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혈병 생존 청소년의 신체적.정서적 후유장애, 사회적응 및 삶의 질
Late Effects, Social Adjustment, and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 Survivors of Childhood Leukemi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1, 2014년, pp.55 - 63  

홍성실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박호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김광성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BMT 센터) ,  최선희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BMT 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late effects, social adjustment, and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s who had been completely treated for childhood leukemia and their parents. Methods: Participants consisted of 41 pairs of adolescent survivors (13-18 years) and their parents. Par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설문지는 18세 이하 소아·청소년의 부모가 아동의 신체, 사회, 정서 영역 전반에 대해 응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소아암 생존 청소년들의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 본 연구는 백혈병 생존 청소년과 부모가 인지하는 생존 청소년의 신체적, 정서적 후유장애의 정도와 사회적응 및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소아백혈병 생존 청소년들의 후유장애를 파악하고 그들의 사회 적응과 삶의 질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 대학병원을 방문한 소아백혈병 생존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제한점이 있지만, 지금까지 국내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소아백혈병 완치 후 생존한 청소년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신체적 후유장애와 정서적 후유장애 및 사회 적응과 삶의 질 전반을 다루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백혈병을 포함한 소아암 생존자 들을 대상으로 이루어 질 앞으로의 연구에 기초자료로도 충분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 본 연구에서는 소아백혈병 생존 청소년들의 건강상태와 그들의 사회 적응 및 삶의 질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다수의 기존 연구들이 백혈병을 포함한 소아암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고, 청소년이 아닌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기에 본 연구의 결과를 직접적으로 비교 분석하기는 어려웠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백혈병 생존 청소년과 부모가 인지하는 생존 청소년의 신체적, 정서적 후유 장애 정도와 사회적응 및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그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소아암 생존자들의 정서 상태를 측정한 선행 연구들[10,15,16]을 근거로 하였다. 이 설문지는 6세에서 18세까지 아동과 부모를 대상으로 다양한 외상 경험에 대해 빠르고 간편하게 외상 후 증상을 선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최근 일주일 간의 증상을 바탕으로 응답하도록 되어있다. 아동용 26문항, 부모용 32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점수는 3점 척도로 “전혀 아님 혹은 거의 아님”은 0점, “어느 정도 혹은 때때로 맞음” 은 1점, 그리고 “정말 맞음 혹은 자주 맞음”은 2점으로 계산한 후 전체 총점을 구하며 총점이 높을수록 외상 후 증상이 높은 것을 의미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소아 백혈병으로 진단을 받고 치료 후 완치 판정을 받은 생존 청소년과 부모를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하고 있는 신체적·정서적 후유장애의 정도 및 사회적응과 삶의 질 정도를 규명함으로, 백혈병 생존 청소년들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장기에 있는 아동에게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이러한 집중적인 치료과 정은 완치된 이후에도 생존자들에게 이차종양발생, 만성 건강 문제, 내분비장애, 시각장애, 성장장애, 비만, 불임 등의 신체적 후유 장애를 남기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5]. 성장기에 있는 아동에게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은 학습장애와 기억력장애 등의 신경 인지장애를 유발하며[6], 백혈병 치료과정의 경험이 아동에게 있어서 고통스러운 기억으로 남아 완치 판정을 받은 이후에도 생존자들은 여전히 불안과 우울,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등의 정서적 후유 장애를 경험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4,5]. 또한, 소아암 생존자들은 그들의 형제, 자매들에 비해 낮은 사회 적응을 보여 결과적으로 낮은 대학 입학률, 높은 실업률 및낮은 결혼률을 나타냈다[7].
소아암 중 백혈병치료를 위해 어떤 치료방법이 병행되는가? 한편, 소아암 발생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백혈병의 경우, 환아들은 어린 나이에 치료를 위해 항암화학요법, 조혈모세포 이식요법과 방사선 치료를 병행해 왔다. 이러한 집중적인 치료과 정은 완치된 이후에도 생존자들에게 이차종양발생, 만성 건강 문제, 내분비장애, 시각장애, 성장장애, 비만, 불임 등의 신체적 후유 장애를 남기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5].
백혈병 환아들에게 항암화학요법, 조혈모세포 이식요법과 방사선 치료가 완치이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한편, 소아암 발생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백혈병의 경우, 환아들은 어린 나이에 치료를 위해 항암화학요법, 조혈모세포 이식요법과 방사선 치료를 병행해 왔다. 이러한 집중적인 치료과 정은 완치된 이후에도 생존자들에게 이차종양발생, 만성 건강 문제, 내분비장애, 시각장애, 성장장애, 비만, 불임 등의 신체적 후유 장애를 남기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5]. 성장기에 있는 아동에게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은 학습장애와 기억력장애 등의 신경 인지장애를 유발하며[6], 백혈병 치료과정의 경험이 아동에게 있어서 고통스러운 기억으로 남아 완치 판정을 받은 이후에도 생존자들은 여전히 불안과 우울,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등의 정서적 후유 장애를 경험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National Cancer Center.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0.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2. Hunger SP, Lu X, Devidas M, Camitta BM, Gaynon PS, Winick NJ, et al. Improved survival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between 1990 and 2005: A report from the children's oncology group.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12;30(14):1663-1669. http://dx.doi.org/10.1200/jco.2011.37.8018 

  3. Haddy TB, Mosher RB, Reaman GH. Late effects in long-term survivors after treatment for childhood acute leukemia. Clinical Pediatrics. 2009;48(6):601-608. http://dx.doi.org/10.1177/0009922809332680 

  4. Lof CM, Winiarski J, Giesecke A, Ljungman P, Forinder U.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 survivors after paediatric allo-SCT. Bone Marrow Transplantation. 2009;43(6):461-468. http://dx.doi.org/10.1038/bmt.2008.338 

  5. Clarke SA, Skinner R, Guest J, Darbyshire P, Cooper J, Vora A, et al. Clinical outcom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following haem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for paediatric leukaemia.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2011;37(4):571-580. http://dx.doi.org/10.1111/j.1365-2214.2010.01182.x 

  6. Edelstein K, D'Agostino N, Bernstein LJ, Nathan PC, Greenberg ML, Hodgson DC, et al. Long-term neurocognitive outcomes in young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Journal of Pediatric Hematology Oncology. 2011;33(6):450-458. http://dx.doi.org/10.1097/MPH.0b013e31820d86f2 

  7. Gurney JG, Krull KR, Kadan-Lottick N, Nicholson HS, Nathan PC, Zebrack B, et al. Social outcomes in the childhood cancer survivor study cohort.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09;27(14):2390-2395. http://dx.doi.org/10.1200/jco.2008.21.1458 

  8. You MA. Content analysis on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 survivors of leukem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6;12(3):304-313. 

  9. Kim YJ, Cha HG, Kim CA, Park YJ, Kim HJ, Seo JJ, et al. Child cancer survivors' quality of life based on their parents' support and past histo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8;17(1):85-96. 

  10. Kim MA, Yi J. Psychological distress in adolescent and young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in Korea. Journal of Pediatric Oncology Nursing. 2013;30(2):99-108. http://dx.doi.org/10.1177/1043454213478469 

  11.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2):175-191. 

  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The Committee for the Development of Growth Standard for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Review of developmental process and outlook [Internet].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November [cited 2013 August 1].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cms/content/03/12103_view.html. 

  13. Greenwald R, Rubin A. Assessment of posttraumatic symptoms in children: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parent and child scales.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1999;9(1):61-75. http://dx.doi.org/10.1177/104973159900900105 

  14. Lee KM, Jeong SH, Lee WK, Chung U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report of post-traumatic symptoms (CROPS) and the parent report of post-traumatic symptoms (PROP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011;22(3):169-181. 

  15. Meeske KA, Ruccione K, Globe DR, Stuber ML. Posttraumatic stress,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young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2001;28(3):481-489. 

  16. Kamibeppu K, Sato I, Honda M, Ozono S, Sakamoto N, Iwai T, et al. Mental health among young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and their siblings including posttraumatic growth. Journal of Cancer Survivorship. 2010;4(4):303-312. http://dx.doi.org/10.1007/s11764-010-0124-z 

  17. Varni JW, Seid M, Kurtin PS. PedsQL 4.0: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ediatric quality of life inventory version 4.0 generic core scales in healthy and patient populations. Medical Care. 2001;39(8):800-812. 

  18. Kook SH, Varni JW.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diatric quality of life inventory 4.0 (PedsQL) generic core scales in school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the Rasch mode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08;6:41. http://dx.doi.org/10.1186/1477-7525-6-41 

  19. Bertorello N, Manicone R, Galletto C, Barisone E, Fagioli F. Physical activity and late effects in childhoo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longterm survivors. Pediatric Hematology and Oncology. 2011;28(5):354-363. http://dx.doi.org/10.3109/08880018.2010.550987 

  20. Pemberger S, Jagsch R, Frey E, Felder-Puig R, Gadner H, Kryspin-Exner I, et al. Quality of life in long-term childhood cancer survivors and the relation of late effects and subjective well-being. Supportive Care in Cancer. 2005;13(1):49-56. http://dx.doi.org/10.1007/s00520-004-0724-0 

  21. Michel G, Bordigoni P, Simeoni MC, Curtillet C, Hoxha S, Robitail S, et al.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long-term survivors of childhood leukaemia: The impact of ha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Bone Marrow Transplantation. 2007;40(9):897-904. http://dx.doi.org/10.1038/sj.bmt.1705821 

  22. Asner S, Ammann RA, Ozsahin H, Beck-Popovic M, von der Weid NX. Obesity in long-term survivors of childhoo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Pediatric Blood & Cancer. 2008;51(1):118-122. http://dx.doi.org/10.1002/pbc.21496 

  23. Love E, Schneiderman JE, Stephens D, Lee S, Barron M, Tsangaris E, et al. A cross-sectional study of overweight in pediatric survivors of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Pediatric Blood & Cancer. 2011;57(7): 1204-1209. http://dx.doi.org/10.1002/pbc.23010 

  24. Oeffinger KC, Mertens AC, Sklar CA, Yasui Y, Fears T, Stovall M, et al. Obesity in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 report from the childhood cancer survivor study.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03;21(7):1359-1365. 

  25. Garmey EG, Liu Q, Sklar CA, Meacham LR, Mertens AC, Stovall MA, et al. Longitudinal changes in obesity and body mass index among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 report from the childhood cancer survivor study.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08;26(28):4639-4645. http://dx.doi.org/10.1200/jco.2008.16.3527 

  26. Wenninger K, Helmes A, Bengel J, Lauten M, Volkel S, Niemeyer CM. Coping in long-term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Relations to psychological distress. Psycho-Oncology. 2013;22(4):854-861. http://dx.doi.org/10.1002/pon.3073 

  27. Nuss SL, Wilson M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llowing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during childhood. Journal of Pediatric Oncology Nursing. 2007;24(2):106-115. http://dx.doi.org/10.1177/1043454206296033 

  28. Harila MJ, Salo J, Lanning M, Vilkkumaa I, Harila-Saari AH. Hig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long-term survivors of childhoo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Pediatric Blood & Cancer. 2010;55 (2):331-336. http://dx.doi.org/10.1002/pbc.2253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