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에 대한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Well-dying Program o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8 no.3, 2015년, pp.188 - 195  

문현정 (극동대학교 간호학과) ,  차선경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  정성원 (극동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죽음준비와 죽음 및 웰다잉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였다. 대상자는 간호대학생으로서 실험군 32명, 대조군 36명이었다.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은 1회에 90~150분씩, 프로그램 소개와 죽음의 의미 탐색, 사망전 정리해야 할 일, 장례준비, 유언장 작성 등 5회에 걸쳐 워크숍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chi}^2$ test, paired t-test와 ANC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중재 전 후에 실험군의 죽음준비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t=2.61, P=0.014), 중재 후 실험군의 죽음에 대한 인식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154.15, P<0.001). 그러나 웰다잉 인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죽음에 대한 체험을 바탕으로 한 워크숍 형태의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웰다잉 인식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죽음준비인식과 죽음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죽음과 관련된 인식을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되는 중재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examined the effects of a well-dying program on nursing students in terms of death preparation, death recognition and perception of well-dying perception. Method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quasi-experimental and non-synchronized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he study was co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죽음준비와 죽음 및 웰다잉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죽음준비와 죽음 및 웰다잉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다.
  • 1회기에서는 연구자 소개와 함께 파워포인트를 이용하여 웰다잉 프로그램에 대하여 강의하였다. 아울러 참여자의 관계 증진 및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동기를 부여하는데 주력하였다.
  • 간호에는 간호사 자신의 삶과 죽음에 대한 생각과 가치관이 반영되므로 미래에 간호사가 될 간호대학생들은 임종과 관련된 지식 외에도 삶과 죽음에 관한 개인적 가치와 철학을 명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8).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자신의 죽음에 대한 성찰과 인식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죽음준비와 죽음 및 웰다잉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 간호사로서 임종을 맞이하는 환자를 잘 돌보기 위해서는 간호대학생 과정에서 죽음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인식하고 직면할 필요가 있다(35).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들이 자신의 죽음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죽음준비와 죽음 및 웰다잉에 대한 인식수준을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변의 죽음을 경험하기 힘든 청년기에 속하지만 향후 임상실습교육과정에서 임종에 가까운 환자를 접하게 될 간호학과 1, 2학년 학생에게 5회기의 워크숍 형태의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여 자신의 죽음에 대해 생각하고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죽음준비와 죽음 및 웰다잉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hochinov이 주장한 웰다잉을 구성하는 요소는? Chochinov(6)는 웰다잉을 구성하는 요소로 증상 조절, 죽음 준비, 삶의 마감 또는 완성의 기회, 의료진과의 좋은 관계를 제시하고 있는데,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질적연구에 따르면(7) 기계적 장치에 매달리지 않는 죽음, 자연에 순응하는 죽음, 가족과 함께 하는 죽음, 의미 있는 죽음, 자기파괴적이 아닌 죽음, 의료전문가의 공감적 도움을 받는 죽음으로 설명하였다.
Kim과 Kim이 죽음에 대한 간접체험을 기반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한 이유는? Kim과 Kim(16)의 연구에서 간호대학생들의 죽음교육에 대한 요구도(91.0%)가 높았는데 약 64.0%의 간호대학생은 죽음과 뇌사, 호스피스 등의 정확한 의미에 대한 교육을 원하였고, 관에 들어가거나 유언장을 써보는 간접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교육방법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죽음에 대한 간접체험을 기반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부과정에 도입하여 죽음에 대한 긍정적 태도 변화를 가져오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웰다잉이란? 특정한 시기가 아닌 모든 세대에 걸친 죽음과 관련된 교육은 생명윤리와 존엄을 토대로 구성되어야 하며(3), 최근에는 죽음에 대한 이러한 인식변화의 일환으로 생의 마지막 순간들을 의미 있게 맞을 수 있는 죽음 즉, 웰다잉(well-dying)에 대한 관심과 사회적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4). 웰다잉은 웰빙(well-being)과 상대적인 개념으로 죽음을 삶의 연속선상에서 개념화하여 잘 죽어가는, 행복하게 죽어가는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Moon YS. Well-dying generation beyond well-being. Health & Mission 2010;20:26-31. 

  2. Kim MH, Kwon KJ, Lim YO. Study on 'good death' that Korean aged people recognize - blessed death. Korean J Soc Welf 2004;56:195-213. 

  3. Moon SY. A study on bio-ethics in university education. J Korean Bioethics Assoc 2009;10:13-24. 

  4. Yun YH, Rhee YS, Nam SY, Chae YM, Hea DS, Lee SW, et al. Public attitude toward dying with dignity and hospice. palliative car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4;7:17-28. 

  5. Yoo KJ. Conditions and direction of well-dying from the viewpoint standing on the contemporary cultural context of Korean's. The Soc East Philos 2008;55:7-43. 

  6. Chochinov HM. Dying, dignity, and new horizons in palliative end-of-life care. CA Cancer J Clin 2006;56:84-103. 

  7. Jo KH, Sohn KC. Types of attitude toward dignified dying expressed by undergraduate Korean students majoring in human service area: Q-methodological approach. J Korean Acad Adult Nurs 2010;22:130-42. 

  8. Jo KH. The meaning of dignified dying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0;16:72-82. 

  9. Youn JH, Ha JY. Nurses' awareness of death and meaning of life.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3;20:381-8. 

  10. Becker C. Death education and religion in schools and modern society. Korean J Relig Educ 2004;19:3-22. 

  11. Jung HC. Well-dying that health care provider should know. 2010 Annual Meeting Korean Academy of Clinical Geriatrics; 2010 Apr 10-11; Seoul, Korea. Seoul: Korean Academy of Clinical Geriatrics; 2010;11:273-6. 

  12. Kang KA. Comparison of meaning in life and death attitude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 well-dying education. J Korean Oncol Nurs 2010;10:156-62. 

  13. Kim EH, Lee E. Effects of a death education program on life satisfaction and attitude toward death in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Nurs 2009;39:1-9. 

  14. Shim HW. A study on the cognition and attitude on well-dying in undergraduate students : Q methodological approach.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2;19:233-43. 

  15. Lee YE, Choi EJ, Park JS. Effect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ducation on knowledge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attitude toward death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Pubilc Health Nurs 2012;26:280-8. 

  16. Kim SH, Kim DH. Nursing students' attitude to death, deathrelated education experience and educational need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1;17:405-13. 

  17. Lee SW, Lee SY, Lee YW, Kuwano N, Ando M, Hayashi M, et al. Comparison of attitudes toward death among nursing students from South Korea, Japan and Indonesia.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2;15:212-21. 

  18. Cho HJ, Kim ES. The effect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on the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of nursing student.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5;8: 163-72. 

  19. Matzo ML, Sherman DW, Lo K, Egan KA, Grant M, Rhome A. Strategies for teaching loss, grief, and bereavement. Nurse Educ 2003;28:71-6. 

  20. Kim SH, Kim DH.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death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Proceedings of Fall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2012 Oct 26; Seoul, Korea. Seoul: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2012. 

  21. Kim SN, Choi SO, Lee JJ, Shin KI. Effects of death education program on attitude to death and meaning in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2005;22:141-53. 

  22. Yoon MO. The effects of a death preparing education program on death anxiety, spiritual well-being, and meaning of life in adul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09;20:513-21. 

  23. Jung EJ. Analysis of welldying program effectiveness. Asia-Pacific J Business Venturing Entrepreneurship 2012;7:189-94. 

  24. Morrison GR, Ross SM, Kemp JE, Kalman H. Designing effective instruction. 6th ed. Hoboken, NJ:Wiley;2010. 

  25. Jung EJ, Byun SH. Impact of education for welldying on workers related to senior welfare. J Korea Contents Assoc 2012:12:215-22. 

  26. Kim HM.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s for the death among the aged -with the aged who live in Su-won city [master's thesis]. Yongin: Kangnam Univ.; 2001. Korean. 

  27. Lee Y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consciousness regarding preparation for death and anxiety of death [master's thesis]. Seoul: Catholic Univ.; 2005. Korean. 

  28. Han MS, Kim BH. The meaning to death of cancer care nurses : Q-methodological application. Hanyang Med Rev 1999;19:179-85. 

  29. Kim MA. The perception of death to life style, quality of life, spiritual health in adult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 2006. Korean. 

  30. Schwartz CE, Mazor K, Rogers J, Ma Y, Reed G. Validation of a new measure of concept of a good death. J Palliat Med 2003; 6:575-84. 

  31. Jeong HS. Recognition towards good death among physicians and nurses in an area [master's thesis]. Pusan: Catholic Univ.; 2010. Korean. 

  32. Jo KH, Lee HJ, Lee YJ.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online education on death. J Korean Acad Nurs 2007;37:442-52. 

  33. Dobbins EH. The impact of end-of-life curriculum content on the attitudes of associate degree nursing students toward death and care of the dying. Teach Learn Nurs 2011;6:159-66. 

  34. Mallory JL. The impact of a palliative care educational component on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dying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 Prof Nurs 2003;19:305-12. 

  35. Edo-Gual M, Tomas-Sabado J, Bardallo-Porras D, Monforte-Royo C. The impact of death and dying on nursing students: an explanatory model. J Clin Nurs 2005;23:3501-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