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19]가 있을 정도로 많이 언급되고 있는 변수인 사회적 실재감을 빼놓을 수 없다.

  20. D. W. Dahl, R. V. Manchanda, and J. J. Argo, "Embarrassment in Consumer Purchase: The Roles of Social Presence and Purchase Familiarit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8, No.3, pp.473-481, 2001. 

  21.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No.3, pp.319-340, 1989.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온라인 커뮤니티와 관련된 정보시스템 연구에서는 정보기술을 받아들이는 기술수용모형[21]을 이용해 기업의 경우에도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해 고객과의 관계를 형성하고자 하는 연구[4]가 있었으나, 이 연구의 기반이 되는 기술수용모형은 “수용 이전의 변수로는 수용 이후의 단절 현상 설명이 어렵다”고 주장한 연구[17] 가 있을 정도로 기술 수용 이후의 현상을 설명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온라인 커뮤니티 몰입형성 영향요인 연구[4]에서는 사회적 실재감과 기술수용모형[21]을 바탕으로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했다.

    정보시스템 지속적 사용의 기대확증모형[17]은 기술 수용모형[21] 관점에 기대 확증 이론[38]을 기반으로 제시한 연구모형이다.

    정보시스템에서 이러한 사용자의 특성을 잘 반영하는 변수는 인지된 유용성이며, 일반적으로는 “자신에게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믿는 정도[21].”로 정의된다.

  22. F. D. Davis, R. P. Bagozzi, and P. P. Warshaw,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Vol.30, pp.361-391, 1992. 

  23. C. Fornell and D. F. La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Vol.18, No.1, pp.39-50, 1981. 

  24. D. R. Garrison, T. Anderson, and W. Archer, "Critical Inquiry in a Text-based Environment: Computer Conferencing in Higher Education,"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Vol.2, No.2-3, pp.87-105, 2000.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렇듯 가상의 공간을 통한 개인화 서비스 혹은 다중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은 현실 세계에서도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는 가상공간의 현실 세계화가 사용자의 사회적 실재감을 형성한다고 주장을 찾아볼 수 있고[43], 실제 사람(real people)과의 상호 작용을 강조하는 연구[24], 인터넷 커뮤니티 상에서 그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19]가 있을 정도로 많이 언급되고 있는 변수인 사회적 실재감을 빼놓을 수 없다.

    그리고 온라인상에서의 상호 작용에 대해서는 “real people”과의 교류를 주장하며 실제 사람 대 사람의 접촉을 강조하는 연구도 있었다[24].

  25. D. Gefen and D. W. Straub, "Managing User Trust in B2C e-Service," e-Service Journal, Vol.2, No.2, pp.7-24, 2003. 

    인용구절

    인용 구절

    사회적 실재감과 고등 교육 결과에 관한 연구[36]에서는 사회적 실재감과 만족 사이의 관계를 연구한 바 있고, 이외에도 많은 연구가 이뤄져 왔다[25][26][41][44] 한편 한 단계 높은 수준의 인식 프로세스 구축과 같은 맥락에서 트위터(twitter)를 통한 사회적 실재감 증대와 관련된 사례를 제시한 연구[33]에서는 상호 작용[45]을 이용해 사회적 실재감 증대를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실재감이 인지가 되는 요인(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즐거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인지된 즐거움을 통해 만족에도 간접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사회적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존 연구 [4][25][26][36][41][44]에서 주장한 바를 다시 한 번 검증함과 동시에 기존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사회적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을 보다 더 이론적으로 더 공고히 할 수 있었던 점은 본 연구가 가지는 이론적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

  26. C. N. Gunawardena, "Social Presence Theory and Implications for Interaction and Collaborative Learning in Computerr Confer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lecommunications, Vol.1, No.2/3, pp.147-166, 1995. 

    인용구절

    인용 구절

    사회적 실재감과 고등 교육 결과에 관한 연구[36]에서는 사회적 실재감과 만족 사이의 관계를 연구한 바 있고, 이외에도 많은 연구가 이뤄져 왔다[25][26][41][44] 한편 한 단계 높은 수준의 인식 프로세스 구축과 같은 맥락에서 트위터(twitter)를 통한 사회적 실재감 증대와 관련된 사례를 제시한 연구[33]에서는 상호 작용[45]을 이용해 사회적 실재감 증대를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실재감이 인지가 되는 요인(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즐거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인지된 즐거움을 통해 만족에도 간접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사회적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존 연구 [4][25][26][36][41][44]에서 주장한 바를 다시 한 번 검증함과 동시에 기존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사회적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을 보다 더 이론적으로 더 공고히 할 수 있었던 점은 본 연구가 가지는 이론적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

  27. C. N. Gunawardena and F. J. Zittel, "Social Presence as a Predictor of Satisfaction Within a Computer-mediated Conferencing Environment," Th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11, No.3, pp.8-26, 1997.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인지된 즐거움은 쾌락과 관련이 있는 헤도닉 특성을 반영하는 변수로 여러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다 [4][8][27][37][41].

  28. Hans van der Heijden, "Factors influencing the usage of Websites: the case of a generic portal in The Netherlands," Information & Management, Vol.40, No.6, pp.541-549, 2003. 

  29. J. F. Hair, W. C. Black, B. J. Babin, R. E. Anderson, and R. L. Tathan,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Edition, New Jersey, Prentice Hall, 1998. 

  30. L. A. Hayduk,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LISREL: Essentials and Advances, Maryland, The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1987. 

  31. S. Hong, J. Y. L. Thong, and K. Y. Tam, "Understanding continued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behavior: A comparison of three models in the context of mobile internet," Decision support systems, Vol.42, No.3, pp.1819-1834, 2006.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 연구모형은 웹 포털 사이트[5][37]와 헤도닉 정보시스템[8], 가상 세계[41], 인터넷 쇼핑몰[9], e-Learning [18][32], 모바일 뱅킹[31]등에 사용된 바 있다.

  32. Juan Carlos Roca., C. M. Chiu, and Francisco Jose Martinez, "Understanding e-learning continuance intention: An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Vol.64, No.8, pp.683-696, 2006.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 연구모형은 웹 포털 사이트[5][37]와 헤도닉 정보시스템[8], 가상 세계[41], 인터넷 쇼핑몰[9], e-Learning [18][32], 모바일 뱅킹[31]등에 사용된 바 있다.

  33. Joanna C. Dunlap and Patrick R. Lowenthal, "Tweeting the Night Away: Using Twitter to Enhancee Social Presenc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Education, Vol.20, No.2, pp.129-135, 2009. 

    인용구절

    인용 구절

    사회적 실재감과 고등 교육 결과에 관한 연구[36]에서는 사회적 실재감과 만족 사이의 관계를 연구한 바 있고, 이외에도 많은 연구가 이뤄져 왔다[25][26][41][44] 한편 한 단계 높은 수준의 인식 프로세스 구축과 같은 맥락에서 트위터(twitter)를 통한 사회적 실재감 증대와 관련된 사례를 제시한 연구[33]에서는 상호 작용[45]을 이용해 사회적 실재감 증대를 설명하고 있다.

  34. K. G. Joreskog and D. Sorbom, LISREL-VI User's guide, Mooresville, IN, Scientific Software, 1984. 

  35. K. G. Joreskog and D. Sorbom, LISERL 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the SIMPLISTM Command Language, Chicago,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1993. 

  36. J. J. Kim, Y. Y. Kwon, and D. Y. Cho, "Investigating factors that influence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 in distance higher education," Computers & Education, Vol.57, No.2, pp.1512-1520, 2011.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사회적 실재감과 고등 교육 결과에 관한 연구[36]에서는 사회적 실재감과 만족 사이의 관계를 연구한 바 있고, 이외에도 많은 연구가 이뤄져 왔다[25][26][41][44] 한편 한 단계 높은 수준의 인식 프로세스 구축과 같은 맥락에서 트위터(twitter)를 통한 사회적 실재감 증대와 관련된 사례를 제시한 연구[33]에서는 상호 작용[45]을 이용해 사회적 실재감 증대를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실재감이 인지가 되는 요인(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즐거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인지된 즐거움을 통해 만족에도 간접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사회적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존 연구 [4][25][26][36][41][44]에서 주장한 바를 다시 한 번 검증함과 동시에 기존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사회적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을 보다 더 이론적으로 더 공고히 할 수 있었던 점은 본 연구가 가지는 이론적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

  37. C. S. Lin, S. Wu, and R. J. Tsai, "Integrating perceived playfulness into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for Web portal context," Information & Management, Vol.42, No.5, pp.683-693, 2005.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 연구모형은 웹 포털 사이트[5][37]와 헤도닉 정보시스템[8], 가상 세계[41], 인터넷 쇼핑몰[9], e-Learning [18][32], 모바일 뱅킹[31]등에 사용된 바 있다.

    헤도닉 정보시스템, 웹 포털과 같은 정보시스템의 특성을 구분함에 있어 실용적 특성과 헤도닉 특성을 모두 고려한 연구[8][37][41]에서는 인지된 즐거움(헤도닉 특성)이 인지된 유용성(실용적 특성)보다 더 만족,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사용 의도와 관련된 여러 연구[5][8][17][37]를 토대로 만족과 지속사용 의도를 검증하고자 했고, 따라서 만족에 대해서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사용한 경험을 통해 형성된 만족감으로 정의하고 아래와 같은 가설을 세웠다.

    인지된 즐거움은 쾌락과 관련이 있는 헤도닉 특성을 반영하는 변수로 여러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다 [4][8][27][37][41].

    기대일치는 몇몇 연구[8][17][37]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만족, 인지된 유용성 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인지된 즐거움과 같은 헤도닉 특성이 인지된 유용성과 같은 실용적 특성보다 더 강하다는 것과 기존의 연구 결과[8][37][41]와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UCC 및 게임, 포털사이트의 지속사용 의도[8][37][41]를 비롯해 일반적으로 헤도닉 특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정보 시스템의 지속사용의도 관련 연구에서 온라인 커뮤니티의 경우에는 이와는 반대로 실용적 특성이 헤도닉 특성에 비해 온라인 커뮤니티의 지속사용의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검증한 점도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으로 볼 수 있다.

  38. G. G. Moore and I. Benbasat,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Perceptions of Adopting an Information Technology Innovatio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2, No.3, pp.192-222, 1991.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정보시스템 지속적 사용의 기대확증모형[17]은 기술 수용모형[21] 관점에 기대 확증 이론[38]을 기반으로 제시한 연구모형이다.

  39. R. L. Oliver, "A Cognitive Model for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7, No.4, pp.460-469, 1980.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어서 공통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에 대한 측정에서는 회전 제곱합의 적재 값이 한 성분에 절반 정도의 비중이 집중되어 있지 않고, 동시에 나눠진 성분의 개수가 1개 혹은 소수로 나눠지지 않으면 공통방법편의에 의한 문제점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39].

  40. Philip M. Podsakoff, Scott B. MacKenzie, J. Y. Lee, and Nathan P. Podsakoff,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8, No.5, pp.879-903, 2003.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본 연구에서는 지속사용의도에 대한 외부효과 방지 및 정확한 변인 통제를 위해 기존 연구[40]에서 사용된 바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표본을 통해 수집된 자료인 온라인 커뮤니티 사용 기간을 통제 변수로 설정해 실제로 수집된 표본이 본 연구의 자료 검증에 적합한 집단 인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41. D. Reid, "A Model of Playfulness and Flow in Virtual Reality Interactions," Presence, Vol.13, No.4, pp.451-462, 2001. 

    인용구절

    인용 구절

    그리고 몇몇 연구[8][41]에서 언급한 정보시스템의 구분(실용적, 헤도닉 특성)에서 온라인 커뮤니티의 성격을 찾아내고자 하는 것 또한 본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사회적 실재감과 고등 교육 결과에 관한 연구[36]에서는 사회적 실재감과 만족 사이의 관계를 연구한 바 있고, 이외에도 많은 연구가 이뤄져 왔다[25][26][41][44] 한편 한 단계 높은 수준의 인식 프로세스 구축과 같은 맥락에서 트위터(twitter)를 통한 사회적 실재감 증대와 관련된 사례를 제시한 연구[33]에서는 상호 작용[45]을 이용해 사회적 실재감 증대를 설명하고 있다.

    이 연구모형은 웹 포털 사이트[5][37]와 헤도닉 정보시스템[8], 가상 세계[41], 인터넷 쇼핑몰[9], e-Learning [18][32], 모바일 뱅킹[31]등에 사용된 바 있다.

    헤도닉 정보시스템, 웹 포털과 같은 정보시스템의 특성을 구분함에 있어 실용적 특성과 헤도닉 특성을 모두 고려한 연구[8][37][41]에서는 인지된 즐거움(헤도닉 특성)이 인지된 유용성(실용적 특성)보다 더 만족,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제시했다.

    대만에서 유명한 것으로 알려진 바 있는 가상 세계(Secondlife)의 지속사용의도를 파악하고자 한 연구[41]에서는 정보시스템의 지속 사용 의도 연구[17]에서 제시된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가상 세계에서의 지속사용의도를 파악하고자 했다.

    한편 정보시스템의 지속 사용 의도 연구모형[17]을 바탕으로 대만에서 유명한 것으로 알려진 바 있는 가상 세계(Secondlife)의 지속사용의도 연구[41]에서는 인지된 유용성이 정보시스템 지속 사용 의도와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인지된 즐거움은 쾌락과 관련이 있는 헤도닉 특성을 반영하는 변수로 여러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다 [4][8][27][37][41].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인지된 즐거움과 같은 헤도닉 특성이 인지된 유용성과 같은 실용적 특성보다 더 강하다는 것과 기존의 연구 결과[8][37][41]와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통제변수로 사용된 온라인 커뮤니티 사용 경험은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존 연구[41]와는 반대되는 결과이다.

    기존 연구[41]의 경우에는 게임이라는 세계를 통해 사람들과 상호 작용을 하게 되는 점은 온라인 커뮤니티와 매개체만 다를 뿐 상호 작용의 패턴은 동일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실재감이 인지가 되는 요인(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즐거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인지된 즐거움을 통해 만족에도 간접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사회적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존 연구 [4][25][26][36][41][44]에서 주장한 바를 다시 한 번 검증함과 동시에 기존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사회적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을 보다 더 이론적으로 더 공고히 할 수 있었던 점은 본 연구가 가지는 이론적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UCC 및 게임, 포털사이트의 지속사용 의도[8][37][41]를 비롯해 일반적으로 헤도닉 특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정보 시스템의 지속사용의도 관련 연구에서 온라인 커뮤니티의 경우에는 이와는 반대로 실용적 특성이 헤도닉 특성에 비해 온라인 커뮤니티의 지속사용의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검증한 점도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으로 볼 수 있다.

  42. J. C. Richardson and K. Swan, "Examining Social Presence in Online Courses in Relation to Students' Perceived Learning and Satisfaction,"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Vol.7, No.1, pp.68-88, 2000. 

  43. Stuart J. Barnes., "Understanding use continuance in virtual worlds: Empirical test of a research model," Information and Management, Vol.48, No.8, pp.313-319, 2011.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렇듯 가상의 공간을 통한 개인화 서비스 혹은 다중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은 현실 세계에서도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는 가상공간의 현실 세계화가 사용자의 사회적 실재감을 형성한다고 주장을 찾아볼 수 있고[43], 실제 사람(real people)과의 상호 작용을 강조하는 연구[24], 인터넷 커뮤니티 상에서 그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19]가 있을 정도로 많이 언급되고 있는 변수인 사회적 실재감을 빼놓을 수 없다.

    사회적 실재감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면대면이 아닌 비대면적 매체가 가져야 할 중요한 요인이고, “미디어 매개 커뮤니케이션의 인지된 실재감 정도”로 정의되어진다[43].

    실제 사회적 실재감이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4]도 있고, 실재감이 높은 미디어를 더욱 더 많이 사용하고자 한다는 주장[43]도 있다.

  44. J. Short, E. Williams, and B. Christie, The Social Psychology of Telecommunications, London: John Wiley, 1976. 

    인용구절

    인용 구절

    사회적 실재감과 고등 교육 결과에 관한 연구[36]에서는 사회적 실재감과 만족 사이의 관계를 연구한 바 있고, 이외에도 많은 연구가 이뤄져 왔다[25][26][41][44] 한편 한 단계 높은 수준의 인식 프로세스 구축과 같은 맥락에서 트위터(twitter)를 통한 사회적 실재감 증대와 관련된 사례를 제시한 연구[33]에서는 상호 작용[45]을 이용해 사회적 실재감 증대를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실재감이 인지가 되는 요인(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즐거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인지된 즐거움을 통해 만족에도 간접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사회적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존 연구 [4][25][26][36][41][44]에서 주장한 바를 다시 한 번 검증함과 동시에 기존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사회적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을 보다 더 이론적으로 더 공고히 할 수 있었던 점은 본 연구가 가지는 이론적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

  45. G. Reio, Jr Thomas and Susan J. Crim., "Social Presence and Student Satisfaction as Predictors of Online Enrollment Intent," Th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27, No.2, pp.122-133, 2013.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사회적 실재감과 고등 교육 결과에 관한 연구[36]에서는 사회적 실재감과 만족 사이의 관계를 연구한 바 있고, 이외에도 많은 연구가 이뤄져 왔다[25][26][41][44] 한편 한 단계 높은 수준의 인식 프로세스 구축과 같은 맥락에서 트위터(twitter)를 통한 사회적 실재감 증대와 관련된 사례를 제시한 연구[33]에서는 상호 작용[45]을 이용해 사회적 실재감 증대를 설명하고 있다.

  46. L. S. Vygotsky,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47. K. E. Voss, E. R. Spangenberg, and B. Groh-mann, "Measuring the Hedonic and Utilitarian Dimensions of Consumer Attitud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40, No.3, pp.310-320, 2003.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 두 특성에 대한 연구[47]에서는 실용적 특성이 인지된 유용성과 관계가 있는 인지적인 측면이 강한 반면, 헤도닉 특성은 즐거움, 쾌락과 관련이 있는 감정적인 측면이 강한 것으로 구분했다.

  48. http://news.kbs.co.kr/news/NewsView.do?SEARCH_NEWS_CODE2770222&refA 

    인용구절

    인용 구절

    아직까지도 여전히 몇몇 사회적 이슈(다중의 참여 유도, 문제 행동 등)의 중심에 서 있을 정도[48-50]로 많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e-Learning 등에 있어서도 학습자간의 성과 창출[18] 및 협업을 제공하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실제 사회생활에서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48-50].

  49. http://news1.kr/articles/1467794 

    인용구절

    인용 구절

    아직까지도 여전히 몇몇 사회적 이슈(다중의 참여 유도, 문제 행동 등)의 중심에 서 있을 정도[48-50]로 많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e-Learning 등에 있어서도 학습자간의 성과 창출[18] 및 협업을 제공하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실제 사회생활에서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48-50].

  50.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6774513&cpnv 

    인용구절

    인용 구절

    아직까지도 여전히 몇몇 사회적 이슈(다중의 참여 유도, 문제 행동 등)의 중심에 서 있을 정도[48-50]로 많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e-Learning 등에 있어서도 학습자간의 성과 창출[18] 및 협업을 제공하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실제 사회생활에서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48-50].

  51. http://en.wikipedia.org/wiki/Online_community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렇듯 온라인 커뮤니티는 온라인상에서 사람들 간 참여가 가능한 가상 커뮤니티[51]로 정의할 수 있는데 사람과 사람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1대 1이 아닌 다양한 형태(다대다, 1대다 형태)로 제공하고 있으며, 지리적인 공간을 넘어 사회 성원들의 지속적인 글 작성, 댓글 달기 등의 대화 채널을 통한 사회적 교류, 인맥 증대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온라인상에서 사람들 간 참여가 가능한 가상 커뮤니티[51]로 앞서 정의한 바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사회적 행동은 앞서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에 대한 연구로는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7][11]에서의 반응을 들 수 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