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혈병 경험 청소년의 생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redictors of Meaning in Life in Adolescents with Leukemia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1 no.1, 2015년, pp.74 - 81  

홍성실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박호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백혈병 경험 청소년들의 영적 안녕과 생의 의미 정도를 알아보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백혈병으로 진단받고 C대학병원에서 관해유도요법을 마친 후 외래에서 추후관리를 받고 있는 11-21세 청소년 10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영적 안녕은 Paloutzian과 Ellison (1983)의 영적 안녕 측정 도구를, 생의 의미는 Kang 등(2007)의 청소년 생의 의미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자아존중감사회적 지지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영적 안녕과 생의 의미 영향요인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결과 백혈병 경험 청소년들의 영적 안녕은 중간 수준이었고 생의 의미는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영적 안녕은 생의 의미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영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과 가족의 지지였으며, 생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 실존적 안녕, 가족의 지지, 친구의 지지였다. 결론 백혈병 경험 청소년들이 질병과정을 성공적으로 이겨내고 생의 의미를 찾도록 돕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과 실존적 안녕을 높이고 가족 및 친구 지지를 촉진시켜줄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이 필요하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ors of spiritual well-being and meaning in life for adolescents with leukemia. Methods: Participants were 102 adolescents (11-21 years) recruited at C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to August in 2014. The eligible participants were diagnosed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백혈병 경험 청소년들이 생의 의미를 찾기 위해 신체적인 측면 뿐 아니라 정서, 사회 그리고 영적인 측면의 지지가 함께 제공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국내 소아 백혈병의 완치율과 생존율이 증가하는 추세에서 백혈병 청소년들의 생의 의미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영적 안녕과 생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요인들 간 관련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백혈병을 포함한 소아암 아동 및 청소년의 생의 의미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 및 간호 실무 현장에서 생의 의미 발견을 위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근거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본 연구는 백혈병 경험 청소년들의 영적 안녕과 생의 의미 정도를 파악하고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백혈병 경험 청소년들의 영적 안녕과 생의 의미 정도와 영향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성인기로 이행하는 청소년들에게 긍정적인 삶의 방향을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간호 중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백혈병 경험 청소년들의 영적 안녕과 생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여 백혈병 청소년들의 영적 안녕을 추구하고 생의 의미를 찾도록 도울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이 도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인지하는 가족(4문항), 친구(4문항) 그리고 특별한 사람(4문항)으로부터의 지지 정도를 측정하는 7점 척도로 개발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인지하는 지지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별한 사람에 의료진을 포함하여 백혈병 청소년들이 인지하는 가족, 친구, 그리고 특별한 사람으로부터의 지지 정도를 측정하였다. Zimet 등(1988)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
  • 본 연구의 목적은 백혈병 경험 청소년들의 영적 안녕과 생의 의미 정도를 파악하고 영적 안녕과 생의 의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백혈병 경험 청소년의 영적 안녕과 생의 의미를 파악하고 선행 연구에서 생의 의미 영향요인으로 밝혀진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를 포함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백혈병 경험 청소년의 영적 안녕을 증진하고 긍정적인 생의 의미를 찾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백혈병 경험 청소년의 영적 안녕과 생의 의미를 파악하고 선행 연구에서 생의 의미 영향요인으로 밝혀진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를 포함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백혈병 경험 청소년의 영적 안녕을 증진하고 긍정적인 생의 의미를 찾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혈병 경험 청소년들의 영적 안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백혈병 경험 청소년들의 영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과 가족의 지지였으며, 생의 의미의 영향요인은 자아존중감, 실존적 안녕, 가족의 지지, 친구의 지지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아존중감과 가족만족도가 생의 의미에 영향요인이라고 한 선행연구(Bronk, 2011; Kyngas et al.
암과 같은 생명위협 질환을 경험한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심리사회적 요소는 무엇인가? 7%까지 높아졌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암과 같은 생명위협 질환을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들은 성장발달과정을 겪어야 함과 동시에 질병과 맞서 싸워야 하는 이중고에 직면해 있어, 신체적으로는 발달과업의 성취가 늦어질 수 있으며, 심리사회적으로는 불안, 두려움, 슬픔, 무력감 등을 경험하게 된다(Hendricks-Ferguson, 2006; Woodgate, 2005). 그러나 다른 관점에서 청소년들은 질병을 자신에 대한 도전으로 받아들이고 이겨나가려는 노력들을 계속하게 되고(Moadel et al.
청소년이 암과 같은 생명위협 질환 질병을 이겨내기 위한 노력은 어떻게 작용되는가? 그러나 다른 관점에서 청소년들은 질병을 자신에 대한 도전으로 받아들이고 이겨나가려는 노력들을 계속하게 되고(Moadel et al., 1999) 이 과정에서 영적 안녕과 생의 의미를 추구하는 노력들은 회복의 원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Haase, 2004; Hart & Schneider,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ronk, K. C. (2011). The role of purpose in life in healthy identity formation:A grounded model. New Directions for Youth Development, 2011(132), 31-44. http://dx.doi.org/10.1002/yd.426 

  2. Cheung, S. D., Lee, J. B., Park, H. B., Kim, J. S., Bai, D. S., Lee, K. H., et al. (2001).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spiritual well being scal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0(2), 230-242. 

  3. Choi, S. O., Kim, S. N., Shin, K. I., Lee, J. J., & Jung, Y. J. (2005). Development of meaning in life scale II.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5), 931-942. 

  4. Crockett, L. J., & Petersen, A. C. (1993). Adolescent development: Health risks and opportunities for health promotion. In S. G. Millstein, A. C. Peterson, & E. O. Nightingale (Eds.), Promoting the health of adolescents: New direction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pp.13-27).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5.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6. Haase, J. E. (2004). The adolescent resilience model as a guide to interventions. Journal of Pediatric Oncology Nursing, 21(5), 289-299;discussion, 300-284. http://dx.doi.org/10.1177/1043454204267922 

  7. Hart, D., & Schneider, D. (1997). Spiritual care for children with cancer. Seminars in Oncology Nursing, 13(4), 263-270. 

  8. Hendricks-Ferguson, V. (2006). Relationships of age and gender to hope and spiritual well-being among adolescents with cancer. Journal of Pediatric Oncology Nursing, 23(4),189-199. http://dxdoiorg/10.1177/1043454206289757 

  9. Hendricks-Ferguson, V. (2008). Hope and spiritual well-being in adolescents with cancer.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30(3), 385-401. http://dx.doi.org/10.1177/0193945907303045 

  10. Hockenberry-Eaton, M., Dilorio, C., & Kemp, V. (1995). The relationship of illness longevity and relapse with self-perception, cancer stressors, anxiety, and coping strategies in children with cancer. Journal of Pediatric Oncology Nursing, 12(2), 71-79. 

  11. Je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Journal, 11, 107-129. 

  12. Kang, K. A., Kim, S. J., & Song, M. K. (2009). Relationship of self-esteem, meaning in life, and spiritual well-be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4), 343-349. http://dx.doi.org/10.4094/jkachn.2009.15.4.343 

  13. Kang, K. A., Kim, S. J., Song, M. K., & Sim, S. (2007).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 instrument for adolescents meaning in life scale (AMI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5), 625-634. 

  14. Klineberg, E., Clark, C., Bhui, K. S., Haines, M. M., Viner, R. M., Head, J., et al. (2006). Social support, ethnicity and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41(9), 755-760. http://dx.doi.org/10.1007/s00127-006-0093-8 

  15. Kwon, H. J., Kim, Y. J., & Cha, H. G. (2009). Relationship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to depression in child cancer surviv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2), 219-227. http://dx.doi.org/10.4094/jkachn.2009.15.2.219 

  16. Kyngas, H., Mikkonen, R., Nousiainen, E. M., Rytilahti, M., Seppanen, P., Vaattovaara, R., et al. (2001). Coping with the onset of cancer: Coping strategies and resources of young people with cancer. European Journal of Cancer Care, 10(1), 6-11.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December).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National Cancer Center.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1. from http://ncc.re.kr/manage/manage03_033_view.jsp?bbsnum295&hSelSearch&hTxtKeyword& current_page1&cdnull 

  18. Moadel, A., Morgan, C., Fatone, A., Grennan, J., Carter, J., Laruffa, G., et al. (1999). Seeking meaning and hope: Self-reported spiritual and existential needs among an ethnically-diverse cancer patient population. Psychooncology, 8(5), 378-385. 

  19. Paloutzian, R. F., & Ellison, C. W. (1983).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In L. A. Peplau & D. Perman (Eds.), Loneliness: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Inc. 

  20. Richardson, P. (2012). Assessment and implementation of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in cancer care: Effects on patient outcomes.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6(4), E150-155. http://dx.doi.org/10.1188/12.CJON.E150-E155 

  21.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2. Vachon, M., Fillion, L., & Achille, M. (2009). A conceptual analysis of spirituality at the end of life.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12(1), 53-59. http://dx.doi.org/10.1089/jpm.2008.0189 

  23. Visser, A., Garssen, B., & Vingerhoets, A. (2010). Spirituality and well-being in cancer patients: A review. Psychooncology, 19(6), 565-572. http://dx.doi.org/10.1002/pon.1626 

  24. Woodgate, R. L. (2005). A different way of being: Adolescents' experiences with cancer. Cancer Nursing, 28(1), 8-15. 

  25. Woodgate, R. L. (2006). The importance of being there: Perspectives of social support by adolescents with cancer. Journal of Pediatric Oncology Nursing, 23(3), 122-134. http://dx.doi.org/10.1177/1043454206287396 

  26. Yoon, Y. M., & Cho, H. H. (2011). Factors influencing meaning of life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7(1), 31-38. http://dx.doi.org/10.4094/jkachn.2011.17.1.31 

  27.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1), 30-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