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 조직문화에 대한 국내 간호연구 고찰
Review of Research o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2, 2014년, pp.387 - 395  

박광옥 (국립순천대학교 간호학과) ,  박성희 (경민대학교 간호학과) ,  유미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간호학에서 조직문화연구의 현 상태는 물론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일환으로 '간호조직문화'와 관련된 연구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국내의 간호 조직문화와 관련된 한국연구재단 등재 후보지 이상의 논문을 검색하였고 해당 논문을 분석하였다. 총 30편의 논문이 최종 선별되었으며 그 수에 있어 1990년대 말 이후 논문수가 증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논문들은 비 실험연구이며 관계지향적 문화, 혁신 지향적 문화, 위계 지향적 문화, 업무 지향적 문화로 구성된 문화유형을 정의하고 있는 경쟁가치모델의 이론적 접근과 도구를 사용하고 있었다. 간호조직문화와의 관계를 보고자 하는 요인들은 주로 직무만족, 조직몰입, 유효성 등간의 상관관계를 보고자 하는 연구들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의 간호 조직문화에 대한 다음 단계의 연구에서 다양한 접근방법과 연구방법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uthors reviewed research related to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in order to determine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as well as the current statu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Research that analyzed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were selected from journal articles in Korea and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나날이 급변하는 역동적인 의료 환경에서 간호생산성과 경쟁력의 핵심요소로 작용하는 간호조직문화를 규명하고자 하는 일환으로 시행되었으며 구체적으로 국내에서 수행된 기존 간호조직문화 관련 연구의 분석을 통해 향후 간호조직문화 연구에서 필요한 방향과 방법들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시도하였다.
  • 이러한 개념들을 정리해보았을 때 직무만족이 가장 많았으며 조직몰입, 조직유효성, 조직성과, 이직 등과 같은 성과변수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간호사의 정보역량, 감정노동, 사건보고, 임파워먼트, 혁신행동, 셀프리더십 등과의 관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 연구 종속 변수로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진 개념들은 직무만족이 가장 많았으며 조직몰입, 조직유효성, 조직성과, 이직 등과 같은 성과변수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간호조직문화에 대한 접근과 정의를 다른 학문에서 다룬 이론을 이용하여 간호지식체로의 발전이나 이론개발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간호조직문화와 관련된 연구 현황을 분석하여 간호조직문화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구성내용, 도구, 연구에서 같이 다루고 있는 변수를 파악하고자하며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연구 발표된 간호조직문화와 관련된 연구들을 분석하여 간호사와 간호조직을 대상으로 한 조직문화에 대한 지식의 상태를 추론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따라서 조직의 사업내용과 환경, 구성원이 조직마다 다른 만큼, 조직문화도 조직마다 각기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조직문화의 특성을 규명하고자하는 일환으로 국내에서 수행된 기존 간호조직문화와 관련된 연구의 동향과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간호학 분야에서 다루어진 조직문화에 대한 지식의 상태를 살펴보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문화에 대한 개념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가? 조직문화에 대한 개념들은 인간관계론이 대두된 1930년대에 처음으로 개발되었지만 입원기간, 의료비 지불제도, 관리의료(managed care)제도, 의료비용 절감, 직원과 환자의 불만족에 대한 연구가 보고된 1980년대부터 의료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1]. 간호계에서도 의료서비스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과 질 관리 일환으로, 환자안전문제의 개선을 위한 중재나 노력이 전반적인 의료의 질을 향상시킨다고 보고되면서 이에 영향을 주는 조직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다[2][3].
조직문화에 대한 관심은 어디에 바탕을 두고 있는가? 조직문화는 조직이론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실무자들의 많은 관심을 끌어온 연구주제이다. 조직문화에 대한 이러한 관심은 조직문화가 기업경쟁력의 원천이 되어 조직성과의 향상을 가져오는 중요한 하나의 요인이라는 기본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있다.
조직문화와 관련된 연구는 크게 조직문화의 구성요소, 유형 및 성과에 관한 연구들이 있는데 각각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지금까지의 조직문화와 관련된 연구는 크게 조직문화의 구성요소, 유형 및 성과에 관한 연구들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는 조직문화가 어떻게 구성되는가를 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가치관, 신념, 규범, 관습 등 여러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제윤[4]은 조직문화의 구성요소는 연구자의 연구방법이나 시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하였다. Pascale과 Athos[5]의 7S모형에서 조직문화의 구성요소는 공유가치(shared value), 전략 (strategy), 구조(structure), 관리시스템(system), 구성원(staff), 관리기술(skill), 리더십 스타일(style)로 정의 되고 있으며 Schein[6]은 조직문화를 조직 구성원의 일반적인 인식수준을 중심으로 잠재적 단계, 인식단계, 가시적 단계로 설명하며, 조직문화의 구성요소를 기본적인 가정(basic assumption), 가치관(values) 및 인공물과 창조물(artifacts and creators)로 제시하였다. 또 Deal과 Kennedy[7]는 또 다른 관점에서 조직문화형성에 작용하는 중요 요소로서 조직의 환경(environment), 기본가치(value), 중심인물(heroes), 의례와 의식(rites and rituals), 문화적 네트워크(cultural network)를 들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간호조직문화에 대한 연구에서 이러한 의문이나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는 많지 않아 보인다. 둘째는 조직문화를 어떻게 유형화할 것인가에 관한 것으로, 이는 어떤 문화가 보다 여러 가지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나 성과와 관련하여 유효성이 높은가를 설명하기 위한 과정에서 나온 것들로 현존하는 조직문화를 이해하고 원하는 바람직한 조직문화를 개발하려면 자기조직의 총제적인 조직문화유형을 진단하여야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학자들마다 조직문화의 구성요소 중에서 어떤 관점이나 변수 또는 속성을 강조하느냐에 따라서 다양하게 조직문화를 분류하고 있어 단일화된 조직문화 유형 분류의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조직문화 유형을 분류함에 있어서 하나의 변수나 속성을 중심으로 한 일차원적인 분류와 두 개의 속성이나 변수를 기준으로 한 이차원적인 분류로만 이루어져 있다. 일차원적인 분류기준을 이용한 조직문화의 대표적인 연구는 경쟁가치모형에 기초한 Quinn과 McGrath [8]의 연구이고 이차원적 접근과 경영학분야에서 비교적 잘 알려진 유형은 Deal과 Kennedy[2], Harrison [9], 국내학자로는 서인덕[10]이 제시한 유형 접근법 등이 있다. 세 번째는 조직문화와 성과에 대한 관계 규명을 위해 노력해온 연구로 조직의 목적을 달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문화가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를 주로 보고자 하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간호학에서의 대부분의 논문이 이 세 번째 유형이며 이들 논문에서 간호조직문화는 구성원들의 행동과 조직전체의 행동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고 성과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질적인 간호가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변수로 확인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R. Gershon, P. W. Stone, S. Bakken, and E. Larson,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climate in healthcar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34, No.1, pp.33-40, 2004. 

  2. D. Conklin, V. MacFarland, A. Kinnie-Steeves, and P.Chenger, "Medication errors by nurses: Contributing factors. Alberta Association of Registered Nurses News, Vol.41, No.1, pp.8-9, 1990. 

  3. 한수정, "병원 간호조직문화와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제8권, 제3호, pp.441-445, 2002. 

  4. 이제윤, 조직문화유형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항운영 공기업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1. 

  5. R. Pascale and A. Athos, The art of Japanese management, Penguin Books, London, 1981. 

  6. E. H. Schein,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2nd ed. Jossey-Bass Publishers, CA:San Francisco, 1992. 

  7. T. Deal, A. Kennedy, and A. Spiege, "How to create an outstanding hospital culture," Hospital Forum, Vol.26, pp.21-24, 1983. 

  8. R. E. Quinn and M. R. McGrath, The transform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A Competing Value Perspectives in P.J. Frost et al.(Eds.). Organizational Culture Beverly Hills, Sage. pp.315-334, 1985. 

  9. R. Harrison, "Understanding your organization's character," Harvard Business Review, May-June, pp.25-43, 1972. 

  10. 서인덕, 한국 기업의 조직문화유형과 조직특성간의 관계성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11. 병원간호사회, "2009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 2009년도 사업보고서, 2010. 

  12. 김세영, 김종경, 박광옥, "프리셉터 간호사의 역할경험", 간호행정학회지, 제18권, 제1호, pp.33-45, 2012. 

  13. 엄영란, 임숙빈, 강소영, 박광옥, 송경자, 이선희, 병원이 선택하는 탁월한 신입 간호사 1%. 현문사, 2009. 

  14. 병원간호사회. 임상현장에서의 긍정적인 간호문화 도출, 2012년도 사업보고서, 2013. 

  15. S. Scott-Findlay and C. A. Estabrooks, "Mapp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research in nursing: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56, No.5, pp.498-513, 2006. 

  16. 이혜남, 임청환, "방사선사의 조직문화와 셀프리더십 유형으로 본 조직유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292-300, 2013. 

  17. R. Goffee and G. Jones, "Why should anyone be led by you?," Harvard Business Review, Sept-Oct, pp.63-70,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