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말기암환자의 혈중 Visfatin 농도와 식욕부진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Plasma Visfatin Level and Anorexia in Terminal Cancer Patient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7 no.1, 2014년, pp.18 - 26  

이소진 (고려대학교 의학대학 가정의학교실) ,  이준용 (고려대학교 의학대학 가정의학교실) ,  최윤선 (고려대학교 의학대학 가정의학교실) ,  이준영 (고려대학교 의학대학 통계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식욕부진은 호스피스 암환자의 흔한 증상이며 여러 문헌에서 먹는 행동(feeding behavior)을 조절하는데 있어 visfatin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말기암환자에서 증가한 visfatin 농도가 식욕조절과 영양상태 항상성 조절에 관여할 것이라 가설을 세웠다. 방법: 2009년 7월부터 2010년 7월까지 13개월 동안, 만 20세 이상의 말기암환자 69명을 대상으로 혈장 visfatin 농도를 측정하였다.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 활력 징후, 원발암 부위, 암 치료 경력, 투약상황, ECOG(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수행지수, 혈색소, 백혈구 수, C-반응성 단백질, 총 콜레스테롤, 알부민, 림프구수, 혈당, 혈액요소질소, 크레아티닌, TNF-${\alpha}$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ukin-6, 렙틴 등의 혈액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65.5세였고 단변량 분석상 맥박, ECOG 수행 지수, opioid 사용여부, visfatin 농도에 따라 식욕부진이 있는 군과 없는 군의 차이를 보였다. Visfatin 농도는 단변량 분석결과 식욕부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323) 식욕부진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보정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에서는 통계학적인 관련성이 사라졌다. 영양지표들 중 체질량 지수, 렙틴, 총 콜레스테롤과는 관련이 없었으나 림프구수(P=0.0198) 혈중 albumin 농도(P=0.0013)와 중간 정도의 음의 관련성을 나타냈다. 결론: 호스피스 암환자에서 visfatin과 식욕부진의 관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향후 기전에 대한 연구와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norexia is a common symptom in terminal cancer patients. Some data have suggested a role of visfatin in regulating feeding behavior. We studied the relationship of a serum visfatin level and anorexia in cancer patients provided with hospice care. Methods: After informed consent was obtain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말기암환자들의 식욕부진은 영양상태의 불량을 초래하는데 영양상태의 불량은 환자의 예후 및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친다. 식욕부진의 원인으로는 환자의 임상증상이나 질병상태뿐 아니라 식욕부진을 유발하는 싸이토카인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기존의 연구에서 식욕부진과 관련이 되어있다고 알려진 visfatin과 말기암환자의 식욕부진의 관계를 연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 하지만 호스피스 암환자들의 육체적, 정신적 아픔으로 인해 연구에 대한 참여가 어려운 점을 고려할 때 한국인을 대상으로 단일기관에서 69명의 암환자들이 참여했고 visfatin이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로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되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visfatin을 연구함으로써 지방세포가 단지 과도한 영양분의 저장소로만 쓰이는 것이 아니며 활동적이고 다이나믹한 내분비 작용의 하나로 visfatin의 식욕 촉진 역할(orexigenic effect)을 추정해 볼 수 있는 기초 연구로서 그리고 여러 문헌에서 밝혀진 visfatin과 영양지표, 염증인자와의 관련성을 검증함으로써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가설 설정

  • 목적: 식욕부진은 호스피스 암환자의 흔한 증상이며 여러 문헌에서 먹는 행동(feeding behavior)을 조절하는데 있어 visfatin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말기암환자에서 증가한 visfatin 농도가 식욕조절과 영양 상태 항상성 조절에 관여할 것이라 가설을 세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성 악액질이란 무엇인가? 말기암환자는 식욕부진을 흔히 호소하며 전체 암환자의 10∼20%에서 체중 감소로 인한 악액질로 사망한다. 암성 악액질은 암의 직접적인 혹은 간접적인 영향 으로 인하여 지속적인 체중감소(병전 체중의 10% 이상) 와 식욕부진, 지방 조직 및 근육의 쇠퇴, 영양학적 대사 불균형 등을 초래하는 증후군이라고 정의한다(1).
싸이토카인의 역할은 무엇인가? 식이 섭취의 중추 전달 체계를 제어하는 말초 전달 조절자로 ghrelin 같은 호르몬이 존재하 는데 이는 식욕을 자극하는 orexigenic hormone으로 작용하며(11) 식욕을 억제하는 anorexigenic hormone으로 leptin 등이 알려져 있다(12). 이러한 식이 조절 전달 경로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 물질이 싸이토카인이며, 이는 손상된 조직에 림프구, 중성구, 단핵구와 그 밖의 손상복구 세포들을 유도하여 손상을 회복시키는데 주된 역할을 한다. 암성 악액질에서 싸이토카인의 기능은 중요한데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Interukin-1 (IL-1), Interukin-6 (IL-6), interferon-gamma (INF-γ), 그리고 leukemia inhibitory factor (LIF) 등의 싸이토카인들은 암성 악액 질의 주요 인자로 작용하며 종양이나 정상조직에서 생성되어 식욕부진을 유발한다.
비만환자에게 visfatin 수치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Visfatin은 지방조직으로부터 생성, 분비되는 adipokine 중 하나로 52 kDa의 단백으로 피하지방보다는 내장지 방에 많이 존재한다. 따라서 내장지방이 많은 비만환자에서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비만 여성 92명을 대상으로 한 visfatin 연구에 의하면 비만 환자에서 visfatin 수치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아져 있었으며(P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ruera E. ABC of palliative care. Anorexia, cachexia, and nutrition. BMJ 1997;315:1219-22. 

  2. Suh SY, Choi YS, Shim JY, Kim YS, Yeom CH, Kim D, et al. Construction of a new, objective prognostic score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 multicenter study. Support Care Cancer 2010; 18:151-7. 

  3. Chow E, Harth T, Hruby G, Finkelstein J, Wu J, Danjoux C. How accurate are physicians' clinical predictions of survival and the available prognostic tools in estimating survival times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Clin Oncol (R Coll Radiol) 2001;13:209-18. 

  4. Vigano A, Donaldson N, Higginson IJ, Bruera E, Mahmud S, Suarez-Almazor M. Quality of life and survival prediction in terminal cancer patients: a multicenter study. Cancer 2004;101:1090-8. 

  5. Rosenthal MA, Gebski VJ, Kefford RF, Stuart-Harris RC. Prediction of life-expectancy in hospice patients: identification of novel prognostic factors. Palliat Med 1993;7:199-204. 

  6. Bruera E, Miller MJ, Kuehn N, MacEachern T, Hanson J. Estimate of survival of patients admitted to a palliative care unit: a prospective study. J Pain Symptom Manage 1992;7:82-6. 

  7. Pirovano M, Maltoni M, Nanni O, Marinari M, Indelli M, Zaninetta G, et al. A new palliative prognostic score: a first step for the staging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ltalian Multicenter and Study Group on Palliative Care. J Pain Symptom Manage 1999;17:231-9. 

  8. Kalantar-Zadeh K, Block G, McAllister CJ, Humphreys MH, Kopple JD. Appetite and inflammation, nutrition, anemia, and clinical outcome in hemodialysis patients. Am J Clin Nutr 2004;80:299-307. 

  9. Engel JH, Siewerdt F, Jackson R, Akobundu U, Wait C, Sahyoun N. Hardiness, depression, and emotional well-being and their association with appetite in older adults. J Am Geriatr Soc 2011;59:482-7. 

  10. Caliskan Y, Yelken B, Gorgulu N, Ozkok A, Yazici H, Telci A, et al. Comparison of markers of appetite and inflammation between hemodialysis patients with and without failed renal transplants. J Ren Nutr 2012;22:258-67. 

  11. Robertson MD, Henderson RA, Vist GE, Rumsey RD. Plasma ghrelin response following a period of acute overfeeding in normal weight me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4;28:727-33. 

  12. Smiechowska J, Utech A, Taffet G, Hayes T, Marcelli M, Garcia JM. Adipokines in patients with cancer anorexia and cachexia. J Iinvesting Med 2010;58:554-9. 

  13. Geissbuhler P, Mermillod B, Rapin CH. Elevated serum vitamin B12 levels associated with CRP as a predictive factor of mortality in palliative care cancer patients: a prospective study over five years. J Pain Symptom Manage 2000;20:93-103. 

  14. McMillan DC, Elahi MM, Sattar N, Angerson WJ, Johnstone J, McArdle CS. Measurement of the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predicts cancer-specific and non-cancer survival in patients with cancer. Nutr Cancer 2001;41:64-9. 

  15. Bottcher Y, Teupser D, Enigk B, Berndt J, Kloting N, Schon MR, et al. Genetic variation in the visfatin gene (PBEF1) and its relation to glucose metabolism and fat-specific messenger ribonucleic acid expression in humans. J Clin Endocrinol Metab 2006;91:2725-31. 

  16. Blakemore AI, Meyre D, Delplanque J, Vatin V, Lecoeur C, Marre M, et al. A rare variant in the visfatin gene (NAMPT/PBEF1) is associated with protection from obesity. Obesity (Silver Spring) 2009;17:1549-53. 

  17. Fukuhara A, Matsuda M, Nishizawa M, Segawa K, Tanaka M, Kishimoto K, et al. Visfatin: a protein secreted by visceral fat that mimics the effects of insulin. Science 2005;307:426-30. 

  18. Olszanecka-Glinianowicz M, Kocelak P, Janowska J, Skorupa A, Nylec M, Zahorska-Markiewicz B. Plasma visfatin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 $\alpha$ ) levels in metabolic syndrome. Kardiol Pol 2011;69:802-7. 

  19. Chen MP, Chung FM, Chang DM, Tsai JC, Huang HF, Shin SJ, et al. Elevated plasma level of visfatin/pre-B cell colony enhancing factor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 Clin Endocrinol Metab 2006;91:295-9. 

  20. Lajunen TK, Purhonen AK, Haapea M, Ruokonen A, Puukka K, Hartikainen AL, et al. Full-length visfatin levels are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Eur J Clin Invest 2012;42:321-8. 

  21. Carrero JJ, Witasp A, Stenvinkel P, Qureshi AR, Heimburger O, Barany P, et al. Visfatin is increased in chronic kidney disease patients with poor appetite and correlates negatively with fasting serum amino acids and triglyceride levels. Nephrol Dial Transplant 2010;25:901-6. 

  22. Cline MA, Nandar W, Prall BC, Bowden CN, Denbow DM. Central visfatin causes orexigenic effects in chicks. Behav Brain Res 2008;186:293-7. 

  23. Sun G, Bishop J, Khalili S, Vasdev S, Gill V, Pace D, et al. Serum visfatin concentration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rum triacylglycerols and down-regulated by overfeeding in healthy young men. Am J Clin Nutr 2007;85:399-404. 

  24. Kovacikova M, Vitkova M, Klimcakova E, Polak J, Hejnova J, Bajzova M, et al. Visfatin expression in subcutaneous adipose tissue of pre-menopausal women: relation to hormones and weight reduction. Eur J Clin Invest 2008;38:516-22. 

  25. Hallschmid M, Randeva H, Tan BK, Kern W, Lehnert H. Relationship between cerebrospinal fluid visfatin (PBEF/Nampt) levels and adiposity in humans. Diagetes 2009;58:637-40. 

  26. Weeks JC, Cook EF, O'Day SJ, Peterson LM, Wenger N, Reding D, et al. Relationship between cancer patients' predictions of prognosis and their treatment preferences. JAMA 1998;279:1709-14. 

  27. Morita T, Tsunoda J, Inoue S, Chihara S. The Palliative Prognostic Index: a scoring system for survival prediction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Support Care Cancer 1999;7:128-33. 

  28. Maltoni M, Pirovano M, Scarpi E, Marinari M, Indelli M, Arnoldi E, et al. Prediction of survival of patients terminally ill with cancer: Results of an ltalian prospective multicentric study. Cancer 1995;75:2613-22. 

  29. Reuben DB, Mor V, Hiris J. Clinical symptoms and length of survival in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Arch lntern Med 1988;148:1586-91. 

  30. Sungurtekin H, Sungurtekin U, Hanci V, Erdem E. Comparison of two nutrition assessment techniques in hospitalized patients. Nutrition 2004;20:428-32. 

  31. Zabel R, Ash S, King N, Bauer J.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appetite sensations, markers of inflammation and appetite in dialysis patients. J Hum Nutr Diet 2009;22:343-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